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김한길(동명이인))] [include(틀: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 ---- || {{{#ffffff '''김한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문화체육관광부장관)] ---- [include(틀:중도개혁통합신당 대표)] ---- [include(틀:중도통합민주당 대표)] ---- [include(틀:민주당(2013년) 대표)]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대표)] ---- [include(틀:국민의 정부의 국무위원)] ---- [include(틀:역대 국정기획수석비서관)] ---- [include(틀:열린우리당 원내대표)] ---- [include(틀:제15대 국회의원/전국구)] ---- [include(틀:제16대 국회의원/전국구)]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cfa547 대한민국 국회}}}]] [[국토교통위원회|{{{#cfa547 건설교통위원장}}}]]'''}}} || || 제16대 후반기[br][[신영국]] || → || '''제17대 전반기[br]김한길''' || → || 제17대 후반기[br][[이호웅]]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cfa547 대한민국 국회}}}]] [[국회운영위원회|{{{#cfa547 운영위원장}}}]]'''}}} || || 제17대 전반기[br][[정세균]] || → || '''제17대 전·후반기[br]김한길''' || → || 제17대 후반기[br][[장영달]] ||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특별시|{{{#cfa547 서울}}}]] [[구로구 을|{{{#cfa547 구로구 을}}}]])'''}}} || || 제16대[br][[이승철(1964)|이승철]] || → || '''제17대[br]김한길''' || → || 제18-20대[br][[박영선]]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특별시|{{{#cfa547 서울}}}]] [[광진구 갑|{{{#cfa547 광진구 갑}}}]])'''}}} || || 제18대[br][[권택기]] || → || '''제19대[br]김한길''' || → || 제20-21대[br][[전혜숙]] ||}}} || ---- ||<-2> '''[[국민통합위원회|{{{#fff 대한민국 초대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br]{{{+1 김한길}}}[br]金한길[* 우리말 이름이 매우 드물었던 세대이기도 하고, 어감 역시 순우리말같지 않은 탓에 金漢吉이라는 한자 표기로 소개되는 일이 종종 있지만, 실제로는 한자 자체가 없는 순우리말 이름이 맞다. 형제들의 이름 역시 그와 마찬가지로 순우리말 이름인 "밝힘", "누리"다. 그래서 중국어권에서는 그의 이름을 표기할 때 순우리말 이름이라서, 과거 우리나라 언론이 임의로 한자 표기를 했던 金汉吉(간체)으로 표기한다.[[https://zh.wikipedia.org/wiki/%E9%87%91%E6%B1%89%E5%90%89|중국어 위키백과의 김한길 문서.]]] | Kim Hangi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khg2.jpg |width=100%]]}}} || ||<|2> '''출생''' ||[[1952년]] [[9월 17일]] ([age(1952-09-17)]세)|| ||[[일본]] [[도쿄도]] || || '''본관''' ||[[김녕 김씨]]|| || '''현직'''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 || ||<|6> '''재임기간''' ||[[국민의 정부]] 제3대 [[국정기획수석비서관|정책기획수석비서관]] || ||[[1999년]] [[3월 3일]] ~ [[2000년]] [[1월 11일]] || ||제37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문화관광부 장관]] || ||[[2000년]] [[9월 20일]] ~ [[2001년]] [[9월 18일]] || ||초대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 || ||[[2022년]] [[6월 16일]] ~ [[현직]] ||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서명.svg|width=130]]}}} || || '''링크''' ||[[https://www.facebook.com/Hangillo|[[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A 현재는 SNS는 사용하지 않는다.]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 크기=20Fhangillo)][*A] | [[https://blog.naver.com/han_gill|[[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김철(1926)|김철]], 어머니 윤초옥 || || '''형제자매''' ||형 김밝힘 ^^(1948~2016)^^[br]남동생 [[김누리(교수)|김누리]][* 1960년생, 독일 브레멘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중앙대학교]] [[독어독문학과]]에서 강의하고 있다. 