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뿌리깊은 나무들㈜ 레드우즈)] [include(틀:MBC 공채 탤런트)] || {{{#fff '''김정은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1 [[SBS|[[파일:SBS 로고.svg|width=60]]]] '''[[SBS 연기대상|{{{#00558F,#70C4FF 연기대상}}}]] [[틀:SBS 연기대상 대상 수상자|{{{#00558F,#70C4FF 대상}}}]]'''}}} || || [[이병헌]][br](2003년) || {{{+1 →}}} || [[박신양]][br]'''김정은[br](2004년)''' || {{{+1 →}}} || [[전도연]][br](2005년) || ---- ||<-5>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width=160]]]] || ||<-5> [[파일:baeksangartsawards4.png|height=100]] || ||<-5> {{{#fff '''TV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 '''제40회[br]([[2004년]])''' || {{{+1 →}}} || '''제41회[br]([[2005년]])''' || {{{+1 →}}} || '''제42회[br]([[2006년]])''' || || [[하지원]][br]([[발리에서 생긴 일]]) || {{{+1 →}}} || '''{{{#000 김정은[br]([[파리의 연인|{{{#000 파리의 연인}}}]])}}}''' || {{{+1 →}}} || [[최진실]][br]([[장밋빛 인생]]) || ||<-5> || ---- ||<-5> {{{+1 [[한국방송대상|[[파일:한국방송대상 심볼.svg|width=40]]]] '''[[한국방송대상|{{{#FFFFFF 한국방송대상}}}]]'''}}} || ||<-5> '''{{{#FFFFFF {{{+1 탤런트상}}}}}}''' || || [[고두심]][br](2004년) || {{{+1 →}}} || '''김정은'''[br]'''(2005년)''' || {{{+1 →}}} || [[김명민]][br](2006년) || }}} || ||<-2> '''{{{+1 김정은}}}[br]金諪恩 | Kim Jung Eu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uhd.img.topstarnews.net/1455781415-72.jpg|width=100%]]}}} || ||<|2> '''출생''' ||[[1974년]] [[3월 4일]] ([age(1974-03-04)]세)|| ||[[서울특별시]] [[관악구]] [[상도동(서울)|상도동]][br](現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서울)|상도동]])||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본관''' ||[[경주 김씨]]|| || '''신체''' ||170cm, [[O형]]|| ||<|3> '''가족''' ||[[아버지]], [[어머니]] 김은희[* 1971년 미스코리아 경북 진 출신이다.] || ||[[여동생]] 김정민^^(1977년생)^^[* 플루티스트. 오케스트라 단원으로 활동 중이라고 한다. 미우새에서 언급한 바로는, 본인보다 예의도 바른데다 심성이 매우 곱다고 한다.] || ||[[남편]]^^(2016년 결혼 ~ 현재)^^|| || '''학력''' ||[[중앙대학교사범대학부속초등학교]] {{{-2 (졸업)}}}[br][[서문여자중학교]] {{{-2 (졸업)}}}[br][[동덕여자고등학교]] {{{-2 (졸업)}}}[br][[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2 (공예학 / 제적)}}}[br][[건국대학교]] {{{-2 (영화학 / 학사)}}} [br] [[한양대학교 대학원]] {{{-2 (연극영화학과 / [[석박사 통합과정]] 재학)}}} || || '''종교''' ||[[개신교]]|| || '''소속사''' ||[[틀:뿌리깊은 나무들㈜ 레드우즈|매니지먼트 레드우즈]]|| || '''데뷔''' ||[[1996년]] [[MBC]] 25기 공채 [[배우|탤런트]]|| || '''링크'''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hocolatecat9, 크기=20)] [[https://www.instagram.com/chocolatecat9/|[[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간혹 비공개 계정으로 전환을 하기도 한다.]||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배우]]. 북한의 국가원수인 [[김정은]]이 등장하기 직전까지만 해도 대중한테 '''김정은'''이라 하면 이 배우였고 가장 유명했다. 