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인 경북도청 공무원, rd1=김중권(1964))] [include(틀:역대 대통령비서실장)] ---- || {{{#ffffff '''김중권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총재 및 대표)]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제16대 대통령 후보 경선)] ---- [include(틀:역대 정무수석비서관)]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82e59 0%, #082e59 20%, #082e59 80%, #082e59)" '''[[대통령비서실장|{{{#fff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비서실장}}}]][br]{{{#fff {{{+1 김중권}}}[br]金重權 | Kim Joong-kwon}}}'''}}}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20120116.010050804120001i1.jpg|width=100%]]}}} || ||<|2> '''출생''' ||[[1939년]] [[11월 25일]] ([age(1939-11-25)]세) || ||[[강원도]] [[울진군]] [[울진군/행정#s-3.1|평해읍]] 월송리[br](現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군/행정#s-3.1|평해읍]] 월송리)|| || '''본관''' ||[[김해 김씨]] || || '''호''' ||진송(珍松) || || '''배우자''' ||홍기명 || || '''자녀''' ||1남 2녀 || ||<|4> '''재임기간''' ||[[노태우 정부]] 제4대 [[정무수석비서관]] || ||[[1992년]] [[5월 6일]] ~ [[1993년]] [[2월 24일]] || ||제21대 [[대통령비서실장]] || ||[[1998년]] [[2월 25일]] ~ [[1999년]] [[11월 23일]] || || '''학력''' ||평해초등학교 {{{-2 ([[졸업]])}}}[br]평해중학교 {{{-2 ([[졸업]])}}}[br]후포고등학교 {{{-2 ([[졸업]])}}}[br][[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학부/법과대학|법과대학]] {{{-2 ([[행정학]] / [[학사]])}}}[br][[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대학원#s-1.1|사법대학원]] {{{-2 ([[법학]] / [[석사]])}}}[br][[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대학원|대학원]] {{{-2 ([[법학]] / [[박사]])}}} || || '''병역''' ||[[대한민국 공군]] [[대위]] 만기전역 || || '''종교''' ||[[개신교]]([[장로회|장로교]])[* [[예장통합]] 소속의 서울약수교회의 [[장로]]이다.] || || '''신체''' ||172cm, 79kg, [[A형]] || || '''의원 선수''' ||'''3''' || || '''의원 대수''' ||[[제11대 국회의원|'''11''']], [[제12대 국회의원|'''12''']], [[제13대 국회의원|'''13''']] || || '''약력''' ||[[사법시험]] 합격(8회)[br][[서울고등법원]] 판사[br][[민주정의당]] 국회의원[br][[노태우]]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br][[새정치국민회의]] 선거대책위원장[br][[김대중]] [[대통령비서실장]][br][[새천년민주당]] 대표최고위원[br][[열린우리당]] 법률행정특임고문[br][[대통합민주신당]] 법률행정특임고문[br][[민주통합당]] 상임고문[br][[명지대학교]] 법학과 겸임교수[br][[청주대학교]] 법학과 겸임교수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관료, [[변호사]]이다. 여담으로,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 한자 이름도 같고 역시 고대 법대 출신인 법학 교수(1961년 생)가 있다. == 생애 == 1939년 3월 29일 [[강원도]](현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월송리[[http://www.ulji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80|#]]에서 태어났다. 울진 후포고등학교,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행정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사법시험]](제8회)에 합격해 [[대한민국 공군]] [[군법무관|군법무관(공군 검찰부장)]]으로 복무하였다.[* 이 시기에 [[실미도 사건]]을 수사했고 나중에 사형집행까지 참관했다.] 전역 후 [[판사]]로 근무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경상북도 [[울진군]]-[[영덕군]]-[[청송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한국당]] [[김찬우(1933)|김찬우]]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한국당 [[황병우]]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경상북도 [[울진군]]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0년 제13대 [[대한민국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에 선출되었다. 그러나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경상북도 [[울진군]] 선거구에 출마하였다가 [[한울 원자력 발전소|울진 원자력 발전소]] 유치에 따른 주민들의 반발로 낙선하였다. 낙선 후 [[노태우]] 대통령 임기 말에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에 임명되었다. 