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김정일]] [include(틀:회원수정2)]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김정일(동명이인))] [include(틀:역대 북한 최고지도자)]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24FA2 17%, #fff 17%, #fff 19%, #ED1C27 19%, #ED1C27 81%, #fff 81%, #fff 83%, #024FA2 83%, #024FA2)" '''{{{#fff 김정일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조선로동당 당수)] ----- [include(틀:역대 북한 국가원수)] ----- [include(틀:역대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 ----- [include(틀:역대 북한의 무력 최고사령관)] ----- [include(틀:역대 북한 국가보위상)]}}}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24FA2 17%, #fff 17%, #fff 19%, #ED1C27 19%, #ED1C27 81%, #fff 81%, #fff 83%, #024FA2 83%, #024FA2)" {{{#fff '''조선로동당 총비서''' [br]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장''' [br]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br]'''{{{+1 김정일}}}[br]金正日'''[* 1980년 10월의 [[조선로동당 제6차대회]] 직후 金正一에서 金正日로 개명.]''' | Kim Jong Il'''}}}[*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으로는 Kim Chŏngil이 되나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북한의 자체적인 로마자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Kim Jŏng Il이다. 그러나 해당 표기법에서는 [[diacritic|변별 기호]]를 생략할 수 있다고 해 두었으며, 실제로도 북한 당국은 '''Kim Jong Il'''이라는 표기만 일관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정일 초상화.jpg|width=100%]]}}} || || '''본명''' ||김정일(金正日, Юрий Ирсенович Ким)[* 유리 이르세노비치 킴. 김 가의 일성의 아들 유리라는 뜻이다.][br]Kim Jong-il[* 또는 Kim Jong Il; IPA: /ˌkɪm dʒɒŋˈɪl/] (b. Yuri Irsenovich Kim) || ||<|2> '''출생''' ||[[1941년]] [[2월 16일]][* [[1941년|1941년생]]이지만 북한에서는 1942년생이라고 공식적으로 주장한다. [[김일성]] 생년과 30년 차이 나게 맞추려는 의도로 추정] || ||[[소련]]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러시아 SFSR]] [[프리모리예 지방]] [[우수리스크|보로실로프시]][br](現 [[러시아]] [[극동 연방관구]] [[프리모리예 지방]] [[우수리스크]])[* [[북한]]의 공식적 주장으로는 '[[북한]] [[량강도]] [[삼지연시]] 백두산밀영동 [[백두산지구 혁명전적지|백두산 밀영]]'(이북 5도 상 함경남도 혜산군 보천면 포태리)이 출생지라고 한다. 