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준교.png|width=100%]]}}}|| || {{{#ffffff '''성명'''}}} ||김준교 || || {{{#ffffff '''별명'''}}} ||태극기부대 청년 위원, 짝3호 || || {{{#ffffff '''출생일'''}}} ||[[1982년]] [[2월 16일]] ([age(1982-02-16)]세) || || {{{#ffffff '''출생지'''}}} ||[[서울특별시]] || || {{{#ffffff '''학력'''}}} ||[[서울과학고등학교]] {{{-2 ([[졸업]])}}} [br][[한국과학기술원]] {{{-2 (산업공학 / [[학사]])}}}|| || {{{#ffffff '''소속 정당'''}}} ||[include(틀:국민의힘)] || || {{{#ffffff '''SNS'''}}} ||[[https://youtube.com/c/%EA%B9%80%EC%A4%80%EA%B5%90%EC%9D%98%EB%AC%B8%ED%83%84%EB%9D%BC%EC%9D%B4%EB%B8%8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cafe.naver.com/moontanhack|[[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width=25]]]] [[http://blog.naver.com/kimjklmn1|[[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학원 강사, 정치인이다. == 이력 == 고등학교 재학 중 [[섬유근육통]]증후군을 앓기 시작해 10여년 간 치료에 전념하였다고 저서 '그래서 공부하고 그래도 공부한다'에서 밝혔다. 2005년 12월 육군에 입대하였지만 섬유근육통증후군으로 1년 3개월만에 의병제대하였다. 대학 졸업 후 대치동에서 수학 강사로 활동하며 [[https://cafe.naver.com/gsstudy1|준교쌤 수학교실]]이라는 학습 카페를 운영하였다. <학원은 사기다>, <수능 수학의 지름길>, <그래서 공부하고 그래도 공부한다> 등의 학습 서적을 출간하였다. 한때 디시인사이드 [[인강 갤러리]]에서 활동하기도 했다.수험생 커뮤니티에서 '준교쌤'이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하며 학원 스튜디오에서 촬영한 기출문제(자이스토리) 강의를 웹하드 및 유튜브 등지에 업로드하곤 했다. 2007년 17대 대선에서 무소속 [[이회창]] 후보의 사이버 보좌역을 맡았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 [[자유선진당]] 소속으로 '미래의 대통령'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광진구 갑]]에 출마하였지만 3위로 낙선하였다. 당시 “광진구 어린이들을 100% 서울대로 보내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는데, 이는 서울대 정원 등을 따져봤을 때 불가능한 공약이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385113|#]]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18204&cid=60378&categoryId=60383|#]] 2011년 11월 SBS 리얼리티 쇼 <[[짝(SBS)|짝]]> 17기 모태솔로 특집에 남자 3호로 출연하였다. [[http://www.ddanzi.com/free/549051415|#]] 유튜브 방송에서 2019년 현재까지 연애 경험이 없다고 밝혔다. 시간낭비할 이유가 없어 좋다고 한 것으로 보아 프로그램 출연이 연애관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유성구 갑]]에 자유선진당 예비 후보로 등록하였지만 [[민주통합당]] 공천에서 탈락하여 자유선진당으로 당적을 옮긴 [[송석찬]] 후보가 전략공천되면서 고배를 마셨다. [[http://times.kaist.ac.kr/news/articleView.html?idxno=1456|#]] [[https://www.tvreport.co.kr/?c=news&m=newsview&idx=194486|TV리포트]] 이후 자유선진당이 선진통일당으로 당명 변경 후 [[새누리당]]에 합당되면서 새누리당-자유한국당 당적을 가지게 된 것으로 보인다. 19대 총선 공천탈락 이후 한동안 정치활동을 자제하다가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김문수]] 서울시장 후보 캠프 SNS팀장을 맡으며 정계에 복귀했다. 2018년 '''문재인 탄핵 국민운동본부'''라는 자신의 [[https://cafe.naver.com/moontanhack|카페]]를 개설했다. 향후 2020년 '''우파승리 국민운동본부'''로 바꿨다. 후술할 내용과 함께 카페 역시 대긍모[* 이 카페는 [[일베저장소]] 보다도 더 극단적인 극우 성향을 띠며, [[식민지 근대화론]]이나 [[일본 극우사관]]을 지지하기까지 한다.]나 [[노노데모]]랑 비슷한 [[극우]] 성향을 띄고 있다.