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TerribleGrubbyRoughAlley, 합의사항1=금지 약물 복용 관련 표현이나 서술은 '4.1 금지약물 복용' 문단에서만 근거신뢰성 순위내의 자료를 제시하여 서술하기)] [include(틀:두산 베어스/간략(외야수))] ---- || '''{{{#fff 김재환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fff 김재환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fkcw24qrh1sqk8veo5_r1_540.png|width=auto&height=50]][[파일:두산 2019V6.png|width=auto&height=50]][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반지''' || || '''[[2016년 한국시리즈|{{{#FFFFFF 2016}}}]]''' || '''[[2019년 한국시리즈|{{{#FFFFFF 2019}}}]]''' || ---- ||
[[파일: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auto&height=70]][br]'''2018 자카르타 • 팔렘방 아시안게임 야구 종목[br]{{{#D4AF37 금메달}}}''' || || '''[[선동열호/2018년|{{{#FFFFFF 2018}}}]]''' || ---- ||
[[파일:WBSC 프리미어 12 엠블럼.svg|width=auto&height=70]][br]'''2019 프리미어 12[br]{{{#8c8c8c 은메달}}}''' || || '''[[김경문호/2019년|{{{#FFFFFF 2019}}}]]''' || ---- [include(틀:KBO 골든글러브/외야수/2000년대)] ---- || [[KBO MVP#s-1|[[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br] '''{{{#ffffff 2018 KBO 리그 MVP}}}''' || ---- ||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s-1.3|[[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br] '''{{{#ffffff 2018 KBO 리그 홈런왕}}}''' || ---- ||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s-1.4|[[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br] '''{{{#ffffff 2018 KBO 리그 타점왕}}}''' || ---- || [[KBO 퓨처스리그|[[파일:KBO 퓨처스리그 엠블럼.svg|height=30]]]][br] '''{{{#fff 2010 KBO 퓨처스 북부리그 타점왕}}}''' || ---- [include(틀:동아스포츠대상 프로야구)] ---- || [[파일:PLAYERS_CHOICE_AWARDS_LOGO_1.png|width=65]]'''2018 [[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드#s-2.6]] 올해의 타자상''' || ---- || [[파일:일구상 로고.jpg|width=60]] '''2018 [[일구상]] 최고 타자상''' || ---- ||<-2> {{{#ffffff 보유 기록}}} || || 연속 경기 타점 || 13경기[* 2017년 7월 26일 kt전 ~ 2017년 8월 9일 한화전] || }}} || ---- || '''{{{#fff 김재환의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두산 베어스 주장)] ---- ||<-5>
'''{{{#fff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24번}}}''' || || [[이승엽(1982)|이승엽]][br](2007) || {{{+1 →}}} || '''{{{#000 김재환[br](2008)}}}''' || {{{+1 →}}} || [[용덕한]][br](2009~2011)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27번}}}''' || || [[김명제]][br](2008~2010) || {{{+1 →}}} || '''김재환[br](2011)''' || {{{+1 →}}} || [[용덕한]][br](2012~2012.6.16.)