때문에 [[백두혈통]]이라는 기괴 표현이 등장함] || ||<|2> '''사망''' ||[[2011년]] [[12월 17일]] 오전 8시 30분경[* 당시 [[조선중앙TV]]에서 보도한 내용 중 일부.] (향년 70세) || ||[[평양시]] [[룡성구역]][*추정 오전 8시 30분경에 자신이 자주 타고 다니던 태양호에서 심근경색과 심장성 쇼크 합병증으로 사망했다고 한다. [[룡성역(룡성선)|룡성역]] 인근으로 추정, [[우상화/북한|북에서는 과로로 사망했다고 주장하는 중이다.]]] || || '''서명''' ||[[파일:김정일 서명_수정본.svg|width=150&bgcolor=#ffffff]]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2>[[전주 김씨]][* 이미 이전부터 암암리에 확인된 사안이긴 하나 2000년 [[남북정상회담]]에서 본인이 직접 확인해주었다.] || || '''종교''' ||<-2>[[무종교]] {{{-2 ([[무신론]])}}} || || '''학력''' ||<-2>평양 제4인민학교 {{{-2 (졸업)}}}[br]평양 남산고급중학교 {{{-2 (졸업)}}}[br][[김일성종합대학|김일성종합대학 경제학부]] {{{-2 (정치경제학과 / 학사)}}} || || '''직업''' ||<-2>[[정치인]] || || '''최종 당적''' ||[include(틀:조선로동당)] || || '''주요 서훈''' ||[[김일성훈장]] (4회)[br][[공화국영웅]] (4회)[br]건국 50돐 기념훈장[br]건국 60돐 기념훈장[br]공로훈장 (2회) 국기훈장 1등급[br]국기훈장 2등급[br][[로력영웅]] (3회)[br]자유독립훈장 1등급 (2회)[br]자유독립훈장 2등급[br]조국해방전쟁승리 60돐 기념훈장[*PL 사후 추서][br]조국해방전쟁승리 70돐 기념훈장[*PL] || || '''신체''' ||<-2>160cm[* 키가 150cm가 안 되는 전 미 국무장관 [[매들린 올브라이트]]가 김정일을 만나본 뒤 자신과 키가 얼마 차이가 나지 않는다고 했고 그로 인해 157cm 정도라는 설도 있었다. 반면 김일성은 당대 기준으로 엄청난 장신이었다. ], 83[* 처조카 [[이한영]] 씨의 증언. 이씨는 김정일과 아들 김정남 두사람이 계단오르기를 하며 다이어트를 하는 것을 자기도 똑같이하며 도와줬다고 밝혔다. 이한영이 1982년에 탈북했으니 못해도 1970년대 이전부터 쭉 비만이었던 것이다. ]~ 85kg[* 최은희 씨의 [[https://shindonga.donga.com/3/all/13/100637/1|증언.]]], [[A형#혈액형]][*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0153401|출처.]]] || || '''계급''' ||<-2>[[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수]][* 국가원수(元首)를 뜻하는 것이 아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수(元帥)' 자체가 하나의 군 계급명이다. 북한의 일반 직업군인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계급인 그냥 '원수'(인민군 원수)보다 높은 계급으로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만을 위한 계급이다. 김일성은 [[6.25 전쟁]] 당시 이 계급이었다가 나중에 대원수로 격상되었고 현재는 [[김정은]]이 해당 계급에 있다.][br]{{{-1 (1992년 ~ 2011년) }}}[br][[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원수]][* 생전에 대원수 계급을 받은 자는 [[김일성]]이 유일하며, 추서된 자를 포함해도 김일성과 김정일 둘뿐이다.][br]{{{-1 ([[2012년]] 추서) }}} || || '''호칭''' ||<-2>당중앙, 위대한 령도자, 인민의 어버이, 조선로동당 총비서이시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위원장이시며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이신 우리 당과 우리 인민의 위대한 령도자 || || '''부모''' ||^^'''아버지'''^^ '''[[김일성]]''' {{{-2 (1912년 ~ 1994년)}}}[br]^^'''어머니'''^^ [[김정숙(북한)|김정숙]]{{{-2 (1917년 ~ 