[* 이게 어느 정도나면 대긍모 운영자 출신의 해당 카페 운영진이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오염수 문제]]를 빨갱이들의 선동이라고 하는 글을 볼 수 있고, [[램지어]] 교수를 옹호하는 회원도 있다.] 2019년 [[자유한국당]] [[자유한국당/2.27 전당대회|2.27 전당대회]]에 청년최고위원 후보로 출마하였다. 김준교 후보는 4명의 후보들 중 2위를 기록했다. 현역 의원인 [[신보라(정치인)|신보라]]에 밀려 낙선했지만, 다른 후보들에 비해서는 높게 나온 것이다. 최고위원 낙선 이후 한동안 근황이 알려지지 않았다가 2019년 5월 2일 선거법, 공수처법 패스트트랙에 반대하는 한국당 국회의원 삭발식에 참석해 옆에서 같이 삭발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http://naver.me/xTUJCvuQ|#]]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미래한국당]] 비례대표 후보로 공천을 신청하였으나 낙천하였으며 [[미래통합당]]으로 복귀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2020년 9월부터 다시 학원강사로 복귀했다가, 다시 유튜버 활동을 하고 있다. 제18대 대통령 이었으나 탄핵되고 실형까지 살다 석방 된 [[박근혜]]에 대해 [[친박|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이때문인지 제20대 대통령 당선인 [[윤석열]]에 대해서도 약간 비판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022년 [[국민의힘]] [[국민의힘/제3차 전당대회|제3차 전당대회]]에 당대표로 출마를 선언했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1214_0002123436&cID=10301&pID=10300|#]] 그러나 2023년 2월 5일 예비경선 명단에 오르지 못해 컷오프되었다. 지금은 본업인 수학강사로 복귀하여 활동하고 있다.[[https://cafe.naver.com/gsstudy1/11462|카페글]] == 논란 및 사건사고 == === 짝 출연 당시 태도 논란 === <[[짝(SBS)|짝]]> 출연 당시 상대방 여성에게 "돈을 벌어 학원을 차려주겠다"고 하다가 퇴짜를 맞았는데, 분이 안 풀렸는지 “여자한테 돈 쓰는 건 안 아까운데 시간 쓰는 건 아깝다”, “핑곗거리만 찾으면 바로 포기합니다”라는 발언을 해서 시청자들의 비난을 받았고, 결국 짝 출연자 카페에 사과를 하기도 했다. === 자유한국당 전당대회 막말 연설 === 2019년 2월 14일 대전에서 열린 합동연설대회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탄핵시키지 못하면 자유 대한민국은 멸망한다."라는 주장을 펼쳐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0&aid=0003198806|#]] 나흘 뒤 열린 대구 합동연설대회에서는 한술 더 떠서, "저딴 게 무슨 대통령? 종북 주사파 문재인 정권을 탄핵시키지 못하면 자유 대한민국이 멸망하고 북한 김정은의 노예가 된다. 나에게 90% 이상의 표를 몰아서 문재인을 탄핵하자"라는 극우성 발언을 하여 크게 논란이 되었다. 이에 바른미래당이 '자유한국당의 미래? 고개를 들어 김준교 보게 하라.'는 논평을 남기는 등 비난이 쏟아졌다. [[http://news.donga.com/3/all/20190219/94190194/2|#]] 보수 성향의 언론조차 부정적인 보도를 내보냈다. [[https://youtu.be/HM6BAH-UWDA|#]] [[https://news.v.daum.net/v/20190220030216612?f=m|#]] 같은 당 소속인 [[이완구]] 전 국무총리조차 "대단히 잘못된 표현이며 해당(害黨) 행위 이상"이라고 비판하고, [[정두언]] 전 의원은 "말은 청년 대표라는데 생각은 완전 꼰대 대표인 것 같고. 그러니까 케케묵은 거의 전쟁 세대들이나 얘기할 수 있는 얘기", "도대체 나이를 거꾸로 먹었는지 이해가 안 간다"라고 말할 만큼 이 발언은 전당대회를 앞두고 5.18 망언 논란으로 최악의 위기를 맞은 자유한국당의 입지를 더 위태롭게 만들었다. 김준교의 언행에 대해 [[박관용]] 자유한국당 중앙당 선거관리위원장은 [[김진태(정치인)|김진태]] 후보 및 그 지지자들에 '김진태 데리고 좀 우리 당을 나가라'고 비난한 조대원 최고위원 후보에게 주의·시정 조치를 내린 것을 언급하면서 "김준교 후보도 한 번 주의를 주고 (문제 발언을) 계속하면 다른 조치를 하겠다고 경고해야 되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전했다. [[http://news1.kr/articles/?3552687|#]] [[이준석]] 바른미래당 최고위원에 따르면, 카이스트 다녔을 당시에 김준교를 만난 적이 있었는데 그때부터 정치성이 강했다고 한다. 하지만 강경하기는 했어도 앞에 나서서 막말을 하거나 하는 사람이 아니었는데, 조급함이 생겨서 그런 것 같다고 말했다. [[https://news.v.daum.net/v/20190220112700964?f=m|#]] 하지만 현재 김준교 유튜브 채널 게시글을 보면 김준교와 이준석은 다시 사이가 안좋아진 듯 하다. 