나오는 작품마다 코미디이거나 꼭 코미디는 아니더라도 가벼운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아서 주로 망가지는 역할을 많이 하다 보니 이미지가 어느 정도 고착된 경향이 있다. 미스코리아 집안에서 태어났는데 너무 못생겨서 엄마가 유모차에 태우고 다닐 때 수건으로 얼굴을 가리고 다녔다고 한다. (모 토크 프로그램에서 김정은이 직접 한 말) == 경력 == [[1999년]] [[MBC]] 드라마 [[해바라기(드라마)|해바라기]]에서 정신이 오락가락하는 환자 문순영 역을 맡아 [[신경외과]] [[레지던트]] 1년차 역할을 맡은 [[차태현]]의 오진으로 인해 [[삭발]]을 당하는 연기를 할 때, 삭발을 실제로 하기까지 해서 이름을 알렸다. 이를 인연으로 차태현과의 연인 콘셉트를 잡고 오랫동안 통신사 광고를 함께 찍었다.[* "~~하지 마! 다쳐!"하는 유행어가 여기서 생겨났다.] 이후, [[종합병원 2]]에서 [[의사]]와 의사로 만났다. [[이브의 모든 것]]을 포함한 여러 드라마에서 조연을 맡으면서 연기력을 쌓아갔다. [youtube(eq8tsa_fGpc)] 대중적인 인기를 얻기 시작한 건 [[2001년]]부터. [[비씨카드]] 광고에 출연하기 시작했고, 이듬해인 2002년 하반기에 '''"여러분 모두 부자되세요!!!"''' 멘트를 날리는 CF로 그야말로 대박을 쳤다. 이 멘트는 몇 년 후 [[비씨카드]]의 상품명이 된다. 이후 드라마 [[여인천하]]와 영화 [[가문의 영광(영화)|가문의 영광]]을 거쳐서 드라마 [[파리의 연인]]으로 절정의 인기 배우가 되었다. 그러나 2005년 드라마 [[루루공주]]의 실패와 이로 인한 구설수로 한동안 침체기를 겪는다. 실제로 이 드라마 이후에는 큰 히트작을 만들지는 못했고 2010년대 이후로는 이전에 비해 확연히 활동이 줄어든 편이다.[* 심지어 2015년에 출연한 [[여자를 울려]]에서는 맡은 역할이 죽은 아들의 학교폭력 가해자 아버지와 사랑에 빠지는 황당한 설정으로 "뭐 이런 개막장 드라마에 출연했냐?" 라고 욕을 먹었는데 그마저도 후반부에는 작가가 [[하희라]]가 맡은 악녀 캐릭터의 어그로에 더 심혈을 기울이며 분명 주연이여야 할 김정은이 페이크 주인공이 되는 굴욕까지 겪었다.] [[1993년]] [[건국대학교 충주캠퍼스]](지금의 글로컬캠퍼스) 공예학과에 입학했으나 미등록 제적된 뒤, 직업과 전공의 연관성을 살리기 위해 2009년 [[이다해]]와 함께 건국대학교 서울캠퍼스 예술학부 영화전공으로 재입학하였다. 2007년 봄부터 탤런트 [[이서진]][* 드라마 [[연인(2006년 드라마)|연인]] 출연이 인연이 되었다.]과 교제 중이었으나 2008년 가을 결별하였다. 2008년 3월부터 2011년 3월까지 [[SBS]]의 음악 프로그램인 [[김정은의 초콜릿]]을 진행하였다.[* 앞서 말한 결별 사실 보도 후 초콜릿 방송 중에 김정은이 눈물을 흘린 적도 있었다.][* 마찬가지로 이서진과 교제한 적 있던 [[이효리]]가 초콜릿에 출연하여 둘이서 어색한 분위기를 풍기기도 했다.] 2000년에는 [[김지수(1972)|김지수]]의 후임[* 당시 [[김지수(1972)|김지수]]는 음주운전 사건으로 인해 DJ에서 하차했다.]으로 [[KBS 제2라디오]] "밤을 잊은 그대에게"(약칭 : 밤그대)의 DJ를 맡아 2001년 3월 개편 전까지 진행했다.[* 김정은의 후임 DJ는 [[황수정]]이었는데 [[김지수(1972)|김지수]]의 [[대타]]로 드라마에 캐스팅되자 [[황수정]]은 거액의 출연료를 요구해 마찰을 빚었고, 결국 [[황수정]]은 불과 3개월 만에 밤그대의 DJ에서 하차하고 말았다. 이로 인해 당시 갓 데뷔한 가수 [[성시경]]이 밤그대의 [[대타]] DJ를 맡으며 라디오 진행자 커리어를 시작했다.] 청순함과 백치스러움이 대세였던 20세기 여배우들 속에서 자신을 망가지는 걸 두려워하지 않고 연기하는 코미디와 멜로 두 장르의 연기가 다 되는 흔치 않은 여배우다.[* 지금이야 드라마 주연급 여배우면 스펙트럼도 다양하고 출연작품과 각본과 실제 연기자를 따로 구분하며 연기자를 존중해주는 시대지만, 21세기 초까지만 해도 한 번 코믹이고 한 번 멜로면 멜로지, 코믹과 멜로 연기를 같이 하는 것 자체를 이상하게 생각했고, 시청자들이 드라마와 실제를 혼동할 정도로 한번 잡힌 캐릭터를 정반대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끊기 어려웠다. 이런 이중인격형 여배우를 시청자들이 인정하지 않았던 것이다.] 그래서 '지나치게 오버하는 연기를 보여준다'는 평가와는 별도로 멜로 연기는 보는 이의 눈물을 흘리게 할 정도로 연기력이 아주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이 부분은 과소평가를 받고 있다. 본래 코미디 연기로 자신의 영역을 다지기도 했고 대중의 인기를 얻은 배우다. 2021년 추석 파일럿으로 방송했던 호적메이트가 정규편성 되며 2022년 1월부터 1여년간 MC를 했으며 2023년 시즌1 종료라며 종영한 상태다. 2023년 JTBC 드라마 [[힘쎈여자 강남순]]에서 황금주 역으로 출연중이다. 