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t wiz/간략(코칭스태프))] ---- ||
'''{{{#fff 김태균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fff 김태균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2000 시드니 올림픽 로고.svg|width=auto&height=70]][br] '''2000 시드니 올림픽 야구 종목''' '''{{{#c63 동메달}}}''' || || '''[[김응룡호/2000년|{{{#ffffff 2000}}}]]''' || ---- ||<-3>
[[파일:SK 와이번스 우승 엠블럼 V2.svg|width=50]][[파일:SK 와이번스 우승 엠블럼 V3.svg|width=50]][[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6.svg|width=50]][[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7.svg|width=40]][[파일:kt wiz 우승 엠블럼 V1.png|width=50]][br]'''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코치''' || || '''[[2008년 한국시리즈|{{{#ffffff 2008}}}]]''' || '''[[2010년 한국시리즈|{{{#ffffff 2010}}}]]''' || '''[[2012년 한국시리즈|{{{#ffffff 2012}}}]]''' || || '''[[2013년 한국시리즈|{{{#ffffff 2013}}}]]''' || '''[[2021년 한국시리즈|{{{#ffffff 2021}}}]]''' || ---- [include(틀:삼성 라이온즈 주장)] ---- ||<-5>
'''{{{#fff [[삼성 라이온즈|{{{#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5번}}}''' || || 박철희[br](1992) || {{{+1 →}}} || '''{{{#074ca1 김태균[br](1994~1995)}}}''' || {{{+1 →}}} || 신성필[br](1996~2001) || ||<-5> '''{{{#fff [[삼성 라이온즈|{{{#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4번}}}''' || || 최홍주[br](1993~1995) || {{{+1 →}}} || '''{{{#074ca1 김태균[br](1996)}}}''' || {{{+1 →}}} || [[송재익(야구)|송재익]][br](1997~1999) || ||<-5> '''{{{#fff [[삼성 라이온즈|{{{#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6번}}}''' || || [[강기웅]][br](1989~1996) || {{{+1 →}}} || '''{{{#074ca1 김태균[br](1997~2002.4.28.)}}}''' || {{{+1 →}}} || [[김승권]][br](2003~2003.4.24.) || ||<-5> '''{{{#000 [[롯데 자이언츠|{{{#000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7번}}}''' || || [[임재철]][br](1999~2002.4.28.) || {{{+1 →}}} || '''{{{#fff 김태균[br](2002.4.29.~2002)}}}''' || {{{+1 →}}} || [[박준서]][br](2003~2010)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6번}}}''' || || [[박준서|박남섭]][br](2002.7.21.~2002) || {{{+1 →}}} || '''{{{#fff 김태균[br](2003~2004)}}}''' || {{{+1 →}}} || [[이원석(1986)|이원석]][br](2005~2008) || ||<-5> '''{{{#fff [[SK 와이번스|{{{#fff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5번}}}''' || || [[안재만]][br](2002~2004) || {{{+1 →}}} || '''{{{#fff 김태균[br](2005~2006)}}}''' || {{{+1 →}}} || [[김동건(야구)|김동건]][br](2007~2009) || ||<-5> '''{{{#fff [[SK 와이번스|{{{#fff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6번}}}''' || || [[정경배]][br](2002~2006) || {{{+1 →}}} || '''{{{#fff 김태균[br](2007)}}}''' || {{{+1 →}}} || [[박정환(1977)|박정환]][br](2008~2011) || ||<-5> '''{{{#fff [[SK 와이번스|{{{#fff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70번}}}''' || || [[최태원(야구)|최태원]][br](2005~2007) || {{{+1 →}}} || '''{{{#fff 김태균[br](2008~2011)}}}''' || {{{+1 →}}} || [[김원형]][br](2012~2016) || ||<-5> '''{{{#fff [[삼성 라이온즈|{{{#fff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70번}}}''' || || [[유원선]][br](2011) || {{{+1 →}}} || '''{{{#074ca1 김태균[br](2012~2015)}}}''' || {{{+1 →}}} || [[신동주(야구)|신동주]][br](2016~2019) || ||<-5> '''{{{#fff [[롯데 자이언츠|{{{#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70번}}}''' || || [[구승민]][br](2015) || {{{+1 →}}} || '''{{{#fff 김태균[br](2016~2017)}}}''' || {{{+1 →}}} || [[박주언]][br](2018)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79번}}}''' || || [[송재박]][br](1992~2017) || {{{+1 →}}} || '''{{{#fff 김태균[br](2018)}}}''' || {{{+1 →}}} || [[김민재(내야수)|김민재]][br](2019~2020) || ||<-5> '''{{{#fff [[kt wiz|{{{#ffffff kt wiz}}}]] 등번호 70번}}}''' || || [[배정대]][br](2018) || {{{+1 →}}} || '''{{{#fff 김태균[br](2019~)}}}''' || {{{+1 →}}} || 현역 || }}} || ---- || '''{{{#FFFFFF A대표팀 참가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김응룡호/2000 시드니 올림픽 엔트리)]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태균2023.jpg|width=100%]]}}} || ||<-2> '''kt wiz No.70''' || ||<-2> '''{{{+2 김태균}}}[br]金泰均 | Kim Tae-Gyun''' || ||<|2> '''출생''' ||[[1971년]] [[8월 19일]] ([age(1971-08-19)]세) || ||[[부산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수영초등학교(부산)|부산수영초]] - 부산동성중 - [[부산고등학교 야구부|부산고]] - [[중앙대학교 야구부|중앙대]][* 산업디자인학과 90학번] || || '''포지션''' ||내야 유틸리티[* 주로 [[유격수]], [[3루수]]였다.]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94년/신인드래프트#s-3.2|1994년 2차 3라운드]] (전체 24번, [[삼성 라이온즈|삼성]]) || || '''소속팀''' ||'''[[삼성 라이온즈]] (1994~2002)''' [br][[롯데 자이언츠]] (2002~2004) [br][[SK 와이번스]] (2005~2007) || || '''지도자''' ||'''[[SK 와이번스]] 1군 수비코치 (2008~2011)[* ~7월 3일]'''[br][[SK 와이번스]] 재활코치 (2011)[* 7월 4일~8월 17일][br][[SK 와이번스]] 1군 수비코치 (2011)[* 8월 18일~] [br]'''[[삼성 라이온즈]] 1군 작전코치 (2012~2013)''' [br][[삼성 라이온즈/2군|삼성 라이온즈 2군]] 수비코치 (2014~2015) [br][[롯데 자이언츠]] 1군 수석코치 (2016) [br][[롯데 자이언츠]] 3군 총괄코치 (2017)[br][[두산 베어스]] 1군 주루코치 (2018) [br]'''[[kt wiz]] 1군 수석코치 (2019~)''' || || '''종교''' ||[[불교]]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삼성 라이온즈]], [[롯데 자이언츠]], [[SK 와이번스]] 소속의 내야수이자 현재는 [[kt wiz]] 수석코치다. == 선수 경력 == === [[삼성 라이온즈]]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ge/111/2015/10/22/1445497073848_2_155828_99_20151022164206.jpg|width=100%]]}}} || 1995년 [[백인천]]이 [[삼성 라이온즈]] 감독으로 부임하고 나서 거액의 계약금을 주고 데려온 당시 대졸 최대어 내야수 [[김재걸]]이 공격면에서 영 시원찮자[* 그래도 김재걸은 수비와 주루가 괜찮은 편이었다. 