1949년)}}} || || '''형제''' ||^^'''남동생'''^^ [[김만일(북한)|김만일]] {{{-2 (1944년 ~ 1947년)}}}[br]^^'''여동생'''^^ [[김경희(1946)|김경희]] {{{-2 (1946년생)}}}[br] ^^'''이복여동생'''^^ 김경숙 {{{-2 (1951년생)}}}[br]^^'''이복여동생'''^^ 김경진 {{{-2 (1952년생)}}} [br] ^^'''이복남동생'''^^ [[김평일]] {{{-2 (1954년생)}}}[br]^^'''이복남동생'''^^ [[김영일(북한)|김영일]] {{{-2 (1955년 ~ 2000년)}}}[br]^^'''이복남동생'''^^ [[김현(북한)|김현]] {{{-2 (1971년 ~ 불명)}}}[br]^^'''이복여동생'''^^ 김백연 {{{-2 (1987년생)}}} || || '''배우자''' ||^^'''일처'''(정식 부인)^^ 홍일천 {{{-2 (1942년생)}}}[br]^^'''이처'''(내연녀)^^ [[성혜림]] {{{-2 (1937년 ~ 2002년)}}}[br]^^'''삼처'''(정식 부인)^^ 김영숙 {{{-2 (1947년생)}}}[br]^^'''사처'''(내연녀)^^ [[고용희]] {{{-2 (1952년 ~ 2004년)}}}[br]^^'''오처'''(정식 부인)^^ [[김옥]] {{{-2 (1964년생) }}} || || '''자녀''' ||^^'''장남'''(서장남)^^ [[김정남(북한)|김정남]] {{{-2 (1971년 ~ 2017년)}}}[br]^^'''장녀'''^^ [[김설송]] {{{-2 (1974년생)}}}[br]^^'''차녀'''^^ 김춘송 {{{-2 (1975년생)}}}[br]^^'''차남'''(적장남)^^ [[김정철]] {{{-2 (1981년생)}}}[br]^^'''삼남'''(적차남)^^ '''[[김정은]]''' {{{-2 (1984년생)}}}[br]^^'''삼녀'''^^ [[김여정]] {{{-2 (1988년생)}}}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ffffff><-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im Jong-il 1990.png|width=100%]]}}} ||<#ffffff><-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im Jong-il 2011.png|width=100%]]}}} || ||<#ED1C27><-2> [[1990년|{{{#ffffff '''1990년 (당시 49세)'''}}}]] ||<#ED1C27><-2> [[2011년|{{{#ffffff '''2011년 (당시 70세)'''}}}]] || [[북한]]의 제2대 [[최고지도자]], [[독재자]]. [[김일성]]의 [[장남]]이자 [[김정은]]의 아버지. 1972년 김일성에 의해 후계자로 낙점되며 정치 일선에 등장하였고, 1994년 김일성 사망 이후 제2대 최고지도자 자리에 올라 북한을 통치하였다. 생전 [[조선로동당 총비서]], [[북한 국방위원회]] 위원장,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등의 직책을 겸임했고, [[김정일/사망|2011년에 사망]]하며 셋째 아들 [[김정은]]이 권력을 이어받았다. == [[김정일/생애|생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정일/생애)] === [[김정일/사망|사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정일/사망)] == 평가 == [[독립운동가]]로서의 이력에 더해, 정권 수립 초반기에는 외부에 대한 치밀하고, 대담한 기만공작으로[* [[8월 종파 사건]] 등으로 중국과 소련에서 김일성이 자신을 배반하는 것을 직접 겪어보아도 손을 제대로 못쓸 지경이었다. 거짓말을 매우 지능적으로 했다는 것이다. 심지어 남한에서도 2000년대에 수천 명의 탈북민의 키를 재보니 '''북한이 김일성 집권기인 70~80년대까지 성장한 것이 아니었냐'''며 광복 후 세대의 키의 성장이 멈춘 것을 보고 설명을 못할 정도였다.