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비례대표)] ----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여의도연구원 원장)] ---- }}} || ---- ||<-2> '''{{{#fff {{{#ffffff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br]{{{+1 김종석}}}[br]金鍾奭 | Kim Jongseo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blogpfthumb.phinf.naver.net/%25C0%25C7%25BF%25F8%25B4%25D4%25C7%25C1%25B7%25CE%25C7%25CA%25BB%25E7%25C1%25F8_%25BC%25F6%25C1%25A41.jpg|width=100%]]}}} || ||<|2> {{{#ffffff ''' 출생 ''' }}} ||[[1955년]] [[8월 1일]] ([age(1955-08-01)]세) || ||[[서울특별시]] || || {{{#ffffff ''' 본관 ''' }}} ||[[김해 김씨]] 경파[* 김해 김씨 경파(京派) 22세손, 수로 72세손 '鍾'자 항렬이다. 아버지 김세배는 수로 71세손 '培'자 항렬이다.] || || {{{#ffffff ''' 종교 ''' }}} ||[[개신교]] {{{-2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예장통합]])}}}[*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500569&code=23111111&cp=nv|출처]] 충신교회 서리집사이다.] || || {{{#ffffff ''' 가족 ''' }}} ||父 [[김세배]] || || {{{#ffffff ''' 학력 ''' }}} ||[[경기고등학교]] {{{-1 ([[졸업]])}}}[br][[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2 (경제학 / [[학사]])}}}[br][[프린스턴 대학교]] 대학원 {{{-2 (경제학 / [[석사]] · [[박사]])}}} || || {{{#ffffff ''' 병역 ''' }}} ||육군 이병 의병전역 || || {{{#ffffff ''' 소속 정당 ''' }}} ||[include(틀:국민의힘)] || || {{{#ffffff ''' 지역구 ''' }}} ||[[비례대표]] || || {{{#ffffff ''' 의원 선수 ''' }}} ||'''1''' || || {{{#ffffff ''' 의원 대수 ''' }}} ||'''[[제20대 국회의원|20]]''' || || {{{#ffffff ''' 경력 ''' }}} ||[[제20대 국회의원]] {{{-2 (비례대표 10번 / [[새누리당]])}}}[br][[자유한국당]] 혁신비상대책위원[br][[자유한국당]] 정책위원회 부의장[br] 제18대 [[여의도연구원]] 원장[br][[홍익대학교]] 경영대학 학장[br]한국경제연구원 원장[br]규제개혁위원회 경제분과위원장[br]한국규제학회 회장[br]한국경제학회 이사[br][[한국전력공사]] 비상임이사[br]대한교통학회 상임이사[br]한국공기업학회 이사[br][[케냐]]공화국 정부 자문관[br][[홍익대학교]] 대외협력부 부장[br][[홍익대학교]] 경영대학 교수[br][[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br][[다트머스 대학교]] 교수[br][[최재형]] [[열린캠프(최재형)|열린캠프]] 경제정책 총괄본부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교육자, [[정치인]]이다. 제8대, 9대, 10대 국회의원을 지낸 법조인 출신 정치인 [[김세배]]가 그의 아버지이다. [[2022년]] 8월부터 [[규제개혁위원회]] 공동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 생애 == 1955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경기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과]],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 및 [[박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주 전공분야는 [[미시경제학]], [[산업조직론]], [[정부규제]]론 등이다. [[미국]] [[다트머스 대학교]] 교수,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교수와 경영대학장, 한국경제연구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상경계열]] 대학생들 사이에서는 [[경제학]]원론의 [[베스트셀러]]인 '[[맨큐의 경제학]]'을 공동번역(프린스턴 대학교 동문인 [[김경환(교수)|김경환]] [[서강대학교]] 경제학부 교수와 함께)한 것으로 유명하다. 한편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정책연구위원, [[서울특별시]] 규제개혁위원 등을 겸임하였다. 2015년 [[새누리당]] 부설 [[여의도연구원]] 원장에 임명되면서 정치에 입문하였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비례대표]]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10번)으로 당선되었다. 자유한국당의 대표적인 경제통으로 꼽히며, '[[홍준표]]의 경제교사'로도 불렸다.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C03&nNewsNumb=002469100007|#1]]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1765982&memberNo=27862407&vType=VERTICAL|#2]] [[매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규제개혁 정책, 공기업 정책, 공정거래정책, 산업정책 등이 관심 분야라고 밝혔다. 또한 [[법인세]] 인상 주장에 대해 "반기업 정서에 올라탄 인기영합주의"라며 세금 전가의 문제, 투자 위축의 문제, 일자리 축소 문제 등을 조목조목 지적하였으며, [[경제민주화]]와 관련해 "재벌규제로 퇴행하는 것이 아니나 경제 약자에게 보다 많은 기회를 주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raythep.mk.co.kr/newsView.php?no=10243|#]] 2018년 12월 11일 원내대표 경선에서 [[김학용]] 후보의 러닝메이트로서 정책위의장에 [[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873625.html|출마하였으나]], [[나경원]]-[[정용기]] 조에 밀려 패하였다. [[김의겸]] 전 청와대 대변인의 부동산 투기 사건, [[조국 사태/코링크PE 사모펀드 투자약정 논란|조국 사모펀드 사건]] 등과 관련해서 당내에서 여러 역할들을 했다. 