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충청남도교육감)] ---- ||<-2> '''{{{#fff 제16-18대 충청남도교육감 [br] {{{+1 김지철}}} [br]金知哲 | Kim Ji-cheo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지철교육감2022.jpg|width=100%]]}}} || ||<|2> '''출생''' ||<(> [[1951년]] [[10월 10일]] ([age(1951-10-10)]세) || ||<(>[[충청남도]] [[천안시|천안군]] || || '''본관''' ||[[김해 김씨]] || || '''현직''' ||[[충청남도교육청|충청남도교육감]] || ||<|2> '''재임기간''' ||제16-18대 [[충청남도교육청|충청남도교육감]] || ||[[2014년]] [[7월 1일]] ~ [[현직]]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족''' ||부인 양현옥, 슬하 2녀 || || '''학력''' ||[[천안고등학교]] {{{-2 ([[졸업]])}}}[br][[공주사범대학]][* 現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2 (영어교육학 / [[학사]])}}}[br]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 ([[교육학]] / [[석사]])}}} || || '''소속 정당''' ||[include(틀:무소속)][*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24조 1항에 의거 교육감은 정당을 가질 수 없다.] || || '''성향''' ||[include(틀:진보교육감)] || || '''소속''' ||[[충청남도교육청]] || || '''경력''' ||제9대 [[충청남도의회]] 교육위원회 교육의원[br]제5대 [[충청남도교육위원회]] 위원[br]학교급식 조례제정 운동본부 추진위원장[br]제1대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충남교사협의회 회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직 고등학교 [[교사]]로 교육정치인이다. 현직 [[충청남도교육청|충청남도교육감]]이다. [[6회 지선]]에서 처음 당선되어 [[8회 지선]]까지 3선 연임에 성공했다.[* [[충청남도지사]] [[양승조]] 후보는 '''재선마저도 실패했다'''.]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세종시교육감]]인 [[최교진]]과 같은 [[진보]] 출신이다. 참고로 [[공주사대|모교]]도 같다.[* 단, [[대전광역시교육청|대전광역시교육감]] [[설동호]]는 [[보수]] 출신이다.] == 생애 == 충청남도 천안군(현 천안시)에서 태어나 천안국민학교, 천안중학교, [[천안고등학교]]를 나왔다. [[공주대학교]](당시 공주사범대학) 영어교육과를 졸업한 뒤 교사로 재직하여, 태안여자중학교, 천안여자고등학교와 [[천안중앙고등학교]], 합덕농공고등학교, 성환고등학교, [[덕산고등학교(충남)|덕산고등학교]], [[천안신당고등학교]][* 이 학교에서 교직생활을 마무리했다.] 등지에서 영어 과목을 가르쳤다. 1989년 5월 26일, 전교조 결성에 참가했다는 이유로 국가공무원법위반 혐의로 전국에서 처음으로 구속됐다. 전교조 충남지부 초대 지부장을 지내고 이후 교사로 복직해 천안공업고등학교 와 천안신당고등학교 등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교복공동구매 네트워크, 천안학교급식협의회 공동대표, 아이들 건강을 위한 국민연대 홍보대사 등 교육관련 단체에서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2006년 7월 31일 치러진 지방교육자치선거에 출마해 충남 제1선거구(천안.아산.연기)에서 318표로 1위를 차지하며 [[충청남도교육위원회]] 교육위원에 당선되어 충남교육위원회 역사상 첫 전교조 출신 교육위원으로 기록됐다. 2009년 4월 29일 치러진 충남교육감 보궐선거에 교육행정 옴부즈맨제도 도입과 친환경 학교급식,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 등을 공약으로 제시하며 유일한 진보진영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2010년에는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교육의원]]으로 출마해 제1선거구(천안)에서 8만1636표를 얻어 당선되었다. 2014년에는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충청남도교육감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2018년 6월 13일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교육감선거부분)에서 427,123표 (44.07%)으로 3명의 후보 가운데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출처:선관위) 2022년 6월 1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교육감선거부분)에서 287,639표 (33.79%)으로 김지철 본인을 제외한 나머지 3명의 보수 후보들이 최종적으로 단일화를 이뤄내지 못하며 상대적으로 쉽게 3선에 성공하였다.[* 김 교육감은 이번 선거에서 당선되면 3선이라 다음 선거에서는 나설 수 없어 현역이 없는 무주공산 상황이 되어 후보가 난립하여도 해볼만한 승부가 되는 반면에 같은 진영의 후보가 단일화하여 당선되면 이제 초선이고 현직 버프를 강하게 받기 때문에 한번 양보하는 상황이 되면 쭉 선거에 나서기 어렵기에 서로 간의 이해관계가 맞물려 단일화를 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다수의 보수 후보가 난립한 가운데 어부지리로 당선된 [[조희연]] 서울시교육감과 비슷한 케이스. 이번 지방선거에서 [[광역자치단체장]]은 [[국민의힘]] 후보가 승리하는 가운데 진보교육감이 3선을 찍은 것도 서울과 매우 비슷하다. == 선거 이력 ==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성향'''}}}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9 || [[2009년 재보궐선거#s-2.1.5|상반기 재보궐선거]] || [[충청남도교육청|충청남도교육감]] ||<|5> [include(틀:진보교육감)] || 52,639 (19.26%) || 낙선 (3위) || [* 전임자 [[오제직]]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교육감직 상실] || || 201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충청남도교육의원 1 || '''81,636 (44.32%)''' ||<|4> '''당선 (1위)''' || '''초선''' || || 2014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 [[충청남도교육청|충청남도교육감]] || '''273,561 (31.84%)''' || '''초선'''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421,123 (44.07%)''' || '''재선''' || || 2022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287,639 (33.79%)''' || '''3선''' ||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교육감)] [[분류:대한민국의 교사]][[분류:천안시 출신 인물]][[분류:1951년 출생]][[분류:전국교직원노동조합 출신 인물]][[분류:천안고등학교 출신]][[분류:공주대학교 출신]][[분류:충청남도교육청 교육감]][[분류:김해 김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