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김택술}}}(金宅述)'''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택술(국회의원).jpg|width=100%]]}}} || ||<|2> '''출생''' ||[[1918년]] [[12월 2일]]|| ||[[전라북도]] [[정읍시|정읍군]] 칠보면 시산리|| ||<|2> '''사망''' ||[[1981년]] [[10월 28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반포동]] [[반포주공1단지|반포아파트]]|| || '''본관''' ||[[도강 김씨|도강]](道康)|| || '''호''' ||춘강(春江)|| || '''의원 선수''' ||'''2''' || || '''의원 대수''' ||[[제2대 국회의원|'''2''']], [[제3대 국회의원|'''3''']] || || '''학력''' ||[[주오대학]] 법학부{{{-2 (졸업)}}}||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언론인, [[정치인]]이다. 본관은 [[도강 김씨|도강]](道康)[* 동정공파 26세손 '''술(述)''' 주(柱) 병(柄) 항렬.][[http://db.history.go.kr/id/ss_006_0020_0020|#]][[https://m.blog.naver.com/ejw0255/220055781379|#2]], 호는 춘강(春江). == 생애 == 1918년 12월 2일 [[전라북도]] [[정읍시|정읍군]] 칠보면 시산리[* 인근의 백암리·와우리·반곡리와 함께 [[도강 김씨]] 집성촌이다.]에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4866|태어났다]]. [[일본]] [[주오대학]] [[법학부]]를 졸업하였다.[* [[교토대학|교토제국대학]] 또는 [[도쿄대학|동경제국대학]] [[경제학부]]를 졸업했다고 하는 기록도 있다.[[http://db.history.go.kr/id/im_101_31365|#]][[http://db.history.go.kr/id/im_101_31366|#2]] 또, 제헌 국회의원 선거 당시 학력사항에 [[니혼대학|일본대학]] 졸업이라고 잘못 기재하기도 하였다.] [[8.15 광복]] 후 전라북도 노동과장을 역임하여 잠깐 동안 관료생활을 하였고, 대한독립촉성농민총연맹 및 [[대한노동총연맹]]에 참여하여 전라북도 부위원장에 임명되는 등 정치인으로 주로 활동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독립촉성농민총연맹 후보로 전라북도 정읍군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국민주당]] [[김종문(1907)|김종문]]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노농청년연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대 국회에서 교통체신위원회 위원을 겸임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1955년)|민주당]] [[송영주(1920)|송영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사실상 정계를 떠나 전남상공신보(全南商工新報) 사장을 역임하면서 언론계에 종사하기도 했으며, 1959년 고향 정읍에서 신태인조정공장(新泰仁搗精工場)을 경영하기도 했다.[[http://db.history.go.kr/id/hs_003_1959_03_22_23140|#]] [[5.16 군사정변]] 이후 [[민주공화당]]이 창당되자 입당하였고, 1967년 한국화물차회사(韓國貨物車會社) 사장을 역임했다. 1981년 10월 28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반포동]] [[반포주공1단지|반포아파트]] 자택에서 [[숙환]]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110290020921100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1-10-29&officeId=00020&pageNo=11&printNo=18483&publishType=00020|별세했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48 || [[제헌 국회의원 선거]] (전북 제5선거구(정읍군 을)) || [include(틀:대한독립촉성농민총연맹)] || 8,418표 (20.22%) || 낙선 (3위) || || || 1950 ||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제14선거구(정읍군 을)) || [include(틀:노농청년연맹)] || '''10,323표 (25.04%)''' || '''당선 (1위)''' || '''초선''' || || 1954 ||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제14선거구[* [[정읍시|정읍군]] 을]) || [include(틀:무소속)] || '''9,253표 (23.37%)''' || '''당선 (1위)''' || '''재선''' || || 1958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전북 제16선거구[* [[정읍시|정읍군]] 을]) || [include(틀:무소속)] || 9,746표 (22.55%) || 낙선 (3위) ||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2대 국회의원/전라북도)] [include(틀:제3대 국회의원/전라북도)] [[분류:정읍시 출신 인물]][[분류:도강 김씨]][[분류:1918년 출생]][[분류:1981년 사망]][[분류:제2대 국회의원]][[분류:제3대 국회의원]][[분류:무소속 국회의원]][[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언론인]] [[분류:주오대학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