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24번}}}''' || || [[용덕한]][br](2009~2011) || {{{+1 →}}} || '''김재환[br](2012~2013)''' || {{{+1 →}}} || [[오장훈]][br](2014~2015)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32번}}}''' || || [[김선우(1977)|김선우]][br](2008~2013) || {{{+1 →}}} || '''김재환[br](2014~)''' || {{{+1 →}}} || 현역 || }}} || ---- || '''{{{#FFFFFF A대표팀 참가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선동열호/2018 아시안 게임 엔트리)] ---- [include(틀:김경문호/2019 프리미어 12 엔트리)]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재환2023.png|width=100%]]}}} || ||<-2> '''두산 베어스 No.32''' || ||<-2> '''{{{+2 김재환}}}[br]金宰煥|Kim Jae-Hwan''' || ||<|2> '''출생''' ||[[1988년]] [[9월 22일]] ([age(1988-09-22)]세)||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영랑초 - [[상인천중학교|상인천중]] - [[인천고등학교 야구부|인천고]]|| || '''신체''' ||183cm|98kg[* [[https://youtu.be/lrCfhRG9H2A?feature=shared&t=55|#]]]|[[A형#혈액형]]|| || '''포지션''' ||[[포수]][* 입단은 포수로 했지만 포수로 나올 일은 앞으로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포지션 전향 이후로는 포수로는 안 나오고 있다고 보면 되고, 2016년 8월 24일 경기 도중 헤드샷 후유증이 남아있던 [[양의지]]가 본의 아니게 박용택의 배트에 머리를 맞아 실려가고, [[박세혁]]도 부상의 기미가 보여 경기가 잠시 중단되자 본인이 마스크를 써야 하냐며 유격수 위치까지 걸어온 적은 있다. 다행히 박세혁의 부상은 심각하지 않았고 이 날 박세혁은 연타석 홈런으로 데일리 MVP를 타는 활약을 보였다.][* 이후 2019년 10월 7일 캐치볼 훈련을 할 때 [[https://youtu.be/z_Quq5c_dCo|포수 미트를 끼고 권혁과 이현승의 공을 받아줬다.]] 2022년 5월 17일 경기에서 박세혁이 조기에 교체되고 대수비로 들어온 [[박유연]]이 [[이반 노바|노바]]의 공에 손을 맞는 바람에 포수가 사라져서 불펜에서 진짜로 포수 마스크와 미트까지 착용하면서 투수들의 공을 받기도 했으나, 이는 그냥 장난으로 착용했던 것이었고 실제로는 [[김민혁(1996)|김민혁]]이 포수로 투입되면서 김재환의 포수 출전은 실현되지 않았다.] → [[1루수]] → '''[[좌익수]]''', [[지명타자]][* 포수를 포기한 이후에는 1루수로 나서다가 2016년부터 [[오재일]]이 1루수를 보고 있기 때문에 좌익수로도 나서고 있다. 수비가 좋지 못해서, 지명타자로도 자주 출전한다. 2017년부터는 주로 좌익수로 선발출장한다. 점점 수비가 나아지며 좋은 수비를 자주 보여주지만 아직도 타구판단이나 첫발 스타트는 별로인 편. 2023년에는 무릎 통증으로 인해 양석환, 양의지와 번갈아가며 지명타자로 나서고 있다.]|| || '''투타''' ||[[우투좌타]]||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08년/신인드래프트#s-3.2|2008년 2차 1라운드]] (전체 4번, [[두산 베어스|두산]])|| || '''소속팀''' ||'''[[두산 베어스]] (2008~)'''|| ||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br]{{{-2 (2008년 12월 22일 ~ 2010년 10월 30일)}}}|| || '''계약''' ||2022 - 2025 / 115억원[* 계약금 55억원 / 연봉 총액 55억원 / 인센티브 5억원]|| || '''연봉''' ||15억원 (FA, 2023년)|| || '''등장곡''' ||Zion I & The Grouch - 《Drop It On The 1》|| ||<|2> '''응원가''' ||{{{#!folding [ 이전 응원가 보기 ] 김추자 - 《무인도》[* 두산의 김재환~ 오오오오오~ 두산의 김재환~ 오오오오~ 두산의 김재환 오오오오오~ 두산의 김재환~ 오오오~] }}}|| ||이정 - 《[[https://youtu.be/gmnt0F86R-c|다신]]》[*가사 '''두산! 