정치 성향은 진보좌파 [[사회민주주의]] 계열로 과거 [[민주노동당]] 당원이었으며, 이후에는 [[진보신당]] 쪽에 가까운 행보를 보였다. 민주화를 위한 교수협의회 중앙대 분회장과 중앙대 독어독문학과장을 지냈으며 [[2019년]] 한국독어독문학회 회장으로 취임했다. 비슷한 시기에 독일에서 유학 생활을 했던 [[유시민]], 진중권과 친분이 있다. 박사학위가 없는 [[진중권]]을 중앙대 독문과 겸임교수로 꽂은 주인공이 김누리 교수다.] || || '''배우자''' ||[[최명길(배우)|최명길]] || || '''자녀''' ||김어진^^(1998~)^^[br]김무진^^(2001~)^^ || || '''학력''' ||[[서울덕수초등학교|서울덕수국민학교]][* 현 서울덕수초등학교.] {{{-2 (졸업)}}}[br][[대광중학교(서울)|대광중학교]] {{{-2 (졸업)}}}[br][[이대부고|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2 (졸업)}}}[br][[건국대학교|건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2 (정치외교학 / 학사)}}} || || '''병역''' ||[[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 || || '''신체''' ||168cm || || '''소속 정당''' ||[include(틀:무소속)] || || '''의원 선수''' ||'''4'''[* 의원 선수로는 4선이지만 전국구로 당선된 초선 의원(15대) 시절에는 청와대 정책기획수석에 임명되며 임기를 약 1년 넘게 남겨둔 1999년 3월 의원직을 중간에 사퇴했고, 마찬가지로 전국구로 당선된 재선 의원(16대) 시절에도 문화관광부 장관에 임명됨에 따라 임기 3개월만에 의원직을 사퇴했기 때문에 실제로 국회의원 임기를 수행한 기간은 총 4,044일로 일반적인 3선 의원 임기 기간(4,383일)보다도 훨씬 짧다.] || || '''의원 대수''' ||'''[[제15대 국회의원|15]]''', '''[[제16대 국회의원|16]]''', '''[[제17대 국회의원|17]]''', '''[[제19대 국회의원|19]]''' || || '''경력''' ||[[중앙일보]] 기자·편집국장·샌프란시스코 지사장[br][[방송통신위원회|방송위원회]] 대변인·기획국장·사무총장[br][[민주당(1990년)|민주당]] [[동작구 을]] 지구당위원장[br][[통일국민당]] 부대변인[br][[통일국민당]] 당무위원[br][[건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겸임교수[br][[새정치국민회의]] 당무위원[br][[새정치국민회의]] 선대위 대변인[br][[제15대 국회의원]] {{{-2 (전국구 6번 / [[새정치국민회의]])}}}[br][[대통령직인수위원회|제15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인수위원 및 대변인[br][[새정치국민회의]] 중앙행정위원[br][[대통령비서실]] [[국정기획수석비서관|정책기획수석비서관]] {{{-2 ([[국민의 정부]])}}}[br][[새천년민주당]] 총선기획단장[br][[새천년민주당]] 선대위 대변인[br][[새천년민주당]] 총재 비서실장[br][[제16대 국회의원]] {{{-2 (전국구 13번 / [[새천년민주당]])}}}[br]제37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문화관광부 장관]] {{{-2 (국민의 정부)}}}[br][[대통령비서실]] 특보 {{{-2 ([[참여정부]])}}}[br][[제17대 국회의원]] {{{-2 ([[구로구 을|서울 구로구 을]] / [[열린우리당]])}}}[br][[제17대 국회]] 전반기 [[국토교통위원회|건설교통위원회]] 위원장[br]대한핸드볼협회 회장[br][[열린우리당]] [[원내대표]][br]제17대 국회 전·후반기 [[국회운영위원회]] 위원장[br][[중도개혁통합신당]] 대표[br][[중도통합민주당]] 공동대표[br][[제19대 국회의원]] {{{-2 ([[광진구 갑|서울 광진구 갑]] / [[민주통합당]])}}}[br][[민주통합당]] [[최고위원|수석최고위원]][br][[민주당(2013년)|민주당]] 대표최고위원[br][[민주당(2013년)|민주당]] 당무위원[br][[새정치민주연합]] 공동대표[br][[새정치민주연합]] 당무위원[br][[새정치민주연합]] 상임고문[br][[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br][[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창당준비위원회 수석부의장[br][[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당무위원[br][[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상임선거대책위원장[br][[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전임고문[br][[살리는 선대위]] [[새시대준비위원회]] 위원장[br][[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국민통합위원장[br]대통령 