본인이 잘하는 '코미디' 장르로 다시 돌아왔으며 그 동안의 공백이 무색하게 자연스럽고 유쾌한 연기를 선보이며 시청률을 견인 중이다. 시청자들 역시 "김정은이 제일 잘하는 장르와 연기"라며 극찬중이다. 사전제작 드라마로 촬영은 2023년 4월 17일 모두 끝마쳤다. == 활동 == === 영화 === || '''연도''' || '''제목''' || '''배역''' || '''관객수''' || '''비고''' || ||<|2> 2002년 || [[재밌는 영화]] || 상미 || 37만 6천 명[* 서울 관객 수 기준. 2003년부터 제대로 전국 관객수가 집계되기 시작했다.] || || || '''[[가문의 영광(영화)|가문의 영광]]''' || 장진경 || 520만 명[* 전국 관객 수 기준 추정치. 서울 관객 기준으로 1,605,775명이다.] || || ||<|2> 2003년 || [[나비(동음이의어)#s-9|나비]] || 오혜미 || 612,558명 || || || [[불어라 봄바람]] || 화정 || 924,190명 || || || 2004년 || 내 남자의 로맨스 || 김현주 || 1,083,556명 || || || 2005년 || [[사랑니(영화)|사랑니]] || 조인영 || 165,538명 || || || 2006년 || [[잘 살아보세]] || 박현주 || 275,739명 || || || 2008년 ||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 김혜경[* [[2004 아테네 올림픽]] [[여자]] [[핸드볼]] 국가 대표팀의 [[임오경]] 선수가 모티브인 배역이다.] || 4,044,582명 || || || 2010년 || [[식객: 김치전쟁]] || 장은 || 471,103명 || || || 2013년 || [[미스터 고]] || 김정은 || 1,328,890명 || 특별출연 || === 시트콤/드라마 === || '''연도''' || '''방송사''' || '''방송명''' || '''배역''' || '''비고''' || ||<|10> 1997년 ||<|18>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욕망(1997년 드라마)|욕망]] || || || || [[별은 내 가슴에]] || 비서[* 극중 [[차인표]]의 비서 역으로 거의 단역이었다.] || || || [[세 번째 남자]] || || || || [[딸의 선택]] || || || || [[불꽃놀이(1997년 드라마)|불꽃놀이]] || || || || [[복수혈전(드라마)|복수혈전]] || 미란 || || || [[영웅반란]] || 영자 || || || [[예스터데이(드라마)|예스터데이]] || || || || [[내가 사는 이유]] || || || || [[남자 셋 여자 셋]] || || || ||<|4> 1998년 || [[사랑(1998년 드라마)|사랑]] || || || [[사랑을 위하여(1998년 드라마)|사랑을 위하여]] || || || || [[마음이 고와야지]] || || || || [[내일을 향해 쏴라(드라마)|내일을 향해 쏴라]] || || || || 1998년~1999년 || '''[[해바라기(드라마)|해바라기]]''' || '''문순영''' || || ||<|4> 1999년 || [[봄(드라마)|봄]] - 아주 특별한 선물 || [[청춘(드라마)|청춘]] || || || [[눈물이 보일까봐]] || 강혜경 || || || [[날마다 행복해]] || 오주란 || || || [[SBS TV|[[파일:SBS 로고(1994-2000).svg|width=40]]]] || [[행진(시트콤)|행진]] || 엄정은[* 당시에 겨우 스물 여섯이었지만 교수 역을 맡았다.] || || ||<|4> 2000년 ||<|3>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이브의 모든 것(드라마)|이브의 모든 것]] || 유주희 || || || [[당신 때문에]] || 이정우 || || || [[에어포스(드라마)|에어포스]] || 임세연 || 2부작 특집 드라마 || ||<|8>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골뱅이]] || || || ||<|3> 2001년 || [[메디컬센터]] || 진영 || 10화 특별출연 || || [[여인천하]] || 능금 || 아역: [[박규리]] || || [[아버지와 아들(SBS)|아버지와 아들]] || 은주 || || || 2004년 || '''[[파리의 연인]]''' || '''강태영''' || || || 2005년 || [[루루공주]] || 고희수 || || || 2006년 || '''[[연인(2006년 드라마)|연인]]''' || '''윤미주''' || || ||<|2> 2008년 || [[온에어]] || 김정은 || 특별출연 || || [[MBC TV|[[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종합병원 2]] || 정하윤 || || || 