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IA 타이거즈/간략(군 입대 선수))] ---- ||
'''{{{#ffffff 김재현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KIA 타이거즈|{{{#FFFFFF KIA 타이거즈}}}]] 등번호 019번}}}''' || || [[박대명]][br](2021) || {{{+1 →}}} || '''{{{#FFFFFF 김재현[br](2023)}}}'''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기아김재현.png|width=100%]]}}} || ||<-2> '''KIA 타이거즈 군 입대 선수''' || ||<-2> '''{{{+2 김재현}}}''' || ||<|2> '''출생''' ||[[2000년]] [[12월 2일]] ([age(2000-12-02)]세) || ||[[광주광역시]] || ||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대한민국]] || || '''학력''' ||광주화정초 - 건대부중[* 충장중에서 전학] - [[경기고등학교 야구부|경기고]] - [[송원대학교 야구부|송원대]] || || '''신체''' ||176cm, 80kg || || '''포지션''' ||[[내야수]], [[외야수]][* 2군에서 외야까지 연습한다고 한다.]|| || '''투타''' ||[[우투좌타]] || || '''프로입단''' ||[[KBO 리그/2023년/신인드래프트#s-3.1|2023년 10라운드]] (전체 92번, [[KIA 타이거즈|KIA]]) || || '''소속팀''' ||[[KIA 타이거즈]] (2023~) || || '''연봉''' ||3,000만원 (2023년) || || '''가족''' ||아버지 김선섭[* 광주일고와 고려대를 거쳐 [[쌍방울 레이더스]]에서 뛰었고, 은퇴 이후에는 오랜기간 광주일고의 타격코치와 감독을 역임하며 [[강정호]], [[허경민]], [[서건창]], [[최지훈(야구선수)|최지훈]] 등 많은 선수를 지도하였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KIA 타이거즈]] 소속 내야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야구인 2세로, 아버지의 고향인 광주에서 야구를 시작했지만 고등학교 진학을 위해 서울로 야구 유학을 떠났고 경기고에 진학했으나 졸업반 때는 2할 후반대의 타격 성적으로 인해 지명받지 못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송원대김재현.jpg|width=100%]]}}} || 하지만 고향인 광주에 있는 송원대로 진학하면서 1학년 때부터 4할의 타격성적과 안정적인 유격수비를 보여주며 제대로 주목받기 시작해 결국 졸업반인 4학년이던 2022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고향팀 [[KIA 타이거즈]]의 지명을 받게 되었다. === [[KIA 타이거즈]] === 2022년 10월 2일, 계약금 3천만원, 연봉 3천만원에 신인 계약을 맺었다. 2군에서 경기 뛰고있다가 수비 과정에서 햄스트링이 다치는 부상을 입게되었다. 결국 전반기가 끝나고 군보류선수로 공시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전형적인 리드오프형 쌕쌕이 내야수로, 빠른 발과 안정적인 수비력으로 주 포지션은 유격수지만, 내야 어떤 포지션에서든 제 몫을 다할 수 있다. 또한, 체구는 비록 작지만 갭파워가 있어 장타를 생산하기도 한다. == 여담 == * 지명 당시 KIA 측에서 내야수가 아닌 투수로 지명했다가 다시 내야수로 수정하는 해프닝이 있었다. * 한 학년 선배 [[손진규]]에 이어서 2년 연속 송원대에서 [[KIA 타이거즈]] 지명자를 배출해냈다. * 아버지가 [[쌍방울 레이더스]] 출신 김선섭이다. [[KBO 리그/2023년/신인드래프트|2023 KBO 신인드래프트]]에 참가한 야구인 2세 중에는 유일하게 지명받은 사례가 되었다. * 갸티비 인터뷰에 따르면 [[2009년 한국시리즈]] 7차전 [[나지완]]의 끝내기를 보고 야구를 시작했다고 하는 듯. * KBO에서 김재현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한 선수는 7명으로, 이들 중 가장 어리다. 나이 순으로 삼미-청보에서 투수로 활동한 [[김재현(1959)|59년생 김재현]], 유명한 [[김재현(1975)|75년생 캐넌히터 김재현]], LG와 한화의 불펜 투수였던 [[김재현(1979)|79년생 김재현]], SK의 전문 대주자였던 [[김재현(1987)|87년생 외야수 김재현]], 삼성, SSG 내야수였던 [[김재현(1991)|91년생 김재현]], 넥센-키움의 [[김재현(1993)|93년생 포수 김재현]], 마지막으로 이 문서의 2000년생 내야수 김재현. * 룰모델은 [[김선빈]]이라는 듯. * 전국체전으로 인해 신인 인사에서는 참여하지 못했다.[* 이날 성적은 3타수 1안타를 기록했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야구 선수 자녀]][[분류:2000년 출생]][[분류:광주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분류:송원대학교 출신]][[분류:내야수]][[분류:우투좌타]][[분류:KIA 타이거즈/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