소속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 {{{-2 ([[윤석열 정부]])}}}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제15대, 16대, 17대, 19대 국회의원, 문화관광부장관을 지냈으며 現 [[윤석열 정부]] 초대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으로 있는 [[정치인]]이자 [[소설가]]. == [[/생애|생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한길/생애)] == 방송 / 라디오 DJ == * BBS 라디오 김한길과 아침저널 * [[MBC 라디오]] 김한길과 초대석 * [[문화방송|MBC]] 김한길과 사람들 * [[tvN]] [[따로 또 같이#s-2]] * [[채널A]] 어바웃 해피&길길이 다시 산다 == 저서 == * 2006년 《눈뜨면 없어라》 수필 * 2000년 《김한길의 희망일기》 수필 * 1996년 《아침은 얻어먹고 사십니까》 칼럼 * 1995년 《거기 그녀가 서 있는 걸 보았네》 소설 * 1993년 《눈뜨면 없어라》 수필 * 1993년 《[[여자의 남자]]》 장편소설, MBC 미니시리즈 드라마로 제작 * 1989년 《낙타는 따로 울지 않는다》 장편소설, 영화로 제작 * 1984년 《미국일기》 수필 * 1981년 《바람과 박제》 소설 * 1981년 《세네카의 죽음》 소설 * 1980년 《대학일기》 수필 * 1978년 《병정일기》 수필 == 비판과 논란 == 김한길과 노무현 전 대통령의 관계는 원래 좋았으나, 열린우리당과 노무현 정부의 권력 운용이 386을 중심으로 이뤄 지면서 불화가 가속화된 것으로 보인다. 2002년 대선 당시 금강팀이 출범하기 전에는 노무현이 김한길에게 자주 자문을 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정권 출범 후 김한길은 열린우리당 내에서 중도 보수성향 인사들을 주로 대변했다. 재정경제부 장관을 지냈던 강봉균 의원은 대표적인 김한길계 정치인이었는데, 그는 김근태 의원을 상대로 '종북좌파'라고 강도높은 비판을 하기도 했다. 이후 김한길은 노무현 대통령의 인기가 바닥을 치던 [[참여정부]] 말기부터 [[청와대]]와 각을 세우기 시작했고, [[노무현]] 대통령 사망 이후에는 당내 [[친노]] 진영을 일컬어 "밀실에서 당권을 나누는 반칙 정치", "오만과 독선의 노무현 프레임" 같은 발언으로 표현하는 등 [[친노]] 진영과의 대립을 지속해왔다. [[정동영]]과 함께 [[노무현]]을 대통령으로 만들고 열린우리당을 창당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했음에도 이후에는 비노 세력의 수장 역할을 했다는 역설이 있다. 2013년에 [[민주당(2013년)|민주당]]의 새 당대표를 뽑는 선거에서는 61.7%의 득표율로 압승을 거두는 등 당내 싸움에서는 승률이 좋은 면모를 보여준다. 그가 민주당 당대표가 되고 처음으로 치렀던 선거인 2013년 [[2013년 상반기 재보궐선거|4.24 재보선]]에서 민주당은 새누리당에게 패했다. 이 때야 [[박근혜 정부]]가 갓 출범했던 시기라 정부 여당 모두 분위기가 좋았던 때였고, 또 국회의원 재보선을 치르기로 한 지역구가 거의 다 새누리당 지지세가 강한 곳이었으니까 정상참작의 여지가 있었다. 그러나 새누리당이 [[세월호 참사]]라는 역대급 악재 속에서 치렀던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6.4 지방선거]]에서 새정치민주연합은 새누리당을 상대로 무승부를 냈다. [[기초자치단체|기초단체장]] 선거에서는 117 : 80으로 새정치연합이 새누리당에게 완패했지만 [[광역자치단체장|광역단체장]]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에게 9 : 8로 백중세를 이뤘고, 또 [[교육감]] 선거에서는 진보 진영이 완승한 덕분에 대표직 사퇴까지는 면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6.4 지방선거]]가 끝나고 약 한 달 뒤에 치른 2014년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7.30 재보선]]에서 새정치연합은 새누리당에게 무려 11 : 4로 참패하고 말았고, 이 때 당을 이끌었던 김한길과 안철수는 결국 당대표직에서 물러나게 됐다. === 창당과 합당 이력 === 2016년 [[새정치민주연합]] 탈당 당시 2007년경 민주당 분열 과정에서 빚어진 수 차례의 창당과 합당 과정이 화제가 되었다. 다만 친노와 비노가 투쟁을 벌이는 과정에서 비노 중 중도-보수성향 정치인들의 동반탈당이었기 때문에 '잦은 당적 변경'과 같은 개인적 선택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피닉제]]라는 별명을 갖고 있는 [[이인제]]의 경우 소속되어 있던 정당이 [[자유선진당|당명]] [[선진통일당|교체]] 및 [[새누리당|합당]] 등과 같이 타의적 당적 변경이 아닌 자의적 당적 변경(탈당 및 당 대표인 상황에서 합당을 결행)만 셌을 경우 '''8회'''(무소속 포함)이고 같은 기준을 적용했을 경우 김한길 의원 역시 '''8회'''이다.[* 불분명한 탈당 1건이 있는데 이것을 포함하면 탈당 횟수는 9회다.] 