2010년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나는 전설이다(드라마)|나는 전설이다]]''' || '''전설희''' || || ||<|2> 2012년 || [[TV CHOSUN|[[파일:TV CHOSUN 로고.svg|width=40]]]] || [[한반도(드라마)|한반도]] || 림진재 ||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울랄라 부부]]''' || '''[[나여옥]]''' || || || 2015년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여자를 울려]]''' || '''[[정덕인]]''' || || || 2017년 || [[OCN|[[파일:OCN 로고(2001-2020).svg|width=40]]]] || [[듀얼(OCN)|듀얼]] || 최조혜 || || || 2020년 || [[MBN|[[파일:MBN 로고.svg|width=40]]]] || '''[[나의 위험한 아내]]''' || '''심재경''' || || || 2023년 ||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힘쎈여자 강남순]]''' || '''[[힘쎈여자 강남순/등장인물#황금주|황금주]]''' || || === 뮤직비디오 === || '''연도''' || '''아티스트''' || '''곡명''' || ||<|2> 1998년 || [[홍경민]] || 내 남은 사랑을 위해 || || [[조성모]] || 불멸의 사랑 || ||<|2> 2001년 || 진주 || Love is || || 서후 || 내가 아는 그대 || ||<|2> 2002년 || [[쿨(혼성그룹)]] || 숙아[* 영화 가문의 영광 OST] || || 정윤돈([[악동클럽]]) || 슬픈 하루 || || 2003년 || [[강성(가수)]] || 사랑해[* 영화 나비 OST] || || 2005년 || 조성모 || Mr. Flower, 못다한 한마디[* 연작 형식이다.] || || 2010년 || [[이승철]] || 사랑 참 어렵다 || === 예능/진행 === || '''연도''' || '''방송사''' || '''방송명''' || '''역할''' || || 2000년 || [[KBS 제2라디오|[[파일:KBS 제2라디오 로고.svg|width=55]]]] || [[밤을 잊은 그대에게]] || 단독 진행 || ||<|3> 2001년 ||<|4>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기분 좋은 밤]] || 고정 진행 with [[박수홍]], [[이휘재]] || || [[서울가요대상]] || 진행 with [[유정현(방송인)|유정현]] || || [[SBS 가요대전]] || 진행 with [[서세원]] || || 2001~2002년 || [[한밤의 TV연예]] || 고정 진행 with 유정현 || ||<|2> 2002년 || [[MBC|[[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대한민국 영화대상|MBC 영화상]][* 다음 해부터 <대한민국 영화대상>으로 명칭이 바뀌었으며, 이 영화상이 폐지될 때까지 [[송윤아]]가 쭉 진행하였다.] || 진행 with [[신동호(아나운서)|신동호]] || || [[엠넷|[[파일:엠넷 로고(1995-2005).svg|width=40]]]] || Mnet 뮤직비디오 페스티벌[* 現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MAMA]].] || 진행 with [[신동엽]] || ||<|3> 2003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쟁반노래방|해피투게더 - 쟁반노래방]] || 게스트[* 영화 [[불어라 봄바람]] 홍보차 김승우와 출연] || ||<|3>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야심만만 만명에게 물었습니다 || 게스트[* 영화 [[불어라 봄바람]] 홍보차 김승우와 출연] || || SBS 가요대전 || 진행 with [[이문세]] || ||<|2> 2004년 || 야심만만 만명에게 물었습니다 || 게스트[* [[파리의 연인]] 종영 후 주연 세 배우의 과거 야심만만 출연 영상분 편집하여 방송] || || [[엠넷|[[파일:엠넷 로고(1995-2005).svg|width=40]]]] || Mnet KM 뮤직비디오 페스티벌 || 진행 with 신동엽 || || 2007년 ||<|2> [[MBC TV|[[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공감토크쇼 놀러와]] || 게스트[* 영화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홍보차 문소리, 김지영과 함께 출연.] || ||<|2> 2008년 || [[공감토크쇼 놀러와]] || 게스트[* 영화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홍보차 