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include(틀:대한민국 공법)] ||<-2> '''{{{+3 김철수}}}[br]{{{+1 金哲洙}}}'''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022032801000878200054951.jpg|width=100%]]}}} || || '''호''' ||금랑(琴浪) || || '''본관''' ||[[선산 김씨]][* [[http://artko.kr/~ljw/board?menu_id=421&p=2&pm=view&article_id=29916|#]]. 농암파(籠巖派)-헌납공파(獻納公派) 38세 '''수(洙)''' 원(源) 항렬.] || ||<|2> '''출생''' ||[[1933년]] [[7월 10일]] ||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면 금호동 문주마을 176번지[* 이 지번은 1982년 12월 21일 김철수의 아버지 김석두(金錫斗, 1915. 6. 14 ~ ?)에게로 소유권이 이전되었다가, 2007년 10월 1일 김철수의 셋째 남동생 김효원(金孝源, 1946. 3. 3 ~ )에게로 소유권이 이전되어 현재에 이른다.][br](現 [[대구광역시]] [[북구(대구)|북구]] [[금호지구]])[* [[https://ljw1674.tistory.com/18302760|#]]] || || '''사망''' ||[[2022년]] [[3월 26일]] (향년 88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가족''' ||6남 1녀 중 장남 || || '''학력''' ||[[대구달성초등학교|대구달성국민학교]][* [[https://www.idaegu.com/newsView/idg202202130093|#]]] {{{-2 ([[졸업]] / 24회)}}}[br][[경북고등학교|경북중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법과대학]] {{{-2 ([[법학]] / [[학사]])}}}[br][[뮌헨 대학교|뮌헨 대학교 대학원]] {{{-2 ([[법학]] / [[석사]])}}}[br][[서울대학교 대학원]] {{{-2 ([[법학]] / [[박사]][*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91851|違憲法律審査制度의 硏究 : 韓國憲法訴訟制度의 實證的硏究]](위헌법률심사제도의 연구 : 한국헌법소송제도의 실증적연구, 1971. 8).])}}}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헌법학자. [[서울대학교/학부/법과대학|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명예교수]]. 역작인 《헌법학개론》 과 많은 제자들로 인해, 한국 헌법학을 논할 때 빼놓을 수 없는 학자이다. [[대한민국 헌법]]에 [[헌법재판소]] 제도가 도입되는 데에 큰 기여를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필가 [[전혜린]]의 前 남편이기도 하다. == 생애 == 1933년 7월 10일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면 금호동 문주마을[* 現 [[대구광역시]] [[북구(대구)|북구]] [[금호동(대구)|금호동]] 문주마을] 176번지의 빈농가에서 아버지 김석두(金錫斗, 1915. 6. 14 ~ ?)와 어머니 [[능성 구씨]](1913. 7. 14 ~ 1994. 1. 12)[* 구강서(具康書)의 딸이다.] 사이의 6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30513019002|#]] [[대구달성초등학교|대구달성국민학교]](24회)와 [[경북고등학교|경북중학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1956년 [[서독]]으로 건너가 [[뮌헨 대학교]]에서 법학 석사 과정 연구원으로 수학하였다. 1961년 석사 과정을 졸업한 후 귀국하여 이듬해인 1962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조교수에 임용되어 교편을 잡았으며 1971년 8월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72년 정교수로 승진하여 1998년까지 서울대학교에서 교수로 있었으며, 총 41년간 헌법학을 강의했다. 서울대 교수시절인 70년대 학자적 양심과 소신을 드러내며 왜곡됐던 과거 정치 상황과 충돌하기도 했다. 그 시절 정권은 그가 집필한『헌법학개론』에서 유신헌법을 ‘민주적 대통령제가 아닌 공화적 군주제’로, 통일주체국민회의는 ‘견제기관이 아닌 협찬기관’이라고 명시한 구절을 문제 삼았다. 책은 발매금지됐고 고인은 중앙정보부에 끌려가 1주일 동안 고초를 겪었다. 1980년 1월엔 ‘서울의 봄’을 맞아 다른 교수들과 함께 ‘6인 교수 헌법개정안’을 내놓았지만, 군부의 재등장으로 빛을 보지 못했다. 지식인 선언과 교수협의회 활동 등을 통해 신군부를 비판한 탓에 체포령 속에 도피생활을 하기도 했다. 1993년에는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여받기도 했다. 은퇴 후 1998년부터 2000년까지 [[탐라대학교]] 총장을 지냈다. 제자로 [[황우여]] 前 교육부장관, [[박철언]] 前 의원, 김효전 동아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 조병륜 명지대학교 법과대학 명예교수, [[양건(1947)|양건]] 前 감사원장, 박용상 [[언론중재위원회]] 위원장, 문광삼 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 [[홍정선]]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 ~~금강불괴~~ 박홍우 변호사,[* [[판사 석궁 테러 사건]]의 피해자.] 김문현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 김대환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前 원장, 김종서 배재대학교 공무원법학과 교수, 황도수 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장용근 홍익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백윤철 대구사이버대학교 복지행정학과 교수, [[김상철(1947)|김상철]] 前 [[서울특별시장]] 등이 있다.[* 그 밖에, 국제법학자 출신 정치인 [[이상돈(1951)|이상돈]], 고시왕 [[고승덕]], [[김희옥]] 前 헌법재판소 재판관, [[성낙인]] 서울대학교 前 총장 등도 석사논문 지도교수가 김철수 교수이다.] 양적(?)으로, 한국 법학자 중 가장 제자복이 많았던 교수 중 하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저서로는 1963년 《헌법질서론》, 1971년 《헌법학》(상·하권), 1973년 《헌법학개론》 등의 교과서를 출판했다. 그외 400여 편의 논문과 시론을 발표했다. 대중서로는 2012년 《헌법정치의 이상과 현실》을 출판했다. 2022년 1월 《기본권의 발전사》를 출간했고, 3월 26일 지병으로 별세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newspaper/025/0003183174?date=20220328|#]] 2023년에 제자들이 《헌법을 말한다》라는 추모논문집을 간행했다. 원래 90세 기념논문집을 준비하고 있었는데 스승이 갑자기 돌아가셨다고.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철수, version=71)] [[분류:대한민국의 법학자]][[분류:대한민국의 사회과학 교수]][[분류:사립대학 총장]][[분류:북구(대구) 출신 인물]][[분류:선산 김씨]][[분류:1933년 출생]][[분류:2022년 사망]][[분류:경북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뮌헨 대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국민훈장 모란장]][[분류:서울대학교 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