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일융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삼성 라이온즈 개막전 선발 투수)] ---- ||
'''김일융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61-74).svg|width=60]][[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로고(1975-84).svg|width=60]][br]'''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 || '''[[1973년 일본시리즈|{{{#fd5a1e 1973}}}]]''' || '''[[1981년 일본시리즈|{{{#fd5a1e 1981}}}]]''' || ---- ||
[br] [[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1.svg|width=100]][br]'''KBO 리그''' '''{{{우승반지}}}''' || || '''[[1985년 삼성 라이온즈 통합우승|{{{#fecd00 1985}}}]]''' || ---- ||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투수#s-1|[[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 [br] '''{{{#ffffff 1985 KBO 리그 다승왕}}}''' || ---- ||<-5>
'''[[삼성 라이온즈|{{{#ffffff 삼성 라이온즈}}}]] {{{#ffffff 등번호 28번}}}''' || || [[홍승규]][br](1983) || {{{+1 →}}} || '''김일융[br](1984~1986)''' || {{{+1 →}}} || [[장태수(1964)|장태수]][br](1987~1988)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일융.jpg|width=100%]]}}} || ||<-2> '''{{{+2 니우라 히사오}}}[br]新浦 壽夫 | Hisao Niura''' || || '''한국명''' ||김일융 (金日融) || ||<|2> '''출생''' ||[[1951년]] [[5월 11일]] ([age(1951-05-11)]세) || ||[[도쿄도]] [[세타가야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1951~1978)[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1978~)[* 1978년 장남을 출생한 일을 계기로 귀화했다.] || || '''학력''' ||시즈오카상고 || || '''신체''' ||183cm, 90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1967년 [[육성선수]]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 || || '''소속팀''' ||'''[[요미우리 자이언츠]] (1968~1983)''' [br] '''[[삼성 라이온즈]] (1984~1986)''' [br]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요코하마 타이요 웨일스]] (1987~1991) [br]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1992) [br]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야쿠르트 스왈로즈]] (1992) || [목차] [clearfix] == 개요 == [[재일교포]] 출신의 [[일본프로야구]]와 [[KBO 리그|한국프로야구]]에서 활동한 前 프로야구 선수. 