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배우, rd1=김진형(배우))] || '''김진형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ffffff 등번호 34번}}}''' || || 이경민[br](2008) || {{{+1 →}}} || '''김진형[br](2009~2011)''' || {{{+1 →}}} || [[류지혁]][br](2012) || ||<-5>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ffffff 등번호 53번}}}''' || || 김준호[br](2013) || → || '''김진형[br](2014~2016)''' || → || [[최주환]][br](2017~2020) || ||<-5>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ffffff 등번호 05번}}}''' || || 이태민[br](2016) || → || '''김진형[br](2017)''' || → || 결번 || ||<-5> '''[[NC 다이노스|{{{#ffffff NC 다이노스}}}]] {{{#ffffff 등번호 63번}}}''' || || [[최우재(야구선수)|최상인]][br](2016~2017) || → || '''{{{#00275a 김진형[br](2018~2019)}}}''' || → || [[노시훈]][br](2020~)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진형프로필.jpg|width=100%]]}}} || ||<-2> '''{{{+2 김진형}}}[br]金辰炯 | Kim Jin Hyung''' || ||<|2> '''출생''' ||[[1990년]] [[6월 7일]] ([age(1990-06-07)]세) || ||[[경기도]] [[수원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서울신봉초등학교|신봉초]] - [[선린중학교|선린중]] - [[선린인터넷고등학교 야구부|선린인터넷고]] || || '''신체''' ||179cm, 83kg || || '''포지션''' ||[[외야수]], [[1루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09년/신인드래프트#s-3.2|2009년 2차 7라운드]] (전체 54번, [[두산 베어스|두산]]) || || '''소속팀''' ||[[두산 베어스]] (2009~2017) [br] [[NC 다이노스]] (2018~2019) || ||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12~2013) || || '''가족''' ||배우자, 딸 김지아^^(2018년 9월생)^^, 둘째 (2023년 9월생)[br]처제 [[노정의]]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두산 베어스]], [[NC 다이노스]]의 야구선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선린인터넷고등학교 1학년 시절부터 홈런을 때리는 모습들을 보이며 두각을 나타냈다. [[2008년]] 메이저리그 신분조회 명단에도 포함되어 있었다. [[파일:/image/038/2008/04/28/cocochoi200804282209330.jpg]] === 프로 경력 === ==== [[두산 베어스]] 시절 ==== [[파일:external/file.osen.co.kr/201410121803778592_543a43f6d39cf.jpg|width=500]] 1, 2학년때까지는 외야수, 3학년때는 유격수를 보며 내, 외야 수비를 모두 볼 수 있는 선수로 보여졌고, [[한국프로야구/2009년/신인드래프트|2009년 2차 7라운드]] 54순위로 두산베어스에 입단하게 된다. 두산베어스 공식 홈페이지의 스카우팅 리포트를 보면 "내야뿐만 아니라 외야 수비도 모두 가능한 활용폭이 다양한 선수. 외야수로 전환한지 오래 되지 않아 수비력 보다는 공격력이 돋보이며, 특히 배팅 파워와 장타력이 뛰어나다. 장기적으로 육성하면 좋은 선수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라고 나와있다. 2012년 상무에 군입대 후 2014년 제대하여 팀에 다시 합류했다. ===== 2014 시즌 ===== 2014년 첫 1군 출장을 하였으며 2014년 통산 28경기 출장 타율 0.237 9안타 5타점 5득점을 기록하였다. 김진형은 2014년 후반 김광현에게도 안타를 기록할 만큼 내년시즌을 기대하는 타격을 보여주었다. ===== 2015 시즌 ===== 2015년 4월 14일 [[kt wiz]]와의 경기에서 데뷔 첫 홈런을 터뜨렸다. 시즌 중간 햄스트링 부상과 팔꿈치 수술을 받았다. ===== 2016 시즌 ===== 팔꿈치수술 재활로 퓨처스리그에서 1경기밖에 못 나왔다. 시즌 종료 직후 결혼한 것이 유일한 근황. ===== 2017 시즌 ===== 결국 등번호가 05번으로 바뀌고 육성선수로 전환되었다. 퓨처스에서 70경기 타율 0.283 6홈런 19타점을 기록하였다. 시즌 후 재계약불가 통보를 받았다. 