특히 1996년 40개의 도루를 기록할 정도로 발도 빠른 편이었다.] 김태균을 주전 유격수로 낙점하여 입단한 이듬해부터 주전으로 뛰기 시작했다. 타율만 보면 김재걸보다 조금 나은 수준이고 수비는 김재걸에 비하면 조금 아쉬운 편이었으나 1997년과 1999년에 두 자릿수 홈런을 기록하기도 하는 등 홈런 기록에서 볼 수 있듯이 한 방을 충분히 기대할 수 있는 유격수였고 타점도 쏠쏠하게 올려주기도 했다. 이 시기 [[2000 시드니 올림픽]] 대표팀에 선발되어 대수비 요원으로 뛰며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다만 김태균보다 성적이 월등했던 [[류지현(야구)|유지현]]과 [[박정태]]가 선발되지 못하고 김태균이 선발된 과정에서 논란이 조금 있었다. 아마 유지현과 박정태가 당시 선수협 파동에 연루되어서 그랬던 듯.] 그러나 2001년부터 본격적으로 삼성에서 설 자리를 잃기 시작했고, 2001년 시즌 후 삼성이 SK와 단행한 6:2 현금 트레이드를 통해 유격수 [[틸슨 브리또]]를 데려오게 되어 완전히 밀리게 되었다. === [[롯데 자이언츠]]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ge/468/2015/10/22/2015102201001278200088121_99_20151022190505.jpg|width=100%]]}}} || 결국 2002년 시즌 초 외야수 [[임재철]]을 상대로 고향 팀 [[롯데 자이언츠]]에 트레이드되었다. 그 해 개인 역대 최저 수준의 타율을 올리는 등 그리 좋지 못했다. 이후 2004년까지 [[8888577|당시 막장을 달리던]] 롯데의 내야 한 축을 담당했다. === FA === 2004년 시즌이 끝나고 FA를 선언했으나 원소속팀 [[롯데 자이언츠]]와 협상이 결렬, FA 미아로 남을 뻔했다가 협상 마감 기한 직전 [[SK 와이번스]]의 오퍼를 받았고, 두 구단 간 싸인 앤 트레이드를 하는 걸로 합의되어 연봉 8,600만 원에 롯데와 계약한 후 곧바로 SK가 현금 1억 원을 롯데에 주는 조건으로 SK 유니폼을 입게 되었다. 이 과정이 좀 재미있다. [[LG 트윈스]]의 [[이순철]]이 FA로 SK에 이적한 [[김재현(1975)|김재현]]의 보상선수로 팬들과 언론의 예상 후보로 투수를 뽑을 걸로 예상되었으나 예상과는 다르게[* 당시 SK 선수단에는 [[고효준]], [[정우람]], [[윤길현]], [[신승현]], [[제춘모]] 등 젊은 투수 유망주들이 많았고, 거기에 보호선수도 최대 18명이었기 때문에 일부는 보호선수 명단에 들지 못할 걸로 예상되었다. 반대로 LG는 투수진이 약했기 때문에 팬, 언론 대부분이 LG가 김재현의 보상선수로 투수를 뽑아 전력을 보강할 것으로 예상했다.] '''[[SK 와이번스]]의 전력을 악화시키겠다며''' 준 주전급 [[3루수]]로 활약하고 있던 [[안재만]]을 선택한 것이다. 하지만 SK는 오히려 그 대체자로 멀티 내야수였던 김태균을 [[롯데 자이언츠]]에서 영입했고, 별 공백 없이 잘 대체했다.[* 그리고 당시 유망주였던 SK의 투수들은 이듬해부터 하나둘씩 포텐을 터뜨려 1군 주축 투수진으로 활동한 반면, LG의 선택을 받은 [[안재만]]은 LG에서도 부상으로 신음하다가 방출되면서 LG의 선택은 악수가 되었다. 더군다나 SK도 안재만을 내보낸 뒤 김태균을 영입하고, 1차 지명으로 들어온 '''[[최정]]'''이 성장하는 계기가 되면서 결과적으로 SK의 전력에는 별 영향이 없었다.] 어쨌든 결과적으로 [[이순철]] 덕에 김태균은 SK에서 제 2의 야구 인생을 맞이 할 수 있었다. === [[SK 와이번스]]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sksports.net/Large_2005100623460763435_12111.jpg|width=100%]]}}} || 2005년과 2006년은 SK에서 주전 3루수로 뛰었지만, 1차 지명으로 입단한 지역 유망주 [[최정]]의 성장과 함께 잊혀졌고 2007 시즌이 끝나고 [[강혁(야구)|강혁]], [[위재영]], [[김성훈(1987)|김성훈]] 등과 같이 방출되었다. == 지도자 경력 == 은퇴 후 2008년부터 [[SK 와이번스]]의 1군 수비, 주루코치로 재직했다. [[김성근]] 감독이 해임된 2011 시즌을 끝으로 SK의 코치직을 사퇴하고[* 이 때 [[계형철]], [[이홍범]], [[가토 하지메]], [[김정준]], [[이철성(야구)|이철성]] 등의 김성근 사단이라 불리는 코치들이 물러났다.] 10년 만에 친정 팀 [[삼성 라이온즈]]의 1루 코치로 복귀했다. 2014년 [[김평호]]가 다시 삼성으로 오면서 2군 수비코치로 보직이 바뀌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ge/382/2016/03/05/76827712.1_99_20160305054612.jpg|width=100%]]}}} || 2015년 시즌 종료 후 한국시리즈를 앞두고 부산고 시절 동기였던 [[조원우(야구)|조원우]] 신임감독의 부름을 받고 고향 팀 [[롯데 자이언츠]]의 수석코치로 부임하였다. 