문소리, 김지영과 함께 출연.][* 드라마 [[종합병원 2]] 홍보차 차태현, 이종원, 류승수와 함께 출연] || || || 제13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식 || 진행 with [[정진영(배우)|정진영]] || || 2008년~2010년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김정은의 초콜릿]] || 단독 진행 || || 2009년 || [[MBC TV|[[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공감토크쇼 놀러와]] || 게스트[* 절친 [[김원희]]와의 인연으로 출연했다.] || ||<|2> 2010년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대종상 영화제]] || 진행 with 신동엽 || || || 제6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 개막식 || 진행 with [[윤도현]] || ||<|2> 2011년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기적의 오디션 || 심사위원[* [[김갑수]], [[이미숙(1960)|이미숙]], [[이범수]], [[곽경택]] 감독과 함께 나섰다.] || ||<|3>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개그콘서트 || [[https://youtu.be/dz35VI56P64|게스트]][* 개그콘서트 600화 특집 달인 코너. 사실은 김병만과 사전협의가 없던 상황에서 일어난 것이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당한 거다'''.] || ||<|2> 2012년 || [[해피투게더(KBS)/3기|해피투게더 3]] || 게스트[* [[울랄라 부부]] 홍보차 출연.] || || 대종상 영화제 || 진행 with [[신현준]][* 당시 드라마 〈울랄라 부부〉가 방영 중일 때였다.] || || 2014년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열창클럽 썸씽 || 진행 with [[강호동]] || ||<|2> 2015년 ||<|2>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제10회 서울 국제 드라마 어워즈 || 진행 with [[이동욱]] || || 창사 54주년 특집 - MBC와 좋은 친구들 || 단독 진행 || ||<|2> 2016년 ||<|2>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투유 프로젝트 - 슈가맨]] || 게스트[* [[유미(가수)|슈가맨]]과의 인연으로 31회차에 깜짝 출연.] || || [[비정상회담]] || 게스트 || ||<|3> 2017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제12회 서울 국제 드라마 어워즈 || 진행 with 신동엽 || ||<|2>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내방안내서 || 게스트[* 박신양과의 인연으로 출연.] || || [[미운 우리 새끼]] || 스페셜 MC || || 2019년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놀면 뭐하니?]] || 릴레이카메라 || || 2020년 ||<|2>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미운 우리 새끼]] || 스페셜 MC || ||<|4> 2021년 || [[맛남의 광장]] || 게스트 || || [[채널A|[[파일:채널A 로고.svg|width=40]]]] || 레전드 음악교실 - 랄라랜드 || MC[* 신동엽, 이유리, 고은아, 조세호, 황광희] ||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호적메이트]][* 추석특집 2부작 파일럿 예능] || MC[* 이경규, 허재, 딘딘과 츄, 이지훈] || || [[TV CHOSUN|[[파일:TV CHOSUN 로고.svg|width=40]]]] || [[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 || 게스트 || ||<|4> 2022년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호적메이트]] || MC[* 이경규, 딘딘] || || [[TVING|[[파일:TVING 로고.svg|width=40]]]] || A LIVE || MC || || [[iHQ(채널)|[[파일:채널 iHQ 로고.png|width=40]]]] || 내 이름은 캐디 || 게스트 || || [[tvN|[[파일:tvN 로고.svg|width=40]]]] || 이번주도 잘 부탁해 || 게스트 || === 내레이션 === ==== 