본명은 니우라 히사오(新浦 壽夫), 한국명은 김일융(金日融). [[도쿄도]] [[세타가야구]] 태생. == 선수 경력 == 시즈오카 상고에 입학하여 1968년 팀을 여름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코시엔]] 준우승에 올려놓았다. 184cm라는 당시 일본야구계에선 엄청난 큰 키를 가진 강속구 좌투수였기 때문에(당시 일본에선 야구선수가 175cm만 넘어도 큰 키에 속했다) 각 구단의 뜨거운 스카웃 표적이 되었다. 심지어 제2의 [[가네다 마사이치]]가 될 재목이라는 평가를 받기까지 했다. 그리고 그 해 학교를 중퇴하고 드래프트 번외로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입단하게 되는데, 당시 요미우리가 [[일본인]] 선수만 [[드래프트]]에 참가 가능하도록 하는 규정의 허점을 이용하여 대한민국 국적자인 니우라를 영입한 것이었기 때문에 엄청난 파장과 논란을 불러일으켰고, 이후 드래프트 규정은 "국적을 불문하고 일본의 학교에 소속하는 선수는 모두 드래프트를 거쳐야 한다"라고 변경되었다.[* 이 해 김일융과 함께 드래프트 번외로 요미우리에 입단한 재일교포 투수가 [[장명부]]였다. 다만 요미우리의 주축 투수로 자리잡은 김일융과 달리 장명부는 여러 차례 트레이드를 거쳐 비교적 늦게 기량이 피었다. 그러나 이후 한국 진출 전의 양자의 성적은 일본시리즈 2호 우승의 주축이면서 91승을 거둔 장명부가 80승을 거두고 요미우리 암흑기를 겪은 김일융보다 앞서있었다.] 그러나 사실 입단 당시에 어깨부상이 있었고, 17살이라는 어린 나이 때문에 입단 후 2년간 공을 일절 잡지않고 2군에서 러닝 훈련만 계속 하라는 [[카와카미 테츠하루]] 감독의 명령을 받았다. 이후 성인이 된 1971년에 1군에 승격하여 19시합 등판(10시합 선발), 4승 3패의 성적을 기록했고, 이듬해엔 5시합만 구원등판하여 승패 없는 부진한 시즌을 지냈지만, [[센트럴리그]] - [[일본시리즈]] 9연패의 최종년도인 1973년부터 본격적으로 선발 로테이션에 들어갔다. 그 후 위력 있는 속구와 커브를 주무기로, 나름 순조로운 성적을 올렸으나, 1975년엔 팀이 구단 사상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한 최하위를 했고, 니우라 역시 역시 2승 11패로 부진한 성적을 남겼다. 덤으로 이 해 10월 15일 [[고라쿠엔 구장]]에서 열린 對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의 최종전 때 선발 등판하였으나 4-0으로 패전 투수가 되어 [[허용투수|카프의 첫 우승을 허용하고 말았다]].[* 사실 니우라는 이날 5.2이닝 1실점으로 꽤 호투했으나, 타선이 단 1점도 얻어내지 못하면서 결국 패전투수가 된 거였다. 패배의 결정적인 원인도 9회 초 니우라의 후속투수 오가와 쿠니카즈가 히로시마의 외국인 용병 게일 홉킨스에게 우승을 결정짓는 스리런 홈런을 맞은 게 치명적이었는지라 니우라에겐 꽤 억울한 일것이다.] 그러나 나가시마의 양아들 소리를 들을 정도로 그의 신뢰를 받아 꾸준한 등판기회를 얻으며 컨디션을 추스린 김일융은 1976년부터 1979까지 202경기에 등판(그 중 45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4년 연속 2자리수 승리와 2자리수 세이브를 달성하는데 성공했다. 심지어 1977년, 78년엔 2년 연속으로 센트럴리그 최우수 평균자책점과 최다 세이브를 동시에 석권했다. 1980년 이후로는 '유리몸의 에이스'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전성기때 구원과 선발을 오가며 무리한 등판을 한 까닭에 몸이 망가지며 성적이 영 아니었기 때문이다. === [[삼성 라이온즈]] 시절 === 김일융을 아끼던 나가시마가 퇴단한 후 감독으로 부임한 [[후지타 모토시]]는 [[에가와 스구루]]를 편애하면서 구위가 떨어진 김일융을 [[중간계투]]로 강등시켰고, 그로 인해 김일융의 팀 내 입지는 날이 갈수록 좁아지고 있었다. 