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김제시 시내버스]] [include(틀:김제시 시내버스)] [목차] == 노선 정보 == ||<-6><:><#FF8000> [[파일:김제시 CI_White.svg|width=20]] {{{#fff 김제시 시내버스 37번}}}|| ||<-2><:>기점||<:>전라북도 김제시 신풍동(김제역)||<-2><:>종점||<:>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화포리(토정)[br]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소토리(소토)|| ||<|2><:>종점행||<:>첫차||<:>07:58||<|2><:>기점행||<:>첫차||<:>07:15|| ||<:>막차||<:>20:20||<:>막차||<:>19:20|| ||<-2><:>배차간격||<-4><:>1일 7.5회|| ||<-2><:>노선||<-4><:>김제역 - (→ 금성여중 → 지평선학당 → [[김제공용버스터미널]] → 김제우체국 → [[김제시청]] →/← 김제고 ← 김제농생명마이스터고 ← 진주아파트 ← 금성상회 ← 성산공원 ←) - 진교 - (석교 - 대석리 - 묘라 - 만경삼거리)(신석 - 용지동 - 만경읍사무소) - [[만경터미널]] - 만경문화마을 - 몽산 - 화포 - 주행산 - (창자.버이네 - 장흥) - 만경수련원 - 토정 - (소토)|| ||<-6><:><#FF8000> [[파일:김제시 CI_White.svg|width=20]] {{{#fff 김제시 시내버스 38번}}}|| ||<-2><:>기점||<:>전라북도 김제시 신풍동(김제역)||<-2><:>종점||<:>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화포리(토정)[br]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소토리(소토)|| ||<|2><:>종점행||<:>첫차||<:>06:58(만경 발)||<|2><:>기점행||<:>첫차||<:>16:00|| ||<:>막차||<:>10:00||<:>막차||<:>16:00|| ||<-2><:>배차간격||<-4><:>1일 1.5회|| ||<-2><:>노선||<-4><:>김제역 - (→ 금성여중 → 지평선학당 → [[김제공용버스터미널]] → 김제우체국 → 김제시청 →/← 김제고 ← 김제농생명마이스터고 ← 진주아파트 ← 금성상회 ← 성산공원 ←) - 진교 - 석교 - 대석리 - 묘라 - 만경삼거리 - [[만경터미널]] - 영광아파트(만경공단) - 율리 - 장흥 - 만경수련원 - 토정 - (→ 소토)|| ||<-2><:><#FCBBC2> '''중간 출발 정류장''' || || '''소토''' 방향 || 만경 ^^06:58^^ || || '''김제역''' 방향 || 없음 || == 개요 == 김제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 == 역사 == * 예전에는 38번이 김제역에서 14시 40분에도 출발했으며, 이 차량은 만경터미널에서 37번과 같은 경로로 토정까지 갔다가 이후 율리를 거쳐서 나오는 방식으로 운행했다. 그리고 그 외 시간대에는 반대 방향(율리를 거쳐 토정이나 소토까지 갔다가 37번과 동일한 경로로 김제시내로 복귀)으로 운행했다. == 특징 == * 일부 시간대에는 소토까지 연장운행한다. * 일부 시간대에는 대석리, 묘라리 대신 신석, 용지동을 경유하며 창자마을로 돌아서 간다. * 38번은 문화마을 대신 율리를 경유한다. 그리고 만경 발 차량은 소토까지 가나, 그 외 시간대에는 모두 토정 착발이다. === 시간표 === [[파일:37번.png]] [[파일:38번.png]] == 연계 철도역 == * 일반 철도역: [[김제역]](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