방송 ==== || '''방영일''' || '''방송사''' || '''방송명''' || '''방영편''' || || 2008년 2월 20일 || [[KBS 1TV|[[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수요 기획 || 금메달을 향해 뛰어라: 대륙의 올림픽 꿈나무들 || || 2010년 10월 22일 || [[MBC TV|[[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MBC 스페셜 || 도시의 개 || || 2013년 12월 22일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SBS 스페셜]] || 기적을 만든 아이들 : 꿈의 오케스트라 || || 2016년 9월 27일 || [[KBS 1TV|[[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width=40]]]] ||<-2> 평창동계올림픽 D-500 특집 다큐 : 그녀들의 뜨거운 여름 || ==== 음반 ==== || '''연도''' || '''아티스트''' || '''음반''' || '''곡명''' || ||<|4> 2001년 ||<|4> god ||<|4> Chapter4 || 나는 알아 || || 슬픈 사랑 || || 난 남자가 있어 || || 떠나지 못하는 이유 || || 2002년 ||<|2> 김정은 || 가문의 영광 OST || 나 항상 그대를 || || 2004년 || 파리의 연인 OST || 내게 남은 사랑을 다 드릴게요 || || 2005년 || 조성모 || My First || 못다한 한마디 || || 2008년 ||<|2> 김정은 ||<|2> 김정은의 초콜릿 || 초콜릿 || || 2009년 || I Like A Choco || ||<|8> 2010년 ||<|4> 컴백마돈나밴드 ||<|7> 나는 전설이다 OST || 컴백 마돈나 || || 백만송이 장미 || || 황홀한 고백 || || 기분 좋은 날 || ||<|3> 김정은 || 회상 || || 너에게 (Dear music) || || 그대가 (Duet 이준혁) || || 최재훈 || M4 두번째 이야기 || 순애보 || || 2011년 || JYJ || In Heaven || In Heaven || === 광고 === * [[KT]] 링고 * 대상웰라이프 클로렐라 * [[BC카드]] * [[웅진코웨이]] * [[동서식품]] 맥심 아이스커피 * 이수건설 브라운스톤 * 대성 S라인 콘덴싱 (2009년) == 수상 == || '''연도''' || '''시상식명''' || '''수상 부문''' || '''작품''' || || 1999년 || [[MBC 연기대상]] || 신인상 || [[해바라기(드라마)|해바라기]], 날마다 행복해 || || 2000년 || [[SBS 연기대상]] || 시트콤부문 연기상 || 행진 || || 2002년 || 제23회 [[청룡영화상]] || 인기스타상 ||<|2> [[가문의 영광(영화)|가문의 영광]] || || 2003년 || 제39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갤러리아 인기상 || ||<|5> 2004년 || 제25회 [[청룡영화상]] || 인기스타상 || 내 남자의 로맨스 || || 제5회 대한민국영상대전 || 탤런트부문 포토제닉상 ||<|7> '''[[파리의 연인]]''' || || 제19회 그리메상 || '''최우수 여자연기상''' || ||<|2> [[SBS 연기대상]] || '''대상'''[* [[박신양]]과 공동수상.] || || 10대 스타상 || ||<|3> 2005년 || 제41회 [[백상예술대상]] || '''TV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 제32회 [[한국방송대상]] || 탤런트상[* 드라마 [[루루공주]] 파문 직후 개최된 시상식으로, 결국 직접 수상하지 못하고 불참했다.] || || 싱가포르 아시아 TV상 || 최우수 드라마 여자연기상 || ||<|3> 2006년 || 행정자치부 장관 표창 || [* 기부문화에 기여한 공로로 수상하였다.] || || ||<|2> [[SBS 연기대상]] || 드라마PD가 뽑은 연기상 ||<|2> [[연인(2006년 드라마)|연인]] || || 10대 스타상 || ||<|2> 2008년 || 제44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여자 인기상 ||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 || 제42회 납세자의 날 국무총리 표창 || || || || 2009년 || [[SBS 연예대상]] || 프로듀서 베스트 MC상 || [[김정은의 초콜릿]] || ||<|2> 2010년 || 제3회 스타일 아이콘 어워즈 || TV스타 부문 ||<|2> [[나는 전설이다(드라마)|나는 전설이다]] || || [[SBS 연기대상]] || 특별기획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 2015년 || [[MBC 연기대상]] || 연속극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 [[여자를 울려]] || || 2017년 || 대통령 표창장 || [* 입양문화 정착에 기여한 공로로 수상하였다.] || || == 사건 사고 == [include(틀:사건사고)] * '''[[연제협 MBC 출연 거부 사태]]''' 때 한국연예제작자협회(연제협) 편에 선 전력이 있다. 