이 때 [[민주당(1991년)|민주당]] [[김대중]] 대표최고위원에게 정치자금을 전달하면서 김대중과 인연을 맺었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한국당]]의 공천을 받지 못하고 [[무당파국민연합]] 후보로 경상북도 [[울진군]]-[[봉화군]]-[[영양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신한국당 후보는 봉화군 - 영양군 현직 의원인 김광원이었고 국민회의 후보는 후일 극우성향으로 이동하게 될 [[조영환]]이었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김대중 지지를 선언하며 [[새정치국민회의]]에 입당하였다. 1998년부터 1999년까지 [[대통령비서실]]장을 역임하였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경상북도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봉화군·울진군]]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한나라당]] [[김광원(1940)|김광원]] 후보에 밀려 '''16표 차로''' 낙선하였다. 같은 해부터 2001년까지 새천년민주당 대표최고위원을 역임하였다.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영남권 건전보수를 자임하며 새천년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 출마하였으나 중도 사퇴하였다. * 웬만한 국회의원 선거 최소득표차보다 적은 표차였지만 같은 선거에서 --[[문학진|문세표 사건]]-- '''3표'''차로 당락이 갈린 곳(경기 광주)이 있어서 묻혔다.(...) 물론 완전 묻힌건 아니고 TK에서 민주당 후보로 거의 당선될 뻔 했기에 상당한 주목을 받긴 했다. 1996년 총선에서 안동시 갑 선거구에 [[권오을]]이 [[통합민주당(1995년)]]으로 당선된 이후, 민주당계 정당 당선자는 계속 없다가 김중권 낙선 16년이 지나고서야 민주당 국회의원([[김부겸]], [[홍의락]])이 나왔고, 아직도 대구가 아닌 경상북도에서는 민주당 국회의원이 없기 때문에 경북에서는 이게 가장 전설적인 기록이긴 하다. 그러나 사실 김중권은 전두환의 민주정의당 출신에, 김부겸은 [[민주당(1990년)|꼬마민주당]] 활동을 하다가 [[한나라당]]에 합류했고, 홍의락은 민주당계(그 가운데 민평련 쪽)가 맞으나 무소속으로 당선되었기에 순수 민주당계 의원의 TK 입성은 아직도 요원하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노무현 대통령 탄핵 사태]]가 터지자 새천년민주당을 탈당, [[무소속]]으로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김광원 후보에게 또 졌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같은 지역구에 출마했으나 김광원의 후임(?)인 한나라당~새누리당의 [[강석호]] 후보에게 연거푸 낙선하였다.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민주통합당]] [[김두관]] 후보 캠프의 고문을 맡았다가 [[문재인]] 후보를 지지하였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white 연도}}} || {{{#white 선거 종류}}} || {{{#white 선거구}}} || {{{#white 소속 정당}}} || {{{#white 득표수(득표율)}}} || {{{#white 당선 여부}}} || {{{#white 비고}}} || || 1981 ||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 경북 11[*a 영덕군, 청송군, 울진군] ||<|2> [include(틀:민주정의당(1981~1987))] || '''49,144 (41.08%)''' ||<|3> '''당선 (1위)''' || '''초선''' || || 1985 ||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 경북 8[*a] || '''51,624 (42.89%)''' || '''재선''' || || 1988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2> 경북 울진 || [include(틀:민주정의당)] || '''23,484 (54.78%)''' || '''3선'''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민주자유당)] || 14,285 (38.50%) ||<|6> 낙선 (2위) ||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경북 영양·봉화·울진 || [include(틀:무당파국민연합)] || 15,724 (20.16%) ||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경북 봉화·울진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8,702 (49.98%) || '''19표차 낙선'''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3> 경북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영양·영덕·봉화·울진]] ||<|3> [include(틀:무소속)] || 22,932 (26.89%) ||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30,365 (38.90%) ||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28,171 (35.98%) ||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1대 국회의원/경상북도)] [include(틀:제12대 국회의원/경상북도)] [include(틀:제13대 국회의원/경상북도)] [[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1939년 출생]][[분류:울진군 출신 인물]][[분류:국민의 정부/인사]][[분류:노태우 정부/인사]][[분류:제11대 국회의원]][[분류:제12대 국회의원]][[분류:제13대 국회의원]][[분류:민주정의당 국회의원]][[분류:민주자유당 국회의원]][[분류:정무수석비서관]][[분류:대통령비서실장]][[분류:새천년민주당 총재 및 대표]][[분류:법조인 출신 정치인]][[분류:고려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장로회 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