[include(틀:공단기 9급 전공과목 강사)] [include(틀:공단기 7급 전문과목 강사)] [include(틀:법검단기 강사)] [include(틀:합격의법학원 5급외교지역인재 1차 강사)] ||<-2> '''{{{#white '''{{{+3 김현석}}}'''}}}''' || ||<-2> [[파일:external/gosi.passone.net/L_khs.jpg|width=100%]] || || '''{{{#white 출생}}}''' ||1964년 5월 12일 || || {{{#white '''학력''' }}} ||<(> [[중앙대학교]] 법학과 및 동대학원 박사 수료(헌법 전공)|| || {{{#white '''과목''' }}} ||헌법, 행정법, 공직선거법 || || '''{{{#white 소속}}}''' ||[[공단기|[[파일:h1_logo.png|width=20%&bgcolor=#fff]]]][br][[합격의 법학원]] || [목차] == 개요 == 공무원 공법강사. [[KG에듀원|KG패스원]], 윈플스 출신 강사로 공단기에서 헌법, 행정법, 공직선거법 강의를 하고 있다. [[합격의 법학원]]에서 정기적이지는 않지만 5급공채 헌법도 강의한다. 중앙대학교 한수웅 교수의 지도로 법학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강사 본인 책의 프로필에 박사 수료로 되어있고, 수업시간에도 박사학위를 받았다는 언급은 없었다. 사실확인을 제대로 할 것.] 한수웅 교수의 영향으로 정치적 측면보다 규범적 측면에서의 헌법을 강조한다. == 내용 == === 사법시험 및 고등고시 강의 === [[사법시험]] [[강사]] 시절 한때 [[황남기]]와 함께 [[헌법]]에서 잘나갔던 강사이다. 과거 태학관에서 사시 강의를 시작하였고 [[한림법학원]], [[합격의 법학원|한국법학원]]으로 옮겨 사시 헌법 강의도 하였는데 [[김유향]] 변호사, [[차강진(강사)|차강진]] 박사와 같이 이해식 헌법 강사로 평가 받았다. 그의 저서 "자기주도헌법"은 고시생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다. 사시가 없어질 때까지 신림동 [[합격의 법학원]]에서 헌법강의를 지속했으며, 대학고시반 특강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급공채 시장에도 잠시 발을 담갔다 === 공무원 강의 === 사시말기부터 [[법학전문대학원]] 도입과 사시 축소 및 폐지로 인해 노량진 [[KG에듀원|웅진패스원]], 윈플스를 거쳐 [[공단기]]에서 [[행정법]], 헌법, 공직선거법 강의를 맡고 있다. 한때 사시계에 회자되던 모 강사의 기존 사시교재 공격+[[황남기|황XX]],김XX[* 공격 대상은 헌법은 황남기와 본인. 행정법은 행시 사무관 출신의 삼봉 김유환으로 추정된다. 모두 사시 강의에서 이름을 날리다가 공시계로 넘어왔다는 점에서 공격한 강사가 고깝게 본 것으로 보인다.] 강사 공격때 욕을 먹기도 했다. 이후 그 모 강사는 오류강의 및 그 부정으로 인해 강사계에서 퇴출되었다. 그러나 사시폐지 결정 이후 병행하는 공무원 헌법 강의에서는 사시에서와 같은 비중을 차지하지 못하고 있다. 본인 曰 신림동에서 밀려난 강사가 이미 꽉 잡고 있다고. 1타 사시 강사를 한 적이 있는 강사로서의 자부심이 강하다. 강의 중 헌재 판결을 비판할 때 '헌재에 있는 애들이 헌법 전공이 아니라서', '헌재 애들이 무식해서'라는 표현도 서슴지 않는다.[* 강사가 수업 중 표출하는 사견이나 수업 초반부에 하는 헌법 이론의 두 줄기 얘기를 보면 주로 스승인 한수웅 교수의 그것을 따르는데, 헌재에 대한 비판이 그의 견해와 배치되는 줄기에 대한 것임을 감안할 때 1타 강사였던 자부심보다는 자신의 견해에 대한 확신으로 보는 게 타당할 것이다.] 한편 2014년까지 공직선거법 강의를 하고 그 후 공직선거법 강의를 제공하지 않았는데, 공단기에서 부탁을 해서 2016년도(즉 2017년 대비 강의)부터 공직선거법 강의를 제공하고 있다.[* 본인이 2017년도 올인원 강의에서 밝힌 사항이다. 이창선 강사와 공단기 간에 트러블이 생겨서 빈 자리를 메꾸려고 다시 맡게 된 것으로 추측된다.] 다만 2022년 대비부터 다시 제공되지 않고, [[안단테(강사)|안단테]]가 영입되었다. 2021년 공단기 7급 연강반 수업을 하고 있고 인강도 연강반 수업이 올라간다. == 강의 및 교재 스타일 == === 헌법 === 헌법 기본서의 경우 주로 서술식으로 쓰였다. 서술식이다 보니 헌법을 처음 접한 초시생들도 쉽게 기본서를 통독하고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나중에 정리가 힘들다는 단점도 있다. 아공법의 저자는 기본서와 기출을 포함해 헌법 수험서가 좋은 강사로 [[황남기]]와 함께 김현석을 추천하기도 했다. 기출지문에는 하이라이트 표시가 되어 있다. 한 때는 김현석 강의를 들으면 헌법은 망해도 85점이라는 미담이 돌기도 했다. 강의 스타일은 행정법의 [[박준철(강사)|써니]]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사시 강사 시절부터 이해 위주의 강의를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중요한 개념 하나하나 자세하게 설명한다. -- 그런데 써니는 기본강의에서도 생각보다 생략을 많이 한다.-- 타 강사와 비교할 경우 같은 부분을 설명한다고 가정할 때 한 부분에 들이는 시간이 많다고 보면 된다. 그렇다고 그 부분에서 공부할 양을 늘리는 게 아니라 중요 개념 설명을 배경부터 정말 자세하게 한다. 예를 들면 헌법관 파트를 4시간 동안 설명하기도 하며 개념은 모호하게 지나가지 않는 편이다. 판례도 자세하게 설명한다. 판서를 거의 하지 않는 써니와 비교할 때 판서 비중이 상당히 높다는 점은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총론과 기본권 부분의 강의가 특히 좋다고 알려져 있다. === 행정법 === === 공직선거법 === 헌법 강의와는 반대로 닥치고 암기 위주의 공부법을 강조하여 이창선 강사와 정반대의 성향을 보인다. 김현석 강사의 본래 강의 스타일과 암기 위주 공부법이 조합되는 바람에, 선거행정직 수강생들 사이에서 호불호가 매우 갈리는 편이다 == 여담 == * 2017 대비 커리큘럼을 펑크내버려서 커리를 따라가던 수강생들은 붕떠버렸다. 특히 행정법은 기본강의로 끝이고 새로 개강한 공선법은 제대로 준비를 안 한 상태로 개강하여 부실하다고 욕을 좀 먹은 듯하다. 알아보니 교통사고가 났었다고 한다. * 질문은 공단기 질문게시판에 쓰지 말고 다음 김현석의 헌법과 행정법 카페에서 질문하길 바란다. 예전과 달리 답변도 잘 달아준다. [[분류:인터넷 강사/공단기]][[분류:인터넷 강사/합격의 법학원]][[분류:중앙대학교 출신]][[분류:1964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