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04062481608|#]] 잘해야 국부만 늘고 주민들에게는 식량을 안 주면서 국정이 운영되었다는 것이다.] 스탈린과 마오쩌둥을 당황시키기도 했을 정도로 외교에 있어 지능적이었던 아버지 [[김일성]]에 비해 투명하게 비판을 받았다. 집권 기간 굉장히 억압적이고 [[전체주의]]적인 통치를 했으며 자행한 일들의 잔혹성과 악랄함도 매우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20세기 최악의 대기근 중 하나[* 약 5년간 인구의 5%가 사망했으며 이는 [[대약진운동]] 당시 발생한 삼년대기근과 비슷한 수치이다. 거기다가 2년 만에 끝난 삼년대기근과 달리 고난의 행군은 5년이나 지속되었으며, 동구권과 일본을 제외한 거의 모든 국가가 호황이던 1990년대 초중반부터 발생한 대기근이기에 훨씬 악질이다.]로 꼽히는 [[고난의 행군]]의 최종 책임자이기도 하다.[* 외국에서 지원해준 식량을 주민들에게 제대로 나눠주기는커녕 군량미 명목으로 걷어가고 이를 베풀지 않아 [[미필적 고의]]로 수십만 명을 굶어죽게 만들었으며, 심지어 김정일은 그 와중에도 식량난을 해결할 수 있을 정도로 많은 돈을 자신의 초호화 생활에 탕진했다.] 종합적으로 '''2차 세계 대전 이후 최악의 독재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김일성]]은 한 짓에 비해 서양권에서는 인지도가 부족하고, [[김정은]]은 [[김정일]]보다는 인지도가 높긴 하나 아직까지는 아버지에 비해 보여준 임팩트가 덜하다고 여겨진다. 물론 장성택 처형, 제 2차 고난의 행군, 평양문화어보호법 등 관점에 따라서는 더 막장스러운 짓도 저지르고 있기에 그의 집권이 끝나야 어느 정도 평가가 정리될 듯하다.] 악랄한 독재자가 비교적 드물었던[* 탈냉전 시기 악행의 정점을 찍었던 [[사담 후세인]], [[오마르 알바시르]], [[로버트 무가베]],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아들 [[김정은]] 등이 있기는 하나 다른 시대(특히 1970년대)에 비해서는 확실히 드문 편이었다. 그리고 애초에 사담 후세인은 내치 면에서 악행을 시작한 때가 1980년대 냉전 시대였으며, 김정은은 아예 신냉전 독재자로 분류되는 게 일반적이다.] 탈냉전 시기에서는 한 손에 꼽을 정도의 독재자로 평가된다. 김정일이 집권한 [[1990년대]]는 [[소련 붕괴]]의 영향으로 북한이 [[고난의 행군]]이라는 최악의 경제 위기에 처해있던 상황이었는데, 김정일은 [[선군정치]]를 통한 내부 단속에만 공들여 5년간의 장기적인 기근으로 30~40만 명 가량의[* [[주성하]]는 100만 명 미만이 죽었을 것이라고 추산했다.] 북한 주민들을 [[아사]]하게 만든 장본인이며 심지어 '인민이 배가 부르면 다른 마음을 먹는다.'며 기아 상황을 유도했다는 의혹도 있다. 그러는 와중에 자신은 온갖 산해진미와 취미 생활을 즐기며 대단히 사치스러운 생활을 했고, [[기쁨조]]라는 전용 [[성노예]] 집단까지 만들 정도로 [[여색]]을 탐닉하던 그야말로 [[폭군]]의 전형이었다. 대외적으로 수많은 [[대남 도발]]과 특히 [[북한의 핵개발|핵무기 개발]]로 전 세계에 악명을 떨쳤다. 개인적인 성격은 매우 심약하고 의심이 많은 편이라 [[정치범수용소/북한|정치범수용소]]를 운용하며 잦은 [[숙청]]을 벌였고, 암살에 대한 공포와 [[고소공포증]] 때문에 항공기 탑승을 극히 꺼려 전용 열차 [[태양호]]에만 의지해 외교 활동을 수행했다. 김정일이 북한 정상으로서 직접 방문한 나라는 [[중국]]과 [[러시아]]밖에 없으며, [[남북정상회담]]도 평양에서 단 2회만 가졌을 뿐이라 '''은둔의 [[독재자]]'''라는 별명이 붙었을 정도. 본인 역시 이걸 의식했는지 [[2000 남북정상회담|2000년 남북정상회담]] 당시 '''"난 과거에 [[중국]]도 갔고 [[인도네시아]]도 갔고 외국에 비공개로도 많이 갔는데 나보고 은둔 생활을 한다더라. 그런데 김(김대중) 대통령이 오셔서 은둔에서 해방됐다."'''며 농담을 했는데, 이는 공식 석상이라서 고스란히 영상 자료가 남아있다.