결국 1983년 시즌을 마친 후 나가시마의 권유를 받아들여 요미우리를 떠나 [[삼성 라이온즈]]로 이적하게 되었다. [[일본]] 내 다른 팀의 이적 제의도 많았지만, "[[대한민국|아버지의 나라]]에 진출해서 한국프로야구 발전에 기여해 보라"는 나가시마의 말에 설득 되었다고 한다.[* 나가시마 시게오는 장훈의 교진행 주도부터 시작해서 한국에 우호적인 인물이었다. 훗날 이승엽이 요미우리에 입단할 때도 나가시마가 감독시절에 달던 33번을 받을 정도였다. 형식상으로는 야스쿠니신사 참배건으로 집권당과 사이가 매우 험악했던 와타나베 구단주가 직접 수여하는 방식이 되었다.] 당시 [[OB 베어스]]도 요미우리 구단주인 쇼리키 토오루(요미우리 신문 창업주 쇼리키 마쓰타로의 아들)와 [[박용곤]] 구단주와의 친분을 이용하여 김일융을 영입하려 했지만, 삼성은 요미우리의 실질적인 실력자인 신문사 사장 '''고바야시 요소지'''(쇼리키 마쓰타로의 사위)에게 적극적으로 접근하여 유리한 위치를 점했고 결정적으로 [[이건희]] 구단주가 나가시마 감독과 친분이 깊은 점을 앞세워 김일융을 품에 안을 수 있었다.[* 나이는 나가시마가 6살 연상이나 동생뻘인 이건희가 먼저 세상을 떠났다. 이러한 둘의 친분을 바탕으로 삼성과 요미우리 자매구단 관계를 주도적으로 맺기도 했다.] 게다가 당시 김일융에 대한 이적료, 계약금, 연봉 합쳐서 물경 5,500만 엔(당시 환율로 약 2억 원, 엄청난 금액이다)을 지불한 데다가 그것도 모자라 덤으로 집과 자동차까지 줬다고 한다. 결국 삼성의 인맥 동원능력+자금력에 밀린 OB는 그 해 창원에 새로 지은 2군용 연습구장을 "니우라(김일융) 데리고 올 돈으로 지었다" 라고 자조하며 니우라구장이라 부르기도 했다. OB 베어스는 김일융 대신 [[최일언]]을 영입하게 된다. 한국에 와서 처음 외쳤던 말은 "괜찮아요" 였는데, 계약서에 사인도 하지 않았는데 입단 기자회견장으로 끌려갔다고. ||
[[파일:삼성 라이온즈의 에이스들인 김일융 & 김시진.jpg|width=100%]] || |||| {{{#ffffff '''김일융 & 김시진'''}}} || 1984년부터 3년 간 삼성의 실질적인 에이스로 활약하였다.[* 특히 3년 동안 KBO 좌완투수 중 유일하게 단일시즌 2완봉 이상 기록했다.] 일본으로 돌아온 후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일본에서는 힘으로 밀어붙이지 않으면 버틸 수 없었다. 그러나 한국에서 기교로 타자를 잡을 수 있는 요령을 배웠다" 라고 밝힌 것과 같이 한국에서의 3년은 자신의 투구 기술을 한단계 업그레이드하는 계기가 된 기간[* 당시 김일융의 말은 달리 해석하면 '일본에서는 전력투구가 아니면 통하지 않았지만, 한국에서는 완급조절하면서도 충분히 통했다'라고도 할 수 있다. 다만 프로리그 3년차를 맞아 이제 막 걷기 시작한 한국 프로리그와 이미 30년을 훌쩍 넘은 일본 리그의 수준 차이가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이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빠른 공보다 현란한 변화구 위주로 타자들을 농락했고 특히 커브 하나를 던져도 느린 커브, 더 느린 커브, 아주 느린 커브로 세분화시키는 완급조절과 포크볼[* 1985년 삼성의 베로비치 스프링캠프에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에이스 [[페르난도 발렌수엘라]]로부터 배웠다.]을 장착하며 최고 투수의 반열에 올랐다. 1984년 [[롯데 자이언츠]]와의 [[1984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에서 6차전까지 3승을 거뒀다. [[최동원]]도 3승을 거두고 있던 상황이었고, 두 선수는 모두 7차전 선발로 등판했다. 더 나은 투수가 없는 상황에서 양 팀 감독 모두 이 선수들의 완투를 불사하고 올린 것이니, 롯데와 삼성 둘 중 어느 팀이 우승하더라도 시리즈 4승 투수가 나왔을 상황. 