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개그맨, rd1=김주철(코미디언))] ||
'''김주철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oeiwjnFKre1sqk8veo7_r1_540_2.jpg|width=70]] '''2000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s-2]] MVP''' || ---- ||
[[KBO 퓨처스리그|[[파일:KBO 퓨처스리그 엠블럼.svg|height=30]]]][br] '''{{{#fff 2005 KBO 퓨처스 남부리그 다승왕}}}''' || ---- ||<-5> '''{{{#ffffff [[해태 타이거즈|{{{#ffffff 해태}}}]]{{{/}}}[[KIA 타이거즈|{{{#ffffff KIA 타이거즈}}}]] 등번호 61번}}}''' || || [[소소경]][br](1998~2000) || {{{+1 →}}} || '''{{{#f01e23 김주철[br](2001~2005)}}}''' || {{{+1 →}}} || [[이범석(야구선수)|이범석]][br](2006~2009) || ||<-5> '''{{{#ffffff [[KIA 타이거즈|{{{#ffffff KIA 타이거즈}}}]] 등번호 48번}}}''' || || [[이호신]][br](2007) || {{{+1 →}}} || '''{{{#f01e23 김주철[br](2008)}}}''' || {{{+1 →}}} || [[박기남]][br](2009.4.20.~2009)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hoto.isportskorea.com/20010316191944181A4.jpg|width=100%]]}}} || ||<-2> '''{{{+2 김주철}}}''' || ||<|2> '''출생''' ||[[1982년]] [[5월 5일]] ([age(1982-05-05)]세)|| ||[[서울특별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충암초 - [[성남중학교(서울)|성남중]] - [[성남고등학교 야구부|성남고]]|| || '''포지션''' ||[[투수]]|| || '''투타''' ||[[우투우타]]||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01년/신인드래프트#s-3.2|2001년 2차 1라운드]] (전체 6번, [[해태 타이거즈|해태]])|| || '''소속팀''' ||[[해태 타이거즈|해태]]-[[KIA 타이거즈]] (2001~2008)|| ||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br]{{{-2 (2005년 11월 21일 ~ 2007년 11월 20일)}}}||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야구 관련 인물|야구 선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 [[파일:external/photo.isportskorea.com/20000609230022810B9.jpg]] || || [[성남고등학교 야구부|성남고]] 시절. (출처 : 포토로) || [[성남고등학교 야구부|성남고]] 시절에는 당시 엄청난 우완 파이어볼러였다. 당시 최고투수 [[대구상원고등학교 야구부|대구상고]]의 [[이정호(1982)|이정호]]와 2000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결승전 맞대결에서 9이닝 3피안타 1실점으로 판정승을 거두기도 했다.[* 바로 전년도 대회에서 대구상고는 [[장준관]]과 이정호의 활약으로 우승을 차지했고, 대회 2연패를 대다수가 예상했다.][* 2000년 청룡기 우승 전 [[성남고등학교 야구부|성남고]]의 마지막 우승은 1970년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였다.] 그 청룡기 대회에서는 무려 혼자 5승이나 따냈다. 새가슴류도 아닌 엄청난 유망주. 청룡기 당시 김주철의 투구성적이다. || 구분 || 상대팀 || 스코어 || 김주철 투구성적 || || 1회전 || [[야탑고등학교 야구부|성인고]] || 3-2 || 7 2/3이닝 5안타 2실점(선발승) || || 2회전 || 대전고 || 10-3 || || || 8강전 || 휘문고 || 8-3 || || || 준결승전 || 공주고 || 9-1 || 6 2/3이닝 4안타 1실점(선발승) || || 결승전 || 대구상고 || 8-1 || 9이닝 3안타 1실점(비자책)(완투승) || 2000년 [[세계청소년야구선수권대회]]에도 국가대표로 참여했고, 당시에 같이 뛰었던 선수들은 [[추신수]], [[이대호]], [[정근우]], [[김태균]], [[이동현(1983)|이동현]], [[정상호]] 등 고교 무대를 내로라 하던 선수들. 