[* 물론 북한 관영 매체에는 일절 보도되지 않았다. 애초에 김정일의 육성이 북한 매체를 통해 공개된 것은 1992년 4월 25일 조선인민혁명군 창건 60주년 경축 열병식에서 한 "영웅적 조선인민군 장병들에게 영광 있으라"라는 한 마디가 유일하다.] == [[김정일/여담|여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정일/여담)] === [[김정일/성격|성격]]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정일/성격)] == [[김정일/대중매체|대중매체에서의 모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정일/대중매체)] == [[김정일/호칭 및 별명|호칭 및 별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정일/호칭 및 별명)] == 어록 == > "왜 [[북한 영화|우리 영환]] 맨날 나오는 것이 반복하는게 많고 도식적으로 영화 이야깃거리가 새것으로 나가자고 하는, 지향하는 것이 전혀 없단 말입니다. 도대체 왜 장면 장면마다 자꾸 [[신파극|초상난 집처럼 우는 것만]] 찍게 만드나! 우리 영화 안 우는 영화 안되겠나! 상가집도 아닌데 왜 이렇게 만드나? [[한국 영화|그쪽]]은 대학생 수준인데 우린 이제 유치원인데 그러면서도 사람들이 새로운 걸 바라지도 않아. 완고하다고."[* 당연하게도 이는 '''김정일 본인 때문이다.''' 북한에서 영화나 드라마를 만든다고 해봤자 김씨일가 선전 영화가 대부분이고 아무런 의도 없이 만든 영화조차도 왜곡된 해석을 엮고 엮어서 반역 음모 영화라며 감독들과 스태프들을 정치범수용소에 집어넣고 총살도 하는 나라가 북한이다. 때문에 북한 영화감독들도 북한 기준으로 딱 중간만 하는 영화를 만들기 때문에 세계 각국의 영화를 섭렵한 김정일 입장에서는 어떻게 해도 만족할 수가 없는 것. ] > ---- > "내부에 있는 동무들이 특히 [[최은희·신상옥 납치사건|이번에 작전을 한]] 동무들이 특히 조직을 지휘하는데 총력을 다했습니다. 내 스스로 후회가 되는 건 내가 하려는 일을 구체적으로 애들한테 말을 안 해가지고 당신들이 어떤 사람인지 어떻게 저와 협력하려는지를 말입니다. '두 분이 꼭 필요하니까 데려와라.' 죄수처럼 맞죠? 죄수처럼 취급해가지고 그래서 서로 오해도 생기고..." > ---- > "내가 그런 걸 바탕으로 해가지고 우리 거하고 합쳐가지고 영화로 서양을 진출해야겠다. 우리는 그러니까 돈을 여기다 하겠다! 그래서 내가 신 감독에 대한 기대가 그래서 크다는 겁니다." > ---- > "[[대한민국|그놈들]]이 부러워 할 수 있도록 말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오스트리아|오지리]]나 [[스웨덴|스웨리예]] 그 다음에는 [[제네바]]...말하자면 중립국가를 표방한 나라를 댕기면서, 그렇게 [[유럽|구라파]] 댕기면서 이름을 알려야지..." > ---- > [[최은희]]가 몰래 녹취한 김정일의 발언. [[신상옥]]에게 한 말이다. 김정일은 신상옥에게는 예의바른 태도를 지녔으며 항상 존댓말을 사용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7cZI483UB4|#]] > "야이 새끼야, 네 눈에는 [[김일성|수령]]만 보이고 나는 안 보이더냐?! > ---- > [[김길선]]의 증언. 김정일이 당중앙 위원회에서 아버지 [[김일성]]과 같이 올라가려고 승강기 앞에 섰는데, 위에 볼일이 있던 수리공이 먼저 타 있었고, 그가 [[김일성]]에게만 깍듯이 인사를 하자, 극대노한 김정일이 김일성이 내린 다음 수리공에게 욕을 하고 발길질을 했다고 한다. 마침 승강기를 타려던 중앙당 간부들도 이 광경을 지켜봤다고. > "날 좋아하나?" > (후지모토 겐지 : "좋아합니다!") > "그럼, 내 볼에 뽀뽀하라!" > ---- > “([[기쁨조]]와) 춤을 추는 것은 돼. [[성관계|만지지는]] 말아. 만지면 도둑이야.”[* 저 당시 기쁨조들은 김정일의 명령으로 '''나체 상태였다고 한다.'''] > ---- >[[망언|"병들고 노동력이 없는 인민들은 빨리 없어지는 게 내게는 편하다. 