지난 원내대표-정책위의장 선거로부터 1년 뒤인 2019년 12월 9일 [[김선동(1963)|김선동]] 후보의 러닝메이트로서 정책위의장에 [[https://www.yna.co.kr/view/AKR20191207036100001|다시 출마하였으나]], 이번에도 [[심재철]]-[[김재원(정치인)|김재원]] 조에 밀려 다시 패하였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총선]]을 앞두고, 탈북자 출신인 [[태영호|태구민]] 서울 [[강남구 갑]] 후보의 경제고문을 맡게 되었다. 태구민 후보는 "무너져가는 대한민국 경제를 살리고, 자유시장경제 1번지인 강남의 경제 비전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경제 분야에 대해 자문하고자 김 의원을 초빙했다"고 밝혔다. [[http://monthly.chosun.com/client/mdaily/daily_view.asp?Idx=9223&Newsnumb=2020049223|#]] [[인터넷전문은행]]의 대주주 자격 요건을 완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인터넷은행법을 대표발의했다. 국회 본회의 찬반토론에서도 찬성 측 토론자로 나서 "인터넷전문은행의 활성화는 문재인 대통령 금융혁신 제1호 공약"이라며 통과를 절실히 호소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766844|#]] 해당 법안은 2020년 3월에 부결되었으나, 수정된 안이 4월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430/100866546/1|#]] 2021년에 한국 뉴욕주립대학교 석좌교수로 취임했다. 2022년 1월 24일에는 [[이명박]] 전 대통령 석방을 촉구하기 위한 전직 국회의원들의 성명서에 이름을 올렸다. [[https://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2/01/24/2022012400084.html|#]] == KDI 연구 == * "고등학교 경제분야 교과서 내용 검토 (선택과목)", 2005/10/14 * "과당경쟁과 정부규제", 1991/12/31 * "공공요금관리의 개선방안", 1991/08/17 * "경제규제와 경쟁정책 (II) : 주요산업별 경쟁촉진방안", 1990/11/14 * "원양어업에 대한 정부규제의 개선방안", 1990/05/21 * "공공요금관리의 분권화방안", 1990/02/01 * "버스여객운송산업에 대한 정부규제의 개선방안", 1990/01/01 * "경제규제와 경쟁정책 : 1988년도 주요산업별 경쟁촉진방안", 1989/10/31 * "화물자동차 운송산업에 대한 정부규제의 개선방안", 1989/05/31 * "택시산업에 대한 정부규제의 개선방안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1989/02/28 == 논란 == 전안법 관련하여 2017년 말에 다수의 국회의원들에게 하루 수천통의 문자폭탄이 투하되었을 때, 두 개의 문자 메시지에 대해 초성으로 '''ㅁㅊㅅㄲ, ㅅㄱㅂㅊ'''로 답하였는데, 각각 비속어[* 미친새끼]와 부적절한[* 수고불참이라고 한다.] 표현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http://biz.heraldcorp.com/culture/view.php?ud=201801041845509438623_1|#]] 김의원은 수천통의 문자폭탄을 사람이 보내는 것이 아니라 매크로 프로그램으로 발송한 것으로 생각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답했다고 해명했다. == 여담 == * 초등학생의 통일나무 그림에 [[인공기]]가 등장한 것을 [[http://www.betanews.net/article/791596|규탄하기도 하였다.]] * [[2013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사태]], [[박근혜정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사태]] 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 [[한국현대사학회]]의 발기인 중 한 명이며, 회원으로 활동했다. * 고등학교 때 친구들이 '빈대떡'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유는 얼굴이 넓적하다고 해서 그런 별명이 붙여졌다고 한다. [[http://raythep.mk.co.kr/newsView.php?no=10243|#]] * 2020년 4월 6일 오전 서울 마포구 MBC방송센터에서 열린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후보자 토론회'에 비례대표가 아니지만 토론자로 참여하였다. 돌발영상에도 출연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5g-PDX8Yms|#]]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비례대표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7,960,272 (33.50%)''' || '''당선 (10번)''' || '''초선''' ||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대통령소속위원회장)]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미래통합당)]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제20대 국회의원]][[분류:새누리당 국회의원]][[분류:자유한국당 국회의원]][[분류:미래한국당 국회의원]][[분류:미래통합당 국회의원]][[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1955년 출생]][[분류:한국의 경제학자]][[분류:상경계 교수]][[분류:여의도연구원 원장]][[분류:김해 김씨 경파]][[분류:한국의 정치인 자녀]][[분류:학자 출신 정치인]][[분류:한국개발연구원 출신 인물]][[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프린스턴 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장로회 신자]][[분류: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