승리를 위해 다같이 김재환~! 두산! 승리를 위해 오오오! 오오오!'''][* 2015 시즌부터 사용.]|| || '''소속사''' ||[[리코스포츠에이전시|[[파일:리코스포츠에이전시 로고.svg|height=20&theme=light]][[파일:리코스포츠에이전시 로고 화이트.svg|height=20&theme=dark]]]][* 팀 동료 [[양의지]], [[허경민]], [[양석환]], [[최원준(1994)|최원준]]이 소속되어 있다.] || ||<-2><^|1>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족''' ||부모님, 여동생 ---- 배우자^^(2014년 결혼 ~ 현재)^^[br]장녀^^(2015년생)^^[br]차녀^^(2015년생)^^[br]삼녀^^(2017년생)^^[br]장남^^(2022년생)^^ || || '''MBTI''' ||[[ISTP]] ||}}}}}}}}} || [목차] [clearfix] == 개요 == >"타격감이 좋든 나쁘든 [[두산 베어스|우리 팀]] 4번 타자는 김재환이다." >------ >[[김태형(1967)|김태형]] 감독 인터뷰 중 [[두산 베어스]] 소속 [[우투좌타]] [[좌익수]] 겸 [[지명타자]]. == [[김재환(야구선수)/선수 경력|선수 경력]]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rlawoghksP.jpg|width=100%]]}}} || [include(틀:김재환의 선수 경력)] == [[김재환(야구선수)/플레이 스타일|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재환 타격폼.gif|width=10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재환(야구선수)/플레이 스타일)] || == 논란 및 사건 사고 == === [[금지약물 복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도핑.png|width=100%]]}}} || 2011년 10월 29일, 파나마 야구월드컵 폐막 후 도핑테스트에서 [[테스토스테론]]이 검출되었다. 본인의 말로는 9월 말 경기를 마치고 친구가 일하는 스포츠클럽에서 웨이트 트레이닝을 했는데, 얼굴이 피곤해 보인다며 건네준 약을 일반 피로해소제로 알고 '''실수로''' 먹었다고 하는데, 이는 약물 복용자들의 흔한 변명이다.[* 이런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먹지 말아야 한다. 운동선수들을 보면 음식을 가려 먹거나(팬들이 주는 일부 음식과 영양제 역시 받지 않는다.) 병원에서 진단과 처방전을 받게 되면 그걸 구단에 신고하는 것도 다 이유가 있다.][* 육상 불모지 대한민국에서 천년에 한번 나올까말까했던 육상 중거리에서 국제경쟁력을 갖춘 간판스타 [[이진일]]도 '''감기약 3알을 복용했을 뿐이었는데도''' 불시 도핑테스트에 걸려 선수생활의 최전성기를 그대로 흘려보내야 했다.][* 단 다 안 받는건 아니고 받긴 받는데 트레이너에게 문의해서 확인하는 선수들도 있는데 이건 원래 트레이너 일인 만큼 아무 문제 없으니 만일 도핑 테스트 받을 일이 있다면 괜히 곤란해지지 말고 꼭 거쳐 가자.] 문제는 김재환이 도핑에 적발된 당시 금지약물 징계는 당시 최대 징계 수위였던 '''10경기 출장 정지'''에 불과했다는 점이다. KBO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야구계가 얼마나 도핑에 둔감했는지 알 수 있는 부분. 일단 [[김진욱(1960)|김진욱]] 감독이 무기한 팀 훈련 참가 금지 징계를 내렸으나, 이듬해 1월 6일 징계가 해제되었다. 처음에 '무기한 징계'로 강한 처벌 방침이 보도되었던 것에 비해 결과적으로 비시즌 2달 반의 훈련 참가 금지라는 솜방망이로 끝난 셈이다. [[http://sportsworldi.segye.com/newsView/20120106003139|#]][* 동 기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이었다면 50경기 출장 정지 처분이 내려졌을 것이다. 그나마도 훈련 참가 금지가 대부분 비시즌에 겹쳐 큰 효과가 없고 사실상 10경기 출장정지에 그쳤던 점을 감안하면, MLB의 징계 수위는 더 높게 느껴지는 셈. 하지만 MLB의 징계 수위마저도 솜방망이 아니냐는 이야기가 많았고, 결국 2015년부로 징계 수위를 더 높였다.] 