철통같이 뭉친 군대와 당원 3백만 명만 있으면 어떤 일이 있어도 우리 공화국은 건재하다."]] > ---- > [[후지모토 겐지]]의 증언. > “너희들 그거 [[해구신|물개 자지]]인데 먹고 나서 집에 가서 [[성관계|몇 번 했는지]] 소감을 발표하라.“ > ---- > [[이한영]]의 증언. > “네가 뭔데 내 흉내를 내느냐. 이 땅에서 세도를 부릴 수 있는 사람은 나 밖에 없다.” > ---- > [[1978년]], [[장성택]]이 독자적으로 [[기쁨조]]를 선발하고 비밀 연회를 연 것이 발각되자 격분한 김정일이 장성택에게 한 발언. 이 때문에 장성택은 잠시 숙청당해 2년 동안 강선제강소 작업반장으로 쫒겨났다가 복권되었다.[* [[후지모토 겐지]]의 증언에 의하면 장성택의 다리에는 쇳물이 튀어 화상을 입은 자국들이 보일 정도였다고 한다.][* 김정일은 전형적인 채찍과 당근 전략으로 간부들을 다스렸다. 그는 간부들에게 온갖 특혜와 사치품을 제공하다가도 자신의 심기를 거슬리게 하는 간부가 있으면 호화파티에 일부러 초대를 안하는 것은 물론이고 잠시 숙청해 공장이나 탄광 또는 농장으로 혁명화를 보내기도 했다. 그리고 어느 순간 다시 숙청된 간부를 복권시켜서 마치 자신이 진정으로 간부를 사랑하는 존재인 것 처럼 [[가스라이팅]]했다. 이를 통해 김정일은 간부들의 충성경쟁을 유도했다.] > "내가 죽으면 [[조선로동당|너희들은]] 교수대에 매달려야 한다." > ---- >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의 처형장면을 본 뒤 한 발언.[[https://www.newdaily.co.kr/site/data/html/2013/04/10/2013041000072.html|#]] >''죽은 자만이 비밀을 지킨다." > ---- > 974 경비부대 출신 "강진"의 증언. 김정일 자신이 기거하는 특각의 비밀이 외부로 새어 나갈것을 우려해, 경비대에게 그곳을 넘어 오려는 낌새가 보이는 북한 주민은 즉각 사살하라고 교육을 시켰다고 한다. [[https://youtu.be/fIp-pKKM9rQ?feature=shared|#]] >“영웅적 [[조선인민군]] 장병들에게 영광 있으라!” > ---- > 1992년 열병식 당시 연설. 북한 주민들에게 공개된 김정일의 거의 유일한 육성 녹음이다.[* 김정일은 평소 발음이 정확하지 않고 어눌해서 대중연설하는 것을 꺼리고 김일성은 매년 했던 신년사를 김일성 사후엔 사설연사로 대체했다. 이는 고영환, 김길선 등 김정일을 잘 아는 탈북자들에 의해 교차검증된 사실이며 신상옥-최은희 부부가 몰래 녹음한 녹취록에서도 김정일의 발음을 확인할 수 있다. 남북정상회담에서는 그나마 평소보다 또박또박 말한 편. ] >“영감!” > ---- > [[오진우]]같은 늙은 측근들에게 자주 하는 말이었다고 한다.[* 당시 오진우는 김일성, 김정일 다음가는 북한 권력서열 '''3위'''였다. 실질적인 2인자조차도 1인자 앞에서는 한없이 작아지는 북한의 현실을 엿볼 수 있다. ] > "제가 무슨 큰 존재라고, 아마 적들은 외신들, 그 다음에 저 구라파 사람들이 자꾸 뭐라고 말하냐면, "왜 은둔 생활을 하나? 은둔 생활하는 사람이 처음 나타났다." 난, 세상에 뭐 과거에 중국도 갔댔고 인도네시아도 갔댔고 외국에도 비공개로 갔댔고 헌데 나보고 은둔 생활을 한데? 그래서 [[김대중|김대통령]]이 오셔서 내가 이제 은둔에서 해방됐다. 하도 모르게 했으니까요."[* 분위기를 환기시키고자 한 농담이다. 남측 카메라가 비췄을 때는 웃으면서 밝게 대화를 나눴지만 남측 카메라가 철수하고 김대중과 남측 지도부만 남은 상황에서는 김대중 앞에서 무례한 얘기들도 많이 했다. [[김정일/성격]] 참고. ] >---- > [[2000 남북정상회담]] 도중 발언. [[https://youtu.be/3gMD9TSh5-Y&t=179|#]] > "[[려행증|자기 땅에 발을 붙이고]] [[북한/IT#s-7|눈은 세계를 보라!]]" > "[[의지드립|신념과 의지가 굳세지 못하고 배짱이 없으면 온갖 풍파를 헤치며 나가야 하는 혁명을 할수 없습니다.]] 