다만 [[신승훈]], [[김건모]] 등 대선배들의 압력이 강했기 때문에[* 사실 이 사건도 그동안 한번도 스캔들 없던 신승훈에겐 유일한 흑역사가 되었다. ] 어쩔 수 없었다고 볼 여지는 있다. 김정은이 1974년생인데 '''신승훈은 1966년생이다.'''[* 프로필 상 1968년생이나, 실제로는 1966년생이다. 참고로 1965년 12월생 [[이승환]]보다 정확히 1살 어리다.] 벌써 나이차부터 어마어마하다. * 2002년 미스코리아 출신 배우 성현아가 신종마약 엑스터시 복용으로 구속되자, 김정은 또한 마약 수사선상에 이름이 오르내리며 자진 출두하여 무혐의를 받았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108/0001987993]] * 2015년 방영한 SBS 주말 드라마 [[내 마음 반짝반짝]]의 출연을 번복한 사건이 있었다. == [[김정은|이름]] 때문에 고생 == * 배우 김정은은 북한의 지도자인 '''[[김정은]]'''과 동명이인인 것에 대해 SNS를 통해 불편한 심경을 드러냈다. [[http://media.daum.net/entertain/star/newsview?newsid=20101023091706970|김정은, 동명이인 북한 김정일 아들에게 “내가 연장자인데 이름 그쪽이 바꿔라”(뉴스엔)]] 이후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시에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81&aid=0002250357|이런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파일:external/gnnksa.blu.livefilestore.com/%EC%97%B0%ED%8F%89%EB%8F%84%EB%A5%BC%20%EB%B3%B8%20%EA%B9%80%EC%A0%95%EC%9D%80.jpg|psid=1|width=100%]]|| ||<#ec685c> {{{#white [[연평도|{{{#white 연평도}}}]] 포격 당시 트위터에 올린 댓글.}}} || * 북쪽의 김정은의 이름이 당초 일본 등 해외에 먼저 보도되면서 김정'''운'''으로 잘못 알려져 있었는데, 뒤늦게 김정'''은'''일 가능성이 높다는 추측이 나돌자 제발 북쪽에 있는 사람 이름이 김정'''운'''이길 기도했다고 한다. 하지만 결과는 모두 알다시피 현수막에 김정은으로 찍히면서... * 게다가 어렸을 적의 별명은 [[김정일]]이었단다. [[SBS]]의 아나운서인 [[김정일(아나운서)|김정일]]도 [[북한]]의 [[김정일]]과 한자까지 같은 동명이인인지라 비슷한 경험을 겪은 적이 있다. * 한 가지 다행인 점은 로마자 표기는 Kim Jung-Eun이라 북쪽 Kim Jong-un과 달라 그나마 외국인들은 좀 덜 헷갈린다.[* 참고로 예성의 개명 전 본명은 '김종운'이었고 로마자 표기는 북한의 김정은과 같은 Kim Jong-un이었다. 그 후 예성은 김강훈으로 개명했다.] * [[김정은의 초콜릿]] 프로그램이 끝난 뒤인 2012년에 [[SNL 코리아]] 시즌2 3회에서도 이걸 따서 패러디한 스케치가 있었다. 여기에서는 출연자들의 행동을 보고 북한의 [[김정은]]([[김민교]] 扮)이 심기가 불편해질 때마다 초콜릿을 마구마구 먹는다. * 네이버 베스트 도전 만화 [[서폿저택에 어서오세요]]에서도 같은 소재의 드립이 나오기도 했다.[[http://comic.naver.com/bestChallenge/detail.nhn?titleId=571611&no=43&genre=story&listPage=1|해당 화]] * [[연애의 정령]]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651617&no=10|9화]]에도 드립이 나왔다. * [[https://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20853&no=1129|마음의 소리에도 잠시 언급되었다.]] 작가 본인이 세이브 만화 그릴 때는 김정일이 북한 영도자여서 배우 김정은이 더 유명한 때였다고 한다.[* 조석 왈, '''그릴 땐 [[김정일|일]]일 때라 [[김정은|은]]은 몰랐다고!'''] * 2018년 즈음에 이르러서는 인지도를 완전히 북쪽의 김정은에게 넘겨줘버렸다. 이를 보여주듯 2018년 5월,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자신을 '남한 김정은'이라고 적어야 한다는 웃지 못할 내용을 올리기도 했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081&aid=0002917110|#]] * 검색 기능이 있는 포털이나 나무위키 같은 위키에서도 피해를 보게 되었다. 