하지만 김재환이 도핑에 적발되었다는 소식은 처음에는 크게 알려지지 못했다. 기사가 2011년 한국시리즈 4차전에 떠서 야구팬들의 관심이 온통 이곳에 쏠린데다가, 당시까지만해도 도핑 행위가 야구팬들 사이에 그렇게까지 심각하게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며 김재환이 야구판에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유망주여서 몇몇 두산팬들을 제외하면 '''"거의 묻힌 사건'''"이었다. 그러다가 2016년부터 포텐이 터지고 대활약을 하게 되면서 이 사건이 재발굴되었고 모든 야구팬들이 김재환의 도핑 이력을 알게 되었다. 한편 이 사건을 계기로 2012 시즌부터 퓨처스리그 선수들에 대해서도 [[http://www.sisa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11359|도핑검사]]가 실시되었다. 2016년 인터뷰 기회가 많아지면서 자주 이 문제에 대해 언급하게 되었는데, 본인도 여론을 알게 되었는지 시즌 초반에 하던 배트 플립도 하지 않고 발언 기회가 있을 때마다, 욕 먹는 것은 본인이 영원히 감수해야 할 문제라고 말하고 있다. >Q. 어려운 시기가 있었다. 어떻게 이겨냈나? >A. 이겨낸다고 생각할 수는 없고. 욕 먹는 것은 내가 감수해야 할 부분이다. 항상 죄송한 마음으로 최선을 다하려 한다. >---- >[[https://www.ytn.co.kr/_ln/0107_201610290234296290|인터뷰 전문]] == 여담 == * 입단하자마자 팬 클럽이 생겼었다. 대충 검색해도 그 시절 오글거리는 사진들을 많이 찾을 수 있다. * [[M.C The Max]]의 보컬 [[이수(가수)|이수]]와 닮았다는 의견이 있다. 여담으로 김재환의 타석에서 엠씨더맥스의 Returns가 나온다. 김재환 전용 응원가는 아닌 장타자 공통 응원가[* [[김현수(1988)|김현수]], [[오재일]], [[양의지]], [[최주환]], [[양석환]] 등 4번 타순에 서는 타자들의 타석에서도 재생된다.]지만 주로 김재환 타석에서 재생되기 때문에 사실상 전용 취급 받는 중.[* 2023 시즌에는 많이 나오지 않고 있다. 부진으로 인해 본인이 재생하지 말아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고.] * 선수 등장곡이 나올때 [[한재권]] 단장이 외치는 네 마디 구호는 '''홈~런!, 홈런 타자'''.[* 2018 시즌 한정으로는 '''잘생겼다!'''였다.] * 남자다운 외모와 달리 목소리가 상당히 의외다. 초등학교 시절부터 포수를 맡으며 과하게 성대를 사용하는 바람에 물혹이 생겨, 병원에서 목을 더 이상 써서는 안 된다는 진단을 받았다고. 하지만 이런 사정을 모르는 팬들은 김재환의 데뷔 첫 인터뷰에서 적잖은 충격을 받았었다. 팀 동료인 [[민병헌]]과 같은 과라고 할 수 있겠다.[* 민병헌이 [[KBO 올스타전/2016년|2016년 올스타전]]에서 미스터 올스타를 수상한 뒤에 했던 인터뷰에서 두산 팬들은 원래 알고 있었으니 별다른 반응이 없었지만 타 팀 팬들은 의외의 하이톤 목소리에 상당히 놀란 반응이 대다수였다.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vod/index.nhn?uCategory=kbaseball&category=kbo&id=209029&redirect=true|인터뷰 3:58부터]]][[http://www.xportsnews.com/jsports/?ac=article_view&entry_id=161802&_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 [youtube(4klIta1Rhy8)] || || 데뷔 첫 홈런을 친 경기에서 인터뷰 (3:12~) || * 말 주변이 심각하게 없고 인터뷰를 정말 못한다. [[안치용(야구)|안치용]]이 대놓고 인터뷰 연습 좀 하라고 디스하기도 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iBVgbJbdJNg|(3:53)]] 위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데뷔 첫 홈런을 친 상황을 설명해달란 말에 "투아웃에... 투스트라이크 투볼에... 주자... 1루였거든요..." 하며 진짜 경기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당황한 아나운서가 어떤 공이었는지 세심하게 묻자 그때에도 '써클 체인지업. 써클 체인지업이었는데...' 하고 말한다. 