이것은 수령님을 잃은 다음 내가 조국과 민족의 운명을 책임지고 피눈물의 언덕을 넘으며 가슴에 새긴 철의 진리입니다." > "[[자강도]]는 [[고난의 행군]]시기 나에게 정든 고장입니다." > [[선군정치|"사탕알이 없이는 살아도 총알이 없이는 살지 못한다."]] > "[[기만|잠은 쪽잠이 제일 달고 밥은 줴기밥이 제일 맛있다.]]" > "[[주먹밥|줴기밥]]은 (만드는 데 필요한 음식)감도 특별한 것이 필요 없고, 만드는 데 품도 많이 들지 않기 때문에 급히 길을 떠나야 할 때 준비하기 쉬워서 좋고, 가다가 아무데서나 펼쳐놓고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시간도 얼마 떼우지 않고, 현지 일군들이나 주민들에게 폐도 끼치지 않아서 좋습니다. 줴기밥은 혁명가들에게 있어서 이상적인 도중식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람은 배고픈 줄 알아야 배부른 줄 안다. >인민들과 똑같이 생활하는 것이 좋습니다. 인민들이 조밥(좁쌀로 지은 밥)을 먹을 때에는 우리도 조밥을 먹어야 한다는 것이 우리 수령님의 뜻이고 [[이밥에 고깃국|인민들이 흰쌀밥에 고기국을 먹어야 우리도 흰쌀밥에 고기국을 먹을 수 있다]]는 것이 우리 당의 뜻이 아닙니까. >이제는 집에 오면 여관에 온 것 같고 열차에 올라야 집처럼 마음이 편해진다. 인민생활문제가 풀리기 전에는 언제 한번 집에 들어가 발편잠을 잘 것 같지 못하다.[* 실제로는 전국 각지의 초호화 별장을 돌아다니며 잠을 잤으니 아주 거짓말만은 하지 않은 셈이다.] >'''평양 시민들에게''' 남새(채소)와 과일도 신선한 것을 늘 떨구지 말고 공급하여야 합니다. > "인민은 줄면 줄었지 마르지 않는다. 땅이 있고 물이 있고 내가 있는 한 인민은 얼마든지 다시 불어난다." [[https://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H&nNewsNumb=202003100045|#]] > "당내에 끼어든 망나니들입니다. [[사형/국가별 현황#s-3.1.4.2|법대로 처리하십시오.]]" > ---- > [[1995년]] 강원도당 간부들이 부화방탕하게 산다는 것을 보위부가 보고하자 김정일이 내린 지시. 결국 사건에 연루된 간부들은 모두 총살당했다. > "이라크 반미 세력들이 자폭공격으로 미제 침략자들을 소멸시키고 있다. 우리의 경보병 부대와 저격부대도 이라크처럼 자폭공격으로 적들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 ---- > [[2004년]]에 특수부대를 시찰하면서 한 교시[* 당시 미국은 9.11 이후로 온 나라가 전쟁 분위기였고 김정일이 말 잘못하면 이라크와 같은 축으로 묶여서 북한과도 전쟁이 일어났을지도 모른다. ] > "'''[[지구멸망|조선이 없는 지구는 깨버려야 한다는]]''' 우리의 [[허세|배짱맛]]이 진짜 어떤 것인가를 그렇게도 맛보고 싶으면 지금보다 더한 별의별 미친 짓을 다해도 좋다" >---- > [[2006년]] [[3월 13일]] [[로동신문]] 사설 중 >인민에 대한 최대의 사랑은 인민에게 건전한 사상정신적량식을 주는것이며 인민에 대한 최대의 죄악은 인민의 혁명의식을 마비시키고 사상적으로 타락시키는것이다. >---- >[[2006년]] 6월 8일 로동신문 기사 《인민에 대한 사랑은 우리 당 선군정치의 핵이다》중 > "인민들이 [[강냉이밥]]을 먹고 있는 것이 [[악어의 눈물|제일 가슴 아프다.]] 내가 할 일은 [[여러분 이거 다 거짓말인 거 아시죠|세상에서 제일 훌륭한 우리 인민들에게 흰 쌀밥을 먹이고 밀가루로 만든 빵이랑 칼제비국(칼국수)을 마음껏 먹게 하는 것]]" >---- > [[2010년]] [[2월 1일]] 로동신문에서 > "나는 고난의 행군시기에 인민군군인들속에서 높이 발양되고있는 [[수령결사옹위정신]]과 육탄정신, [[가미카제|자폭정신]]을 혁명적 군인정신이라고 하였으며 전당과 온 사회가 혁명적군인정신을 따라배우도록 하였습니다. 전당과 온 사회에 혁명적군인정신을 따라배우는 기풍이 높이 발양되고 인민군대의 위력이 더욱 강화되였을 때 우리의 령도는 선군령도이고 우리의 정치는 [[선군정치]]라고 하였습니다." > "당신들의 아들딸과 손자들이 다 군대에 나가 있는데 당신들이 군량미를 보내주지 않으면 누가 보내주겠는가. 