물론 진보 정당을 제외한 모든 당에 소속된 적이 있는 이인제와는 달리 김한길은 [[제3지대 정당]][* [[통일국민당]],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바른미래당]]]과 [[민주당계 정당]] 범위 밖으로 나간 적은 없지만, 그 복잡한 [[민주당계 정당]] 계보에 들어가는 거의 모든 당에 몸담은 적이 있고, 특히 그 자신이 [[민주당계 정당]]들의 이합집산에서 중심적 역할을 맡은 점으로 인해 민주당 지지자들에게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에 김한길 본인은 우리 사회의 갈등요인 중에서 "지역 갈등은 조금씩이라도 완화되는 것 같으나, 정치 진영 간의 갈등은 여전히 심각하다. 적대적 공생관계라고 하는 양당 중심의 정치는 필연적으로 적대적으로 될 수 밖에 없다. 내가 정치하는 내내 양당 중심 정치를 어떻게 해서든 깨보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당적이 자주 변경될 수 밖에 없었지만 결국 매번 실패했다. 내가 요즘 다시 등장하니까 탈당, 창당을 많이 했다고 나를 공격하는 사람도 많다고 한다. 내가 탈당, 창당을 시도 했던 것은 나름대로 양당 정치의 폐해를 바로잡기 위한 행동이었기 때문에 좌절했어도 후회는 하지 않는다. 사실 양당이 서로 보수니 진보니 말하지만 그렇게 극명하게 차이가 있는 정당들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굳이 차이점을 든다면 [[경상도|지역]] [[전라도|기반]]이라든지 대북 정책 등에서 몇 가지 차이가 있는 정도에 불과하므로 여든 야든 서로 동의할 수 있는 국가를 위한 공동 목표를 가지고 서로 경쟁하는 게 맞다고 본다."라고 항변하였다. 이어서 자신이 최근에 본 멋진 말 중에 하나가 "우리가 이만큼이나마 누리고 있는 세상은 수많은 이상주의자들의 좌절을 통해서 이뤄진 것이다. 오늘날 다당제가 정치 발전인 것처럼 말해지는 데까지 오는 과정에서 수많은 창당 시도가 칭찬을 받지는 못할 망정 비난을 받을 일은 결코 아니라고 생각한다. 탈당과 창당은 헌법과 법률이 보장하는 정치적 기본권이지 비난 받을 대상이 아니다. 정당이 특정 패거리에 장악되어서 다른 목소리를 용납하지 않고, 정당민주주의가 작동하지 않는 체제에서 굴종하지 않는 방법은 신당 창당으로 맞설 수 밖에 없지 않는가."라고 말하였다. || 1 || [[민주당(1990년)|꼬마민주당]][* 김한길의 정치 시작을 [[민주당(1991년)]]에서 시작한 걸로 알려져 있는데, [[신민주연합당]]과 합당 이전인 1991년 4월에 꼬마 민주당 동작 을 지구당 조직책(현재의 지역위원장/당협위원장)에 임명됐다는 기사가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에 있다.] → [[민주당(1991년)|민주당]] || 1991. 9. 16. || [[신민주연합당]]과 합당 || || 2 || '''[[민주당(1991년)|민주당]] → [[통일국민당]]''' || 1992 || 정주영의 제의로 제3당 입당 || || 3 || [[통일국민당]] → [[무소속]] || 1994 || 대선 패배 후 탈당[br]정계 은퇴 및 방송활동 시작 || || 4 || [[무소속]] → [[새정치국민회의]] || 1996. 1. 23. || 전국구 제안에 의한 입당[br]정계 재입문 || || 5 || [[새정치국민회의]] → [[새천년민주당]] || 2000. 1. 20. || 새정치국민회의의 확대 개편 창당 || || 6 || '''[[새천년민주당]] → [[열린우리당]]''' || 2003. 11. || 새천년민주당 분당 || || 7 || '''[[열린우리당]] → [[무소속]]'''[* 이때 소속 정당은 없이 무소속이었지만, 함께 집단 탈당한 20여명이 '중도개혁통합신당추진모임'라는 원내교섭단체를 만들어 활동했다.] || 2007. 2. 6. || 김한길계 집단 탈당 || || 8 || '''[[무소속]] → [[중도개혁통합신당]]''' || 2007. 5. 7. || 김한길계 신당 창당 || || 9 || '''[[중도개혁통합신당]] → [[중도통합민주당]]''' || 2007. 6. 29. || [[민주당(2005년)|민주당]]과 합당 || || 10 || '''[[중도통합민주당]] → [[대통합민주신당]]''' || 2007. 8. 3.(탈당)[br]2007.8.5.(입당) || 김한길계 집단 탈당[br]2008. 1. 6. 정계 은퇴 선언 || || 11 || [[대통합민주신당]] →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 2008. 2. 17. || [[민주당(2007년)|민주당]]과 합당 || || 12 ||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 [[민주당(2008년)|민주당]] || 2008. 7. 6. || 당명 변경 || || 13 || [[민주당(2008년)|민주당]] → [[민주통합당]] || 2011. 12. 16. || [[시민통합당]]과 합당[br]2012년 초, 정계 재복귀 || || 14 || [[민주통합당]] → [[민주당(2013년)|민주당]] || 2013. 5. 4. || 당명 변경 || || 15 || '''[[민주당(2013년)|민주당]] → [[새정치민주연합]]''' || 2014.3.26. || 흡수 합당[* [[새정치연합]]은 창준위이므로 합당의 주체가 되지 못했다.] || || 16 || [[새정치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 || 2015. 