당시 이 인터뷰는 매우 화제가 되어서 결국 기사까지 났다. [[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117&aid=0002136484|'무서운 아기곰' 김재환, 인터뷰는 진짜 새내기]] 이후 진행된 MBC <야구 읽어주는 남자> '야수와 미녀' 김재환 편에서 밝히길, 주변에서 대체 뭐하는 거냐고 질타를 많이 받았다고. 2016년 인터뷰를 많이 하게 되면서 나아지긴 하는 듯 하다. * 신인시절 야구선수로서 가장 닮고 싶은 선수는 [[홍성흔]], 포수로서 가장 닮고 싶은 선수는 [[박경완]]을 꼽았다. * 왼손잡이 태생이지만 포수를 보기 위해 우투가 되었고[* 좌투는 포수를 하기 어려운 구조이다.] 좌익수 수비시에도 우투로 나선다.[* 즉, 포수 시절에는 흔치 않은 [[우투좌타]] 포수였다.] * 2014년 12월에 결혼했으며 현재는 쌍둥이의 아빠다. 아이가 태어났을 때 교육리그에 있어 병원에 있지도 못했다고 한다. 2017년 6월 경에 또 한 명의 아이가 생기게 되며 딸 셋의 아빠가 되었으며, 2022년 5월 아들이 태어나며 1남 3녀의 4남매 아빠가 되었다. * 종종 이름이 비슷하여 착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당연히 같은 팀인 [[김재호]]와는 관계없다.[* 일부 네티즌들은 이의 별명은 약재환을 착안하여 약재호라고 부르기도 했다.] 비슷한 예로 같은 팀에 있던 [[오재원]]과 [[오재일]]이 있었다. * 팬 서비스가 좋은 편이다. 사인도 잘 해준다고 하고, 공수교대 때 볼보이와 캐치볼을 하고 난 다음 관중석에 한 경기에 1~2번 정도 공을 던져주기도 한다. 포지션이 좌익수이기 때문에 3루측 원정 관중석에 던져준다. 다만 관중들이 야유를 하면 심판에게 항의를 한다. * 여성팬보다 남성팬이 월등히 많다. [[강민호]], [[나성범]] 등과 함께 게이들이 좋아하는 야구선수 랭킹에서 가장 핫하다고 한다. 물론 잘생긴 건 누구에게나 통하기 때문에 여성팬이 없다는 건 아니다. [[김현수(1988)|김현수]]의 뒤를 이어 초통령이 될 기미도 보이고 있다. * 어린이 팬들을 굉장히 아끼고 좋아한다. 출근길, 퇴근길에 주로 사인을 해주기 때문에 사인은 주차장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어느날은 차가 지나갈 때 어린아이를 자기 몸 쪽으로 끌어 안아주고 이내 자동차가 지나가서 그랬다며 조심해야지~ 하면서 사인을 마무리 지어주었던 적도 있다. * 2016 시즌, 스포츠 신문사에 의해 헬멧에 "[[쿵푸 팬더|INNER PEACE]]"라는 문구가 쓰여져 있음이 밝혀졌다. [[파일:dkwldfkdsk.png]] * 결혼과 쌍둥이 출산 이후, 유독 인터뷰에서 가족에게 메시지를 보내라는 질문을 많이 받는데 이 질문에 시키지도 않았는데 거의 매번 영상편지 식으로 보내고 있다. * [[2016년 한국시리즈]] 4차전을 마친 후, 김태형 감독, [[더스틴 니퍼트]], [[유희관]] 다음으로 선수대표로 시리즈 소감 인터뷰를 진행했다. 스스로 샴페인을 흔들어 입에 뿌려댄 걸로도 모자라 자리까지 펴고 술을 마신 김재환은 거의 모든 질문에 약간 횡설수설한 답변을 했고, 눈이 왜 빨갛냐는 질문에 결국 "술이 약한데 술을 많이 마셨다"라고 대답해 당시 인터뷰를 혼자 하드캐리했다. 직후 진행한 MBC 스포츠 플러스 [[구새봄]] 아나운서의 기분을 한마디로 표현해 달라는 질문에도 '''"뒤질 것 같아요"'''라고 말했음이(자막에는 "X질것 같아요"로 표시되었다.) 스포츠 매거진을 통해 드러났다. * 2016년 우승 후 처음으로 1군에서 시즌을 마무리한 만큼 각종 행사에 주전으로 처음 참여하고 있어 같은 상황인 [[박건우(1990)|박건우]]와 함께 거의 뺑뺑이 수준으로 행사를 돌고 있다. 그런 행사들에 참여하는 게 처음이라 그런지 항상 신기함과 좋음이 섞여있는 싱글벙글한 표정으로 참여하고 있다. 팬서비스에서는 대체로 좋은 평가를 받는 편. 특히 팬들이 응원하는 말이라도 해주면 팬들이 당황스러워할 정도로 정말 감격스러운 표정을 지으면서 감사하다고 대답한다. * 2016 스포츠서울 올해의 상 시상식에서 '올해의 성취상'을 받았다. 상은 커녕 풀타임 주전조차 처음인 해에 받은 상이라 매우 얼떨떨하다는 수상소감을 남겼다. 물론 도핑 전력이 있는 선수한테 무슨 상이냐고 까이긴 했으나 골든글러브만큼 권위있는 상은 아니라 그런지 묻힌 듯 하다. * 야구를 잘하는 것은 가족의 힘이라 말한 만큼 가족의 대한 애정이 강하다. 인터뷰에서 비법을 물을 때마다 가족의 힘이라는 말을 빼놓지 않았다.