네이버에서 김정은이 후계자로 공식 임명되기 전까지만 해도 [[김정은]]이라고 검색하면 맨 먼저 해당 배우의 프로필이 떴으나 지금 네이버에서는 밑의 수많은 동명이인들 중 하나가 되어버렸다.[* 그나마 다행인 건 2023년 기준 현재에는 둘의 프로필이 동시에 뜨고 있다.] 나무위키의 전신인 엔하위키도 2012년 시절까지만 해도 이 문서의 표제어는 '김정은'이었으나, 2012년에 들어서면서부터 북쪽 수령이 차지하고 있으며, 이 문서는 보다시피 '김정은(배우)'가 되었다. * [[비정상회담]]에 한국 대표로 출연하여 의제 상정을 했을 때에도 "원래 하고 싶었던 의제는 '이름 바꾸고 싶은 나, 비정상일까요?'였는데 '''전부 다들 정상이라고 할까봐''' 못 했다."고 너스레를 떨기도 했다. == 기타 == * 경제계 명문가출신으로, 외할아버지의 동생은 작고한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인 [[김준성]]이다. 부총리가 되기 전 제일은행장, 외환은행장, 한국산업은행 총재, 한국은행 총재, 전국은행연합회 회장을 지냈으며, 퇴임 후 [[삼성전자]] 회장, [[대우그룹]] 회장, [[이수그룹]] 회장을 역임하였다. 친척 중 한 명은 [[이수그룹]] 회장인 김상범이다. 신문 기사 등에는 김상범이 김정은의 외삼촌, 김준성이 김정은의 작은외할아버지로 등재되어 있으나, 김상범은 김준성의 셋째아들이고, 김정은과는 친척뻘이 된다. 김상범의 부인인 김선정은 [[대우그룹]]의 총수였던 [[김우중]] 전 회장의 장녀이고 영국 미술 전문지 '아트리뷰' 선정 '2014 세계 미술계 파워 100인'에 오른 유일한 한국인이다, 베네치아 비엔날레 한국관 커미셔너(2005), 미디어시티 서울 비엔날레 총감독(2010), 광주 비엔날레 공동 감독(2012) 을 지낸 후 현재 아트선재센터 관장을 맡고 있다. 이 때문에 이수건설의 브라운스톤 모델로 활동하기도 했다. * 대대로 가족들 중 여성 구성원들이 김정은 본인을 포함하여 하나같이 빼어난 미모를 갖고 있으며 어머니는 미스 경북 진 출신, 이모가 [[미스코리아]] 본선 진 출신이다.[[http://sports.donga.com/3/all/20121005/49869144/2|#]] 김정은이 밝히기론, 어린 시절엔 자신이 집안에서 가장 못 생겼다고 한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김정은의 어머니는 김정은이 아기였을 때 화려하게 꾸민 유모차에 태우고 다녔는데, 화려한 유모차 안에 있는 아기가 궁금해서 사람들이 달려와 아이를 확인하고는 "아... 아이가 참 건강하네요."라며 쓴웃음을 졌다는 이야기를 한 적이 있었다. 지금의 외모는 약간의 수정을 거친 얼굴이라고 한다. * 미국 헤비메탈밴드 [[머틀리 크루]](정확히는 드러머 타미 리)의 광팬이었다고 한다.[[http://news.joins.com/article/4364629|#]] * 3년여의 연애 끝에 [[2016년]] 4월 29일 재미교포 남성과 웨딩마치를 올렸다. 그는 연봉이 10억원 내외인 외국계 회사의 펀드매니저라고 하며, 시가는 백화점 소유주라고 한다. * 2017년 7월 13일 대통령 표창장을 받았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7/13/2017071301765.html|국내입양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꾸준히 활동한 공로라고 한다.]] * 1993년 대전엑스포에서 기아자동차관의 도우미로 활동했었다. * [[김원희]], [[김선아]]와 '''쓰리김'''이라고 부르면서 절친이었다. * 2001년 7월, 대한사회복지회 홍보대사로 위촉되어 활동 중이다. *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 영상연기과 겸임교수로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106&sid2=221&oid=144&aid=0000272724|임명됐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정은의 초콜릿, version=37)] [[분류:한국 여배우]][[분류:한국의 드라마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1974년 출생]][[분류:1996년 데뷔]][[분류:경주 김씨]][[분류:동작구 출신 인물]][[분류:중앙대학교사범대학부속초등학교 출신]][[분류:서문여자중학교 출신]][[분류:동덕여자고등학교 출신]][[분류:건국대학교 출신]][[분류:한양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SBS 연기대상 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