물론 그 대회에서 [[대한민국]]은 결승전에서 접전끝에 미국을 상대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성남고등학교 야구부|성남고]] 시절 엄청난 활약에도 불구하고 장래성에 의구심을 받아서 이동현(경기고, LG 지명) - 황규택(휘문고, 두산 지명)에 밀려 서울권 1차 지명을 받지 못했고, 2차 1라운드로 [[해태 타이거즈]]에 해태 역대 팀 내 고졸 최고액인 2억원[* 계약금 1억 8,000만 원, 연봉 2,000만원. 당시 해태가 [[1997년 외환 위기]]로 망해가서 [[현대자동차그룹]]에 인수되기 직전이라 돈이 없다는 걸 생각하면, 이 정도 돈을 투자한 것으로 보아 엄청난 유망주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같은 해 해태의 1차 지명을 받았던 투수 [[정원(야구선수)|정원]]보다도 두 배나 더 많은 계약금을 받았다. 사실 이렇게 된 것은 이 당시 광주, 전남 팜에 눈에 띄는 선수가 딱히 나오지 않았던 것도 있다.]의 ‘귀한 몸’으로 입단하게 된다.[* 사실 [[고려대학교 야구부|고려대]]에서 스카우팅 제의가 왔으나, 뿌리치고 입단했다고 한다.] === [[KIA 타이거즈]] 시절 === 프로에 입단한 김주철은 '''데뷔 첫 해 개막전 2차전 선발을 맡게 되었다.''' 하지만, 과도한 부담감 때문인지 데뷔 첫 경기를 망쳤고, 결국 그렇게 시즌을 마무리하게 되었다. 첫 승리를 두 번째 경기인 4월 12일 롯데와의 홈경기에서 기록했으나[* 2001년에 입단한 신인 중 가장 먼저 승리투수가 됐다.] 그것이 시즌 유일한 승리였다. 140 후반대를 가볍게 던진다는 포텐셜로 코칭스태프와 많은 타이거즈 팬들이 기대했으나, [[성남고등학교 야구부|성남고]] 시절과는 다르게 프로에 와서는 빠른 볼을 제구하지 못하는 [[새가슴]]을 보이면서 실패했다. 결국 2005 시즌 이후 1군 경기에 등판하지 못했고, 2008 시즌이 끝난 뒤 방출되면서[* 이 해를 끝으로 김주철과 같은 해 입단을 한 1차 지명 출신 [[정원(야구선수)|정원]]도 [[임의탈퇴]] 공시되며 2001년 1차 지명, 2차 1번 지명으로 입단한 선수 둘이 나란히 옷을 벗게 되었다.] 선수 생활을 마무리지었다. == 은퇴 후 == 기아에서 같이 뛰었던 김민철과 술집을 차렸다가 접었고, 현재는 [[사회인야구]] 지도와 유소년 야구 지도를 맡고 있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4>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WHIP}}} || || 2001 || [[해태 타이거즈|해태]]-[[KIA 타이거즈|KIA]] || 13 || 33 || 1 || 5 || 0 || 0 || 8.73 || 45 || 11 || 24 || 18 || 2.00 || || 2002 ||<|7> [[KIA 타이거즈]] || 12 || 18⅓ || 0 || 0 || 0 || 0 || 4.42 || 17 || 1 || 6 || 16 || 1.20 || || 2003 || 3 || 4 || 0 || 0 || 0 || 0 || 6.75 || 7 || 1 || 0 || 3 || 1.75 || || 2004 || 10 || 20 || 1 || 1 || 0 || 0 || 6.30 || 25 || 5 || 18 || 11 || 2.05 || || 2005 || 3 || 5⅓ || 0 || 0 || 0 || 0 || 10.13 || 6 || 2 || 6 || 4 || 2.25 || || 2006 ||<-12><|3> 1군 기록 없음 || || 2007 || || 2008 || ||<-2> '''[[KBO 리그|KBO]] 통산'''(5시즌) || 41 || 80⅔ || 2 || 6 || 0 || 0 || 7.14 || 100 || 20 || 54 || 52 || 1.84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82년 출생]][[분류:2001년 데뷔]][[분류:2008년 은퇴]][[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충암초등학교 출신]][[분류:성남고등학교(서울)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상무 피닉스 야구단/전역]][[분류:해태-KIA 타이거즈/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