군량미를 보내주지 않으면 미국놈들이 쳐들어와도 싸워 이길 수 없다. 그러면 당신들도 다시 노예가 되고 당신들의 아들, 딸, 손자들도 노예가 된다. (중략) '''우리 사람들에게 식량이 모자라기 때문에 하루에 4백50g만 먹고 나머지 식량을 군량미로 바치라고 하면 다 바칠 거다.'''" >---- >'''[[고난의 행군]] 시기인''' [[1997년]] [[현지지도]] 중 비밀리에 한 말.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minjune98&logNo=222951547567|#]] > "옥에는 티가 있을 수 있어도 공산주의자에게는 티가 있을 수 없다." > ---- > 김정일 노작 <<영화예술론>> 중 > "부르죠아어용학자들은 립법권과 행정권, 사법권을 분립시키는것이 민주주의의 징표인듯이 묘사하지만 사실상 3권분립은 봉건전제주의를 반대하여 부르죠아지가 들고나온 주장의 하나입니다."[* 대놓고 [[삼권분립]]을 부정하고 있지만 사실 해당 주장은 김정일만의 주장이 아니라 애초에 [[마르크스-레닌주의]]의 [[프롤레타리아 독재]] 자체가 입법부와 행정부의 분리를 부정하는 사상이다.] >"제국주의자들과 그 대변자들은 자본주의사회에서 여러가지 사상이 있게 되는 현상을 놓고 사상의 <자유>라고 떠벌이면서 그것이 마치 <자유세계>의 자랑인듯이 광고하고 있다."[* 북한은 자신들이 [[주체사상]] 하나만 허용하는 것을 '사상적 일색화' '일심단결' 운운하며 자신들 체제의 '우월성'을 드러내는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자본의 권력이 모든 것을 지배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진정한 사상의 자유란 있을 수 없습니다." > [[조선로동당 선전선동부|"좋은 노래, 좋은 영화, 좋은 가극 하나는 천만 심장을 움직일 수 있는 중요한 무기이다."]][* 북한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선 선전선동이 중요하다는 취지에서 한 발언이지만 그의 말대로 [[대한민국]]의 대중가요와 영화, 드라마가 2000만 북한 인민의 심장을 움직이면서 북한 체제까지 위협하고 있다. 즉,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김정일의 발언은 [[거짓말은 하지 않는다.|어떤 면에선 그대로 현실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 >"나에게서 그 어떤 변화를 바라지 말라" >---- > 1996년 2월, 개혁개방을 거부하는 의지를 드러내며. [[https://www.dailynk.com/%E5%8C%97-%EB%A7%A4%EC%B2%B4-%EA%B0%9C%ED%98%81%EA%B0%9C%EB%B0%A9%EA%B1%B0%EB%B6%80-%EA%B9%80%EC%A0%95%EC%9D%BC-%EB%B0%9C%EC%96%B8%EB%93%A4/|#]] 사실 1996년 이전에도 쓰인 말이라고 한다.[* 김일성의 사망으로 무산된 1994년 남북정상회담을 준비하던 시절엔 김일성과 김정일이 의견차로 다투었던 게 이것 때문이다. 김일성은 말년에 들어서 개혁개방을 주장했지만 김정일은 본인의 권력만을 위해 외부사상이 유입되지 않기 위해 북한을 폐쇄국가로 만들고 싶었던 것. ] > "현대전은 [[전자전]]이다. 현대전의 승리와 패배는 전자전을 [[정보전사|어떻게 수행하느냐에 달려있다]]" == 관련 문서 == * [[김정일장군의 노래|김정일 장군의 노래]] * [[고난의 행군]] * [[제6군단 쿠데타 모의 사건]] * [[심화조 사건]] * [[송림사건|송림 사건]] * '''[[기쁨조]]''' * [[정치범수용소/북한|북한의 정치범수용소]] * [[북한/대남 도발|북한의 대남 도발]] : 대다수의 도발이 김정일의 직간접적인 지령으로 인해 일어났다. * '''[[제2연평해전]]''' * '''[[천안함 피격 사건]]''' == 둘러보기 == [include(틀:김정일)] [include(틀:공산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