12. 28. || 당명 변경 || || 17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 2016.1.3.(탈당)[br]2016. 2. 2.(입당) || [[새정치민주연합 분당]]의 여파로 탈당 || || 18 ||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 [[바른미래당]] || 2018.2.13. ||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합당]] || || 19 || [[바른미래당]] → [[민생당]] || 2020. 2. 24. || [[민주평화당]], [[대안신당]]과의 합당 || || 20 || '''[[민생당]] → [[무소속]]''' || 2022.7. ||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 취임 || 김한길은 불출마 선언을 두 차례 했지만[* 다만 2008년과 2016년 이후로는 총선 불출마 내지 은퇴까지는 아니어도 선거철 시즌만 제외하고 대체로 정계 활동을 관여하지 않아 정계와 멀어지기는 했다.] 정계 은퇴를 선언한 적은 없고 국민의 당 이후로는 정계 활동을 하지 않고 정계와 멀어지기는 했다.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에 입당한 이후 다른 당에 별도로 입당을 하거나, 활동을 한 사실은 없다.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민주당(1990년))] || 1990 - 1991 || 정계 입문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1991 - 1992 || 합당[* [[신민주연합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1992 || 탈당[* 공천 불복으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통일국민당)] || 1992 - 1994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1994 - 1996 || 탈당[br]정계 은퇴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1996 - 2000 || 입당[br]정계 복귀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 - 2003 || 합당[*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3 || 탈당[* [[열린우리당]] 창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3 - 2007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7 || 탈당[*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중도개혁통합신당)] || 2007 || 창당 || || [include(틀:중도통합민주당)] || 2007 || 합당[* [[민주당(2005년)|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7 || 탈당[*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대통합민주신당)] || 2007 - 2008 || 창당[br]정계 은퇴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008 || 합당[* [[민주당(2007년)|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2008 - 2011 || 당명 변경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1 - 2013 || 합당[*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br]정계 복귀 || || [include(틀:민주당(2013년))] || 2013 - 2014 || 당명 변경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2014 - 2015 || 합당[*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5 - 2016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2016 || 탈당[*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2016 - 2018 || 창당 || || [include(틀:바른미래당)] || 2018 - 2020 || 합당[* [[바른정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생당)] || 2020 - 2022 || 합당[* [[민주평화당]], [[대안신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22 - 현재 || 탈당[*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 취임으로 인한 탈당.]