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468&aid=0000219935|골든글러브 움켜쥔 김재환 '가족의 힘으로 더 높이 뛴다']]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003&aid=0007770610|두산 김재환, 가족은 내 힘의 원천]]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018&aid=0003749469|김재환 "나를 이끈 것은 가족의 힘…부상 없이 뛰는게 목표"]] 김재환은 딸만 3명이 있는데 그중 2명이 쌍둥이이다. 2015년 쌍둥이 딸이 태어난 후 쌍둥이 딸을 생각하며 열심히 연습했는데 그것이 2016년 골든글러브를 수상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라고 말하였다. 이후 2017년 셋째 득녀, 2022년 5월 넷째를 득남하면서 1남 3녀의 아버지가 되었다. * 2016년 12월 카스포인트 시상식에서 '카스 챌린지'상을 수상했다. * 가수 [[김재환(가수)|김재환]]과 동명이인인지라 간혹가다가 대다수의 야구팬들을 움찔하게 하게 만드는 이름이기도 하다. 이를테면 김재환이 실시간 검색어에 뜨면 두산 김재환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가수 김재환이라든가. 그런데 2018년 10월 13일 [[https://youtu.be/KMVtaWBzLcs|둘이 실제로 만났다.]][* [[잠실 야구장]]에서 만난 걸 보니 두산 측에서 준비해 성사된 만남으로 보여진다. 다만 가수 김재환은 당일날 2019년 신인 [[김대한(타자)|김대한]]의 시구로 인해 시구는 안하고 대신 프리미엄석에서 직접 관람했다.] 그러다가 2019년 4월 27일 롯데전에서 두산 유니폼을 입고 진짜 시구를 하였다.[[https://youtu.be/xcndWsdSvbM|영상]] * [[파일:공주는재환.png]] 2017년 4월 30일 잠실에서 열린 [[홍성흔]]의 은퇴식 경기날 3루 외야에 애기를 안고 계신 한 아주머니를 목격하고 눈치를 살피더니 이내 성큼성큼 뛰어와 점프를 하여 안전하게 아주머니 손에 공을 쥐어주는 훈훈한 장면을 보여주었다. * [[2018년 한국시리즈]]에서 2차전 최고의 타격감을 선보이며 4번타자의 부활을 알렸으나, 3차전 경기시작에 앞서 프리배팅 타격 훈련 도중 옆구리 통증으로 외복사근 손상 부상을 입으며 나머지 경기에서 출전이 불투명해졌다. 이후 시리즈 내내 벤치에서의 김재환의 모습이 카메라에 많이 잡혔는데, 많은 두산팬들의 마음을 안타깝게 하였다.[* 다만 동시기 나온 [[김광현]]의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108/0002741447|"몸 안 좋으면 안 나가요? KS인데?"]]라는 인터뷰와 비교되어 비난을 받았다.] 2차전에서 다소 무리하게 홈으로 쇄도했을 때[* 아마 좌익수 [[정의윤]]의 어깨가 [[김동엽(1990)|김동엽]]과 맞먹을 정도로 약하기 때문에 김재환이 그걸 노린 듯. 사실 정의윤도 어깨가 약하긴 해도 김동엽과 비교될 정도는 아니지만.] 허리를 삐끗한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 [[파일:아쉬운김재환1.jpg|width=650]]|| ||[[파일:아쉬운김재환.jpg|width=650]]|| || [[2018년 한국시리즈]] 6차전에서 부상으로 인해 출전불가능 상태에서 벤치에서, 그리고 패배가 확정된 후의 모습 || * [[크루아상]]을 상당히 좋아하는지 호텔 조식으로 크루아상을 한번에 10개씩 집어먹었다가 [[황재균]]에게 걸린 적이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qJeVD3PdLk&index=15&list=PLzg382ii64jURFUVRt1eHxsmc8OmjXUj_|참고 영상]]. 제보자를 황재균, 김현수로 추측한 걸로 보아 아시안 게임으로 자카르타에 갔을 때의 일화로 보인다. * 2019년 4월 27일 잠실 롯데전에서 7회말 대타로 KBO 리그에서 데뷔 첫 타석을 맥없이 삼구삼진으로 마무리한 후배 [[송승환(야구선수)|송승환]]에게 [[조성환(야구)|조성환]] 코치와 함께 조언을 해주는 모습이 카메라에 잡혔다. 얼마 전 [[김재호]]와 [[오재원]]이 김재환과, 허경민, 정수빈, 박건우 등을 불러 이제 너희들이 팀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가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했다고 했는데, 임시주장으로서 세대교체가 진행되고 있는 베어스에서 새로운 선배들의 역할을 각각 벤치 곳곳에서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2019년 4월 하반신 마비가 찾아온 경성대 야구부 선수에게 전동 휠체어를 조용히 선물해준 선행 사실이 밝혀졌다. 