보류선수 명단 제외를 통해 방출된 선수 중 유일하게 [[외야수]]이다. ==== [[NC 다이노스]] 시절 ==== NC 다이노스에서 육성선수 신분으로 계약을 체결했다고 한다.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109&aid=0003695218|기사]] ===== 2018 시즌 ===== 입단 이후 [[고양 다이노스]]에서는 [[1루수]]로만 출전하고 있다. 2군에서 상당히 좋은 성적을 보여주고 있지만 아직 1군 기회는 없다. 6월까지 .378의 타율과 5개의 홈런, 1.029의 OPS를 기록 중 고양에서는 총 69경기에 나서 226타수 83안타 12홈런 43타점 16볼넷 33삼진 타출장 .367/.411/.628을 기록하며 비록 2군이지만 나름 좋은 장타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1군에도 [[이원재(1989)|이원재]]나 [[최준석]] 등 방망이 하나로 엔트리를 차지하고 있는 선수는 많기 때문에 결국 1군의 부름은 없었다. ===== 2019 시즌 ===== 3월 31일에 1군에 콜업되었고, 당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 [[정우람]]을 상대로 9회초 대타로 출전했으나 중견수 플라이 4월 2일, [[창원 NC 파크]]에서 벌어진 [[키움 히어로즈]] 전에서 8번 [[지명타자]]로 선발 출전하였다. 2회말 1사 2, 3루 기회에서 우익수 희생플라이로 선취점을 올렸다. 4월 5일자로 다시 2군행을 통보받았다. 하지만 4월 30일 [[이원재(1989)|이원재]]가 허리 부상으로 2군으로 내려가면서 다시 1군으로 콜업되었다. 그리고 당일 [[롯데 자이언츠]]전에서 8번 1루수로 선발 출전했고, 8회 우중간을 가르는 2루타를 쳐내며 NC 이적 이후 첫 안타를 기록했다. 5월 9일 다시 2군으로 내려갔다가 21일 [[유영준(1994)|유영준]]을 대신해 1군으로 올라왔다. 그리고 22일 [[키움 히어로즈]]전에서는 9회 대타로 나와 [[조상우]]를 상대로 안타를 쳐냈다. 이후 득점에도 성공. 다음날에는 5번 1루수로 선발 출전했고, 희생플라이 1타점을 포함해 4타수 1안타 1타점을 기록했다. 팀은 4-2로 승리. 하지만 5월 30일 2군으로 내려간 이후 다시 1군으로 올라오지 못하면서 시즌을 20타수 3안타 2타점 2득점 타출장 .150/.136/.200으로 마감했다. === 은퇴 === 11월 30일 KBO 공시를 통해 방출 사실이 알려졌으며, 2월 6일 자신의 SNS를 통해 사실상 은퇴했음을 알렸다. 그리고 은퇴 후, 2020년 2월 화성시서부리틀야구단의 코치로 지도자의 길을 걷기 시작하였으며, 2020년 하반기 의왕시 리틀야구단 코치를 거쳐 2021년 현재까지 의왕시 리틀야구단 감독으로서 미래의 프로야구 자원들을 지도하고 있다. == 연도별 기록 == ||<-15>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장타율}}} || {{{#ffffff 출루율}}} || || 2009 ||<|9> [[두산 베어스|두산]] ||<|3><-13> 1군 기록 없음 || || 2010 || || 2011 || || 2012 ||<-13><|2> 군 복무([[상무 피닉스 야구단]]) || || 2013 || || 2014 || 28 || 38 || .237 || 9 || 1 || 0 || 0 || 5 || 5 || 0 || 3 || .293 || .263 || || 2015 || 14 || 18 || .167 || 3 || 2 || 0 || 1 || 2 || 3 || 0 || 3 || .286 || .444 || || 2016 ||<|2><-13> 1군 기록 없음 || || 2017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타수 }}}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 2018 ||<|2> [[NC 다이노스|NC]] ||<-13> 1군 기록 없음 || || 2019 || 11 || 20 || .150 || 3 || 1 || 0 || 0 || 2 || 2 || 0 || 0 || .136 || .200 || ||<-2> '''[[KBO 리그|KBO]] 통산[br](3시즌)''' || 53 || 76 || .197 || 15 || 4 || 0 || 1 || 9 || 10 || 0 || 6 || .250 || .289 || == 여담 == * 처제가 배우 [[노정의]]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수원시 출신 인물]][[분류:1990년 출생]][[분류:강릉 김씨]][[분류:외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상무 피닉스 야구단/전역]][[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분류:NC 다이노스/은퇴, 이적]][[분류:선린중학교 출신]][[분류:선린인터넷고등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