비록 7차전에서 [[유두열]][[허용투수|에게 역전 3점홈런을 얻어맞은]] [[흑역사]]도 있었지만,[* 달리 말해서 만약 삼성이 우승했다면, 한국시리즈 나홀로 4승이라는 전무후무한 신화의 주인공은 최동원이 아닌 김일융이 될 수 있었다는 뜻이다.], 1985년에는 25승 6패로 압도적인 성적을 남기고 당대 최강의 원투펀치를 이룬 [[김시진]]과 공동 다승왕이 되며 삼성의 전후기 통합 우승에 크게 일조했다. 사실 팀내 라이벌 관계가 치열했던 김시진과 김일융의 파국을 방지하려고 김영덕 감독이 일부러 등판 스케줄을 조절하여 둘이 사이좋게 25승[* 한 해 25승 투수가 나오기도 어려운데 둘이 합작 50승을 챙겼다. 당연히 전무후무한 기록이고 이런 원투 펀치를 데리고 우승 못한 게 신기한 일. 최동원의 투지가 칭송받았으나 냉정하게 분석했을때는 김시진의 6차전 조기강판이 시리즈 결과를 바꾼 결정적 요인이었다. 물론 김시진 역시 무리해서 많은 이닝을 던졌고, 타구에 맞아 부상을 입은 상황에서 올라온 것이기에 이걸 김시진의 잘못이라고는 할 수 없다.]을 챙기도록 손을 썼다. 역시 관리야구의 대가. 대구 출신의 프랜차이즈 에이스인 김시진과 비교하면, 재일교포 출신인 김일융은 실질적인 에이스임에도 불구하고 용병에 대한 텃세로 손해를 본 셈. 김일융은 상대적으로 강팀과의 매치에 더 많이 투입되었고, 김시진은 약팀을 확실히 잡기 위한 경기에 많이 투입되었다는 얘기도 있다. [[1984년 한국시리즈]]에서의 투수 운용을 보아도, 롯데가 먼저 1, 3, 5, 7차전에 최동원을 선발로 내세울 것임을 공언한 상황에서 삼성 김영덕 감독은 김시진을 최동원 출전 경기에 투입하여 에이스로서의 모양새를 살리면서도 이기면 더 좋고 져도 아쉬울 것 없는 카드로 사용한 반면, 김일융은 최동원이 선발로 나오지 않은 짝수 경기에 투입되어 확실한 승리를 챙겨오기 위한 카드로 사용하려 하였다. 실제로 6차전까지 김시진이 2패, 김일융이 3승을 거두게 되면서 김영덕 감독의 전략은 주효했다. 마지막 운명의 7차전에 투입된 것도 김일융이었다. 1986년에는 눈에 띄게 체중이 줄고 설탕에 밥을 비벼 먹는 등 괴악할 정도로 단 음식에 집착하는 증세를 보여서 일본에 건너가 진찰하였는데 [[당뇨병]] 진단을 받았다.[* 젊은 시절부터 [[사이다]]에 밥을 말아 먹는게 아니냐는 소문이 돌 정도로 단 음식을 좋아했고, 이것이 당뇨병이 발병한 원인 중 하나가 된 것으로 추측된다.(김일융 본인은 단 음식의 과잉섭취가 병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이로 인해 인슐린 주사를 하루에 2번을 맞아야 하는 생활이 되어 버린 것이다. 그러나 병이 있다는 사실을 숨긴채 호텔 화장실과 같이 일체 눈에 띄지 않는 장소에서 주사도 맞고, 시즌 내내 치료차 한국과 일본을 수차례 왔다갔다 하면서 마운드에 올랐다. 병에 대해 끝끝내 공개를 꺼려 해서 한때 김일융이 성병에 걸렸다는 괴소문이 퍼지기도 했지만, 그럼에도 그해 성적은 13승 4패 ERA 2.53. 당뇨가 불편하긴 하지만 운동을 아예 못하게 만들 정도의 병은 아니었고, 그의 실력이 워낙 뛰어났던 덕분에 김일융은 무난히 좋은 성적을 냈다. 부상과 지병, 전성기 기량이 지났다고는 해도 당시 NPB에서도 최강팀인 요미우리의 에이스를 맡았던 선수였음을 고려하면 말이다.[* 심지어 김일융은 3년을 뛰고 일본에 복귀한 해에도 11승을 거둘 정도로 녹슬지 않은 기량을 과시했다.] 일단 1986년도가 극한의 투고타저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1984~5년보다 성적이 떨어진 건 맞다. 또한 한국에서 3시즌동안 2점대 평균자책점을 유지했지만, 일본에 가자마자 3~4점대로 오르고, 한국에 오기 전 1981~3년도 기록을 봐도 3년동안 242.2이닝 9승 13패 ERA 3.67을, 한국에 온 후 1984년도에 222이닝 16승 10패 ERA 2.27을 기록했다. 