김재환은 조용히 선행을 하였지만 이 소문은 금새 대학야구 전체로 퍼지게 되었다. 윤영환 경성대 야구부 감독은 “김재환 선수와 한정수(경성대 선수)가 같은 고교 동문도 아닌데 어떻게 소식을 들었는지 모르겠다. 지금 가장 필요한 것이 전동 휠체어였다. 완쾌를 바라는 응원의 마음과 함께 전동휠체어를 선물해줬다. 고맙고 또 고맙다”며 감사의 뜻을 전했다.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382&aid=0000728596|[단독] 김재환의 숨은 선행…투병 대학선수에 전동 휠체어 선물]] * 김재환이 2018 시즌 MVP 수상 때 받은 부상인 차량을 기부하고, 그 복지시설 아이들을 야구장에 초청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529&aid=0000033845|[김근한의 골든크로스] “김재환 선수 덕분에 아이들이 편안하게 차를 타네요.”]] * 김재환은 5월 25일 잠실 한화전에서 서울 성동구 소재 아동복지시설인 ‘이든아이빌’의 아이들 21명을 야구장으로 초대해 야구를 관람시켜주었다. 김재환이 이든아이빌의 아이들을 이날 야구장에 초청한 이유는 따로 있었다. 김재환은 지난해 정규시즌 MVP로 3,300만원 상당의 자동차 부상을 받았다. 이를 기부하고자 했던 김재환은 구단을 통해 기부 대상 단체를 물색했고, 두산 구단이 서울시 사회복지협회와 서울시 아동복지협회와 협의해 차량이 가장 필요하다고 선정한 시설이 바로 이든아이빌이었다. * 기존에 소유한 승합차가 폐차 직전이었던 이든아이빌에 자동차 부상에 사비를 보태 아이들에게 필요한 차량(11인승 카니발)으로 바꿔 기부했다. 뿐만 아니라 야구장 티켓과 유니폼, 그리고 모자와 도시락을 직접 구매해 21명 아이들에게 선사해주었다. 김재환은 더운 날에도 아이들이 흔쾌히 야구장에 와줘서 그저 고마울 따름이라고 말을 전했다. || [[파일:김재환보낸간식.jpg]]|| * 김재환은 차량 기부 외에도 4월엔 과일, 5월 5일 어린이날엔 과자와 간식을 따로 구매해 이든아이빌로 보냈다. 그리고 5월 26일 야구장에도 아이들을 초청해 기분 좋은 시간을 함께 보냈다고 한다. 이에 기자가 김재환의 얘기를 더 들어보고 싶어 인터뷰를 요청했으나 김재환은 “큰일이 아니다. 아이들이 그저 재밌게 야구를 봤으면 됐다”며 정중하게 인터뷰를 고사했다. * 김재환의 이런 선행에 일부 야구팬들은 잘못한 점은 분명하지만 잘한 점은 칭찬해주자며 김재환의 선행에 칭찬을 보냈다. 그러나 전형적인 이미지 세탁질이라고 보는 야구팬들도 적지 않다. || [[파일:선행재환1.jpg|width=100%]] ||[[파일:선행재환2.jpg|width=100%]]|| || '''[[두산 베어스]] 김재환이 복지시설 아이들을 야구장으로 초청한 장면''' || [[파일:약차.jpg]] * 상술한 약물 경력 때문에 [[약사]]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주로 타팀 팬들이 부르던 별명이지만 어느샌가 [[두산 베어스 갤러리]]의 유저들도 거리낌없이 사용하며, 활약이 좋을 시 킹사라고도 한다.[* 킹사라는 별명도 타팀 팬들이 쓴다. 물론 당연히 못할 때의 얘기.] 위의 사진은 흔히 "약차!"라고 불리면서 낚시글에 종종 쓰이는 사진인데,[* 제목: "OOO 개약하네ㅋㅋㅋ" 내용: "'''약차차! 약은 내가 했지'''" 같은 식.] 주로 돡갤이 털리는 상황에서 [[정신승리]]스러운 제목을 달아서 쓰이던 낚시글이었으나[* 최근에 주로 낚시글로 쓰이는 [[홍성흔]]의 '''흐니흐니''', [[손아섭]]의 '''마! 갱기에 집중 안하나?''' 등과 비슷하게 쓰였다.], 어느새부턴가 돡갤이 타 갤러리를 털러 갈 때도 쓰이고 있다. * 등번호인 32번은 학창 시절부터 계속해서 써오던 등번호였다. 프로 입단 초기에도 32번을 사용하려고 했지만 선배 [[김선우(1977)|김선우]]의 한국 복귀로 인해 등번호를 바꿨고, 김선우가 팀을 떠난 2014년에 두산에서도 32번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입단 당시 32번을 김선우에게 내준 것에 대한 분노로 스프링캠프 청백전에서 김선우 상대로 홈런을 때려내며 복수를 했다는 일화가 있다.] * 과거 포수로 뛰었기 때문인지 [[거북목]]이 꽤 심한 편이다. [[파일:약사헬맷썰.jpg]] * [[김용의]]처럼 머리가 굉장히 작은 편이다. 