2016년 한 시즌을 수석코치로 보낸 후 2017년에는 수석코치를 [[김원형]]에게 넘기고 3군 총괄 보직을 맡게 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8011501_doosan_kimTK.jpg|width=100%]]}}} || 2018 시즌부터 [[두산 베어스]]에 둥지를 틀게 됐다. 보직은 1군 주루코치. 그러나 [[10월 22일]] 두산의 '''한국시리즈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kt wiz]] 감독직을 수락한 이강철 수석코치가 [[kt wiz]]행을 권유, 김태균은 이를 수락'''하였다. '''중요한 경기를 앞두고 공개적으로 내년 타팀에서의 판을 짜는 두 사람의 행보'''를 보는 여론의 시선은 곱지가 않았다. 참고로 이강철과는 2000년 시즌 삼성에서 한솥밥을 먹은 적이 있다. 2018 한국시리즈가 끝난 뒤 [[kt wiz]]의 [[https://sports.news.naver.com/kbo/news/read.nhn?oid=076&aid=0003332429|수석코치로 부임하였다.]] 2022년 6월 20일 오후에 [[이강철]] 감독이 [[충수염]] 수술을 받고 [[중앙대학교병원]]에 입원함에 따라 6월 25일까지 [[감독대행]]을 맡았었다. == 여담 == * 동명이인인 [[김태균|별명 많은 야구선수]]가 유명하다 보니 그에 비해 인지도가 낮은 편이다. 실제로 2000년대 중후반 들어 야구를 접하기 시작한 팬들은 김태균 하면 대부분 한화 선수 이미지만 떠올린다. 그래도 90년대 후반 삼성의 주전 유격수 자리에서 제 몫을 다해주던 선수였고, 전성기 시절에는 두 자릿수 홈런을 기록하는 등 내야수 치고는 장타력도 어느 정도 있던 선수였다. 또 대한민국 야구 대표팀이 동메달을 획득한 [[2000 시드니 올림픽/야구|시드니 올림픽]] 당시에도 엔트리에 승선해 활약하기도 했다. 그러다 보니 동명이인 덕분에 별명은 '김코치', '코태균' 등으로 불린다. * 1997년 5월 4일 [[정경배]]의 연타석 만루홈런이 나왔던 LG와의 경기에서[* 당시 삼성이 LG를 무려 '''27:5'''로 이겼고, LG [[천보성]] 감독이 삼성이 [[삼성 라이온즈/사건사고#s-1.7|부정 배트를 사용]]한다고 의혹을 제기한 걸로 유명한 경기 맞다.] 김태균도 3점홈런을 2개나 치기도 했다. * 롯데에서 뛰던 2003년 10월 2일, 과거 삼성 시절 팀 후배였던 [[이승엽]]의 56호 홈런 신기록 당시 롯데의 3루수로 선발 출장했는데, 홈런을 치고 한바퀴 돌던 이승엽에게 상대 팀 선수임에도 하이파이브를 청한 바 있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236198#home|#]] * 현역 시절 우승반지는 한 번도 껴보지 못했는데,[* 삼성이 첫 한국시리즈 우승컵을 들어올린 [[2002년 한국시리즈]] 전에 롯데로 트레이드되어 팀을 떠나는 바람에 간발의 차이로 우승반지를 껴보지 못했고, SK 시절이던 [[2007년 한국시리즈]]에서는 엔트리에 들지 못했다.] 은퇴 후 코치가 되면서 무려 5개의 우승반지를 획득하는 등 은퇴 후 오히려 반지 캡터로 불리게 되었다. 그것도 [[SK 와이번스]](2008, 2010), [[삼성 라이온즈]](2012, 2013), [[kt wiz]](2021) 이렇게 3개의 팀에서 코치로 활동하며 우승반지를 껴봤다는 특이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선수로만 한정해도 3개 이상의 팀에서 우승반지를 획득해본 선수는 [[최훈재]](LG, 해태, 두산), [[박종호(1973)|박종호]](LG, 현대, 삼성), [[심정수]](OB, 현대, 삼성) 3명밖에 없는 희귀한 기록이다.] * [[김한수]]와는 같은 1971년생, [[중앙대학교 야구부|중앙대학교]] 90학번 동기에, 대학 졸업 후 1994년 삼성에 나란히 지명되어 입단했다는 공통점이 많다. 