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구'''}}}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동작구 을|동작 을]] || [include(틀:통일국민당)] || 22,424 (21.81%) || 낙선 (3위) ||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2> 전국구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4,971,961 (25.3%)''' || '''당선 (6번)''' || '''초선'''[* 1999.3.3. 의원직 사퇴. 청와대 정책기획수석이 되기 위해서 당시 법에 따라 전국구 의원직을 사퇴한 것이다. [[http://news.donga.com/List/3/all/19990303/7423418/1|#]]]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2>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6,780,359 (35.9%)''' || '''당선 (13번)''' || '''재선'''[* 2000.9.20. 의원직 사퇴. 문화관광부장관이 되기 위해서 임기 4개월만에 전국구를 또 사퇴했다. 전국구 2번 당선에 2번 사퇴를 한 셈. [[http://news.donga.com/3/all/20001009/7592184/1|#]]] || || 2001 || [[2001년 재보궐선거#s-3|하반기 재보궐선거]][br]([[제16대 국회의원|국회의원]]) ||<|2> 서울 [[구로구 을|구로 을]] || 23,411 (42.74%) || 낙선 (2위) || [* 전임자 [[장영신]]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인한 의원직 상실.]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열린우리당)] || '''48,673 (54.02%)''' ||<|2> '''당선 (1위)''' || '''3선'''[* 2007년 당적 변경 (중도개혁통합신당 중도통합민주당) 후 대통합민주신당 합류.]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광진구 갑|광진 갑]] || [include(틀:민주통합당)] || '''44,334 (52.11%)''' || '''4선'''[* 2016년 탈당,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합류.] || || {{{#ffffff '''역대 선거 벽보'''}}}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김한길 14대.jpg|width=100%]] || [[파일:15대 전국구 국민회의.jpg|width=100%]]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4대 총선}}}]] [[동작구 을|{{{#000000,#e5e5e5 (서울 동작구 을)}}}]]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5대 총선}}}]] [[전국구|{{{#000000,#e5e5e5 (새정치국민회의 전국구 6번)}}}]] || || [[파일:16대 총선 전국구 새천년민주당1.jpg|width=100%]] || [[파일:김한길 재보궐.png|width=100%]]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6대 총선}}}]] [[전국구|{{{#000000,#e5e5e5 (새천년민주당 전국구 13번)}}}]] || [[2001년 재보궐선거#s-3|{{{#000000,#e5e5e5 2001년 하반기 재보궐}}}]] [[구로구 을|{{{#000000,#e5e5e5 (서울 구로구 을)}}}]] || || [[파일:김한길 17대.jpg|width=100%]] || [[파일:김한길 19대.jpg|width=100%]]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7대 총선}}}]] [[구로구 을|{{{#000000,#e5e5e5 (서울 구로구 을)}}}]]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9대 총선}}}]] [[광진구 갑|{{{#000000,#e5e5e5 (서울 광진구 갑)}}}]] ||}}} || == 여담 == * 김한길은 방송위 사무총장 서리(기획국장 겸직)를 지낼 시절 '여자의 남자'를 모 매체에 연재했다. 당시 일간지가 연재소설로 구독자를 늘리던 시절이었는데, 김한길의 소설은 미주한국일보 때부터 상당한 인기가 있어 일간지 간부들이 서로 유치하려고 경쟁했다고 한다. * 술은 거의 못마시지만 담배는 하루 4갑까지 피워본 적이 있을 정도로 골초다. 이 때문에 한 때 폐암으로 투병한 적도 있었다. 지금은 완전히 담배를 끊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대통령소속위원회장)]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제15대 국회 전국구)]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제16대 국회 전국구)] [include(틀:제17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국민의당)] [[분류:김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