무엇보다 화면 상으로도 보여지는 김재환의 큰 체구와 비교하면 더더욱 실감이 확연히 드러나는데 큰 체구와 달리 의외로 황금 머리비율이다.[* 수훈선수 인터뷰 등을 하면서 옆에 있는 여자 아나운서와 같이 서있을때 화면 상에서 여자 아나운서 못지 않게 작은 머리 비율을 보여주기도 했다.] 예전에는 사이즈에 맞는 헬맷이 없어서 특제 헬맷으로 맞춤제작을 했다고. [[파일:김강률정신차려.gif]] * 상무 복무 시절 찍은 군 다큐멘터리에서 훈련소 복무 도중 [[김강률]]과 희대의 짤방을 만들었다. 콜콜 졸고 있는 김강률 옆에서 뭔가 단단히 열받은 표정을 짓고 있는 김재환의 모습이 압권. * [[이예랑]] 에이전트의 결혼식에 참석했다가 축가를 부른 [[김아랑]]의 유튜브 채널에 [[유희관]], [[이정후]]와 함께 깜짝 출연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DpIgUR-csx8|#]][* 참고로 김재환과 김아랑은 과거부터 같은 에이전시 소속이다보니 비 시즌에 지인들과 함께 [[LCK]] 직관을 가는 등 꽤 친분이 깊은 사이였다고 한다.] [[파일:잠실에 바보 난입.jpg]] * 겉으로 보기엔 조용하고 과묵할 것 같지만, 팀 내에서 압도적 개그 캐릭터이다.[* 위 사진은 [[양석환 ↔ 함덕주 트레이드|2021년 3월 25일 함덕주가 LG 트윈스로 트레이드된 날]] LG 유니폼을 입고 나타난 함덕주를 보고 빵 터진 모습이다.][* 대표적인 예로 [[이승엽]] 감독의 취임식 날 싱글벙글하며 인사하러 왔다가 [[김재환(야구선수)/2022년|시즌 성적]]으로 이승엽에게 일침을 당하고 자세를 고쳤다. [[https://www.youtube.com/watch?v=sggzVZ2AwXQ&t=54s|#]]] * 2023 시즌 스프링캠프가 열리자마자 이전에는 거의 보이지 않은 [[하이 삭스|농군패션]]을 하고 훈련을 하고 있는데[* 사실 과거 [[포수]]로 뛰던 시절에 종종 긴 양말을 착용하고 야구를 했다.] 이전에도 긴 양말을 착용했던 같은 팀 출신의 [[정수빈]], [[허경민]]이나 [[김현수(1988)|김현수]], [[양의지]]와는 다르게 굉장히 어울리지 않아서 '설마 정규 시즌 시작하고도 저 패션으로 나오지 않을까?'하는 팬들의 우려섞인 반응이 나오고 있다.[[https://www.instagram.com/p/Cob7xV3Ljtu/?igshid=YmMyMTA2M2Y=|#]][* 취재에서 밝히길 호주 현지 날씨가 워낙 더워서 걷어올렸다는 것 말고 별 다른 이유는 없다고 한다.] * 2023년 7월 7일~9일까지 3일간 열린 렛두로 데이에서는 등장곡으로 [[젝스키스]]의 [[Com' Back(노래)|Com' back]]을 사용했다. 초등학교 6학년 때 [[펌프 잇 업|펌프]]에서 자주 플레이했다고.[* [[김재호(야구선수)|김재호]]도 해당 곡을 사용하려 했으나, 김재환에게 양보하고 [[언타이틀]]의 날개를 사용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두산 베어스/선수단]] == 둘러보기 == ||<-5> [[KBO 리그|[[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10]]]] '''{{{#ffffff 2016년 5월 KBO 리그 월간 MVP}}}''' || || [[더스틴 니퍼트|니퍼트]][br]([[두산 베어스]]) || → || '''김재환[br]([[두산 베어스]])''' || → || [[최승준]][br]([[SK 와이번스]]) || ||<-5> [[KBO 리그|[[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10]]]] '''{{{#ffffff 2017년 7월 KBO 리그 월간 MVP}}}''' || || [[메릴 켈리|켈리]][br]([[SK 와이번스]]) || → || '''김재환[br]([[두산 베어스]])'''[br][[양현종]][br]([[KIA 타이거즈]]) || → || [[손아섭]][br]([[롯데 자이언츠]]) || ||<-5> [[KBO 리그|[[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10]]]] '''{{{#ffffff 2018년 6월 KBO 리그 월간 MVP}}}''' || || [[정우람]][br]([[한화 이글스]]) || → || '''김재환[br]([[두산 베어스]])''' || → || [[제이미 로맥|로맥]][br]([[SK 와이번스]]) || [각주] [[분류:김재환(야구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