마침 둘 다 내야수인데다 등번호도 김한수 5번, 김태균 6번으로 서로 이어져 있다 보니 90년대 후반 삼성의 쌍두마차로 불렸던 바 있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5>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장타율}}} || {{{#ffffff 출루율}}} || || 1994 ||<|8> [[삼성 라이온즈|삼성]] || 65 || 139 || .245 || 34 || 8 || 0 || 2 || 17 || 10 || 1 || 14 || .345 || .310 || || 1995 || 69 || 116 || .164 || 19 || 3 || 0 || 0 || 8 || 10 || 2 || 10 || .188 || .228 || || 1996 || 106 || 217 || .226 || 49 || 5 || 0 || 6 || 21 || 24 || 4 || 32 || .332 || .321 || || 1997 || 115 || 349 || .258 || 90 || 23 || 1 || 16 || 62 || 64 || 5 || 51 || .467 || .350 || || 1998 || 109 || 303 || .201 || 61 || 6 || 1 || 8 || 33 || 29 || 3 || 40 || .307 || .292 || || 1999 || 125 || 394 || .244 || 96 || 14 || 1 || 12 || 53 || 43 || 4 || 63 || .376 || .345 || || 2000 || 127 || 396 || .240 || 95 || 20 || 1 || 4 || 36 || 43 || 5 || 35 || .326 || .300 || || 2001 || 61 || 118 || .203 || 24 || 5 || 0 || 0 || 8 || 14 || 0 || 13 || .246 || .282 || || {{{#000000 연도}}} || {{{#000000 소속팀}}} || {{{#000000 경기수}}} || {{{#000000 타수}}} || {{{#000000 타율}}} || {{{#000000 안타}}} || {{{#000000 2루타}}} || {{{#000000 3루타}}} || {{{#000000 홈런}}} || {{{#000000 타점}}} || {{{#000000 득점}}} || {{{#000000 도루}}} || {{{#000000 4사구}}} || {{{#000000 장타율}}} || {{{#000000 출루율}}} || || 2002 || [[삼성 라이온즈|삼성]] / [[롯데 자이언츠|롯데]] || 67 || 145 || .193 || 28 || 7 || 0 || 3 || 16 || 11 || 1 || 16 || .303 || .273 || || 2003 ||<|2> [[롯데 자이언츠|롯데]] || 101 || 231 || .216 || 50 || 11 || 0 || 3 || 32 || 15 || 3 || 20 || .303 || .273 || || 2004 || 40 || 78 || .244 || 19 || 2 || 0 || 3 || 10 || 9 || 0 || 3 || .385 || .268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장타율}}} || {{{#ffffff 출루율}}} || || 2005 ||<|3> [[SK 와이번스|SK]] || 110 || 232 || .237 || 55 || 11 || 1 || 5 || 22 || 24 || 1 || 21 || .358 || .299 || || 2006 || 116 || 219 || .244 || 49 || 7 || 1 || 1 || 14 || 21 || 1 || 23 || .279 || .295 || || 2007 || 23 || 23 || .174 || 4 || 0 || 0 || 0 || 3 || 0 || 0 || 2 || .174 || .240 || ||<-2> '''[[KBO 리그|KBO]] 통산''' [br] (14시즌) || 1235 || 2960 || .227 || 673 || 122 || 6 || 63 || 335 || 317 || 30 || 343 || .336 || .305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태균(1971), version=22)]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코치]][[분류:1971년 출생]][[분류:1994년 데뷔]][[분류:2007년 은퇴]][[분류:부산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부산고등학교 출신]][[분류:중앙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삼성 라이온즈/은퇴, 이적]][[분류:롯데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SK 와이번스-SSG 랜더스/은퇴, 이적]][[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야구 메달리스트]][[분류:2000 시드니 올림픽 야구 메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