김준교 후보가 20일 오전 페이스북을 통해서 젊은 혈기에 다소 정제되지 못한 표현과 말실수였다며 이완구 전 총리를 시작으로 당 내부에서 자신을 향해 비판하는 목소리에 대해 무례하게 보일 수 있었다며 사죄했다. 하지만 이는 자신의 막말로 인해서 자유한국당에 대한 비판이 커지자 자유한국당에만 사과를 한 것이라고 비판하는 시각이 많다. [[https://news.v.daum.net/v/20190220105444204|#]] 김준교 후보는 페이스북을 통해서 '중도 확장론은 달콤한 독약'이라면서 어중간하게 왔다갔다 해서는 안 되고, 자유한국당이 사는 길은 선명한 애국우파 정당으로 환골탈태하는 것이라며 그래야 나중에 문재인 정권에 실망한 중도파들도 자유한국당을 지지해줄 거라고 지금과 같은 스탠스를 유지할 것 같은 글을 남겼다. [[https://news.v.daum.net/v/20190220114230823|#]] 그리고 "요즘 세상에 극우가 어디있냐"는 글을 남겼다.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001&oid=421&aid=0003842928|#]] 한편 문재인을 대통령으로 인정 안 하는 이유로 [[https://news.v.daum.net/v/20190220160915003|“대한민국의 이익과 국민을 위하지 않는다면 대통령 자격이 없다고 본다. (지난 대선 당시 벌어진) 드루킹 사건에서 보듯 (지난 대선) 과정 자체에 문제가 있었어도 (문 대통령이) 대한민국 이익을 위해서 일하면 뭐라 안 하겠는데 북한 하수인 노릇을 하고 있으니 문제다. 북한 김정은의 이익을 위해서 일하니 탄핵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당 선관위가 21일 김준교 후보의 발언 문제에 대해 논의한다고 전해졌으나 박관용 위원장이 "징계 논의는 아니다."라고 한다. 조대원 후보 때와 비교했을 때 당 선관위의 움직임이 느리다는 소리가 나와도 할 말이 없을 듯. [[https://news.v.daum.net/v/20190220184324298|#]]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3&aid=0003428999|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5.18 심층 조사와 외국인 노동자 추방 언급도 했다.]] 이로 인해 블로그에 많은 욕설 댓글 등 온갖 비판이 쏟아져 내렸으며, 옹호하는 댓글에도 똥을 싼다는 등 욕설이 달린 비판 답글이 달렸다. 현재는 대부분의 블로그 게시글을 비공개 한 상태다.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무소속)] || 2007 - 2008 || 정치 입문 || || [include(틀:자유선진당)] || 2008 - 2011 || 입당 || || [include(틀:자유선진당)] || 2011 - 2012 || 합당[* [[국민중심연합]]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선진통일당)] || 2012 || 당명 변경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2 - 2017 || 합당[* [[새누리당]]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2017 - 2020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2020 || 미래한국당 합류를 위한 탈당 || || [include(틀:미래한국당)] || 2020 || 입당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2020 || 합당 || || [include(틀:국민의힘)] || 2020 - || 당명 변경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광진구 갑|광진 갑]] || [include(틀:자유선진당)] || 4,425 (7.15%) || 낙선 (3위) ||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준교 2008.jpg|width=100%]]}}} ||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18대 총선}}}]] ([[광진구 갑|{{{#000000,#e5e5e5 서울 광진 갑}}}]]) ||}}}}}}}}}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준교, version=61)][[분류:1982년 출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서울과학고등학교 출신]][[분류:한국과학기술원 출신]][[분류:학원 강사]][[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교육인 출신 정치인]][[분류:국민의힘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