완급조절을 하면서 이 정도였는데, 일본 시절처럼 강속구 중심의 정면승부, 밀어붙이기 식으로 투구했다면 평균자책점 0~1점대도 가능했던 투수였다.[* 1977~1978 시즌성적을 보면 불가능한 이야기도 아니다. 다만 1976~1979년 혹사로 그 이후 성적이 감소했다는 점도 감안을 해야한다.] [[KBO 플레이오프/1986년|1986년 OB와의 플레이오프]]에선 1, 4차전의 승리 투수가 되었다. 1차전에선 9이닝 4피안타 완봉승을 챙겼고, 4차전은 9이닝 1실점 비자책 완투승을 기록하며 한국시리즈 진출의 주역이 되었다. 그의 눈부신 활약은 [[1986년 한국시리즈]]에서도 계속되었고, 삼성의 유일한 승리 투수이기도 했다. 김일융은 2차전 선발투수로 출전하여 9이닝 6피안타 1실점 완투승을 기록하며, 승리투수가 되었다. 그러나 삼성은 1차전과 3, 4, 5차전을 해태에게 연달아 패하며 3번째 준우승에 머무르게 된다. 비록 팀은 준우승하였지만, 김시진과 반대로 큰 경기에 강하다는 걸 또 다시 증명하였다.[* 반면 김시진은 플레이오프 3차전, 한국시리즈 3, 5차전 패전 투수가 되었다.] 현역시절 김일융의 별명은 [[황금박쥐]], 밤의 신사였다. 밤의 신사는 김일융이 유독 야간 경기에 강했고, 외모에 걸맞게 매너가 깔끔해서 붙은 별명. 팀 내 경쟁자였던 김시진과 사이가 좋진 않았지만, 적어도 표면적으로는 "그가 우리팀의 진정한 에이스"라고 추켜세우길 주저하지 않았다. 같은 재일동포 투수이자 요미우리 입단 동기인 [[장명부]]와는 매너와 사생활, 심지어 청결함 같은 사소한 것에 있어서까지 자주 비교되곤 했다. 그러나 한국계임에도 불구하고 [[조총련]]계를 제외한 재일교포들이 대체로 그렇듯이 한국어를 할 줄 몰랐고[* 하지만 민단계열의 요미우리 직속 선배인 장훈은 한국어가 유창하고 장명부처럼 모친과 친형의 선영을 경남 창녕군(장훈의 본적지이기도 하다.)에 모셔다 놓을 정도로 조국에 대한 자부심이 매우 강하다.][* 은퇴하고 먼 훗날 2011년 [[최동원]]의 다큐멘터리를 찍었을때, 84년 한국시리즈에서 붙은 김일융과도 인터뷰를 했지만, 그때도 한 마디의 한국어도 못한채 일본어로 모든 인터뷰를 했다. 1982년에 방한한 장명부가 1986년 경부터 유창하지는 못해도 짧은 분량 인터뷰는 한국어로 무난히 소화했던 것과 대조적이다.], 성격도 내성적이었던 탓에, 한국에서 생활하던 내내 불편하게 살았다고 한다.[* 전반적인 삼성 구단의 지원과 여건도 많이 다르고, 와이프가 한국생활에 불편함을 호소하는 등 여러가지 악조건이 있었다.] 삼성 시절 거의 일본인과 다름없는 그에게 어느 정도 차별도 있었던 듯하며, 후에 이에 대해 회고하면서 눈물을 글썽이기도 했다고.[* '반 [[쪽발이]]'라고 불리어 눈에 보이지 않은 차별로 인해 상처를 많이 받았다고 한다. 반 쪽발이라는 비하는 훗날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 참가한 재일동포 선수들에게도 따라다녔다.] 이미 고등학교 중퇴 후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입단하면서 일본에 귀화한 데다 김일융 자신도 한국 사람이라는 의식이 크게 없었다는 얘기도 있다. 이쯤 되면 말이 고국이지 외국인 용병과 다를 바 없었다. 김일융을 재일동포가 아닌 순수 외국인 신분의 선수로 친다면 역대 최강의 외국인 선발 투수 중 한 명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장명부]]는 한 시즌 30승을 찍긴 했지만 그 이후 성적이 곤두박질쳤고(그래도 장명부는 비록 일본으로 귀화했지만 자신을 통명인 '후쿠시 히로아키'가 아닌 본명인 아키오(明夫)로 불러주는 것을 좋아했고, 부친이 돌아가시면 고향인 [[충청남도|충남]] [[아산시|아산]]의 선산에 묻어드려야겠다고 생각하는 등 자신이 한국계라는 생각을 조금이나마 가지고 있었다. 서툴긴 해도 인터뷰 때마다 가급적 한국어로 말하려고 노력하기도 했고), [[다니엘 리오스]]는 약물 때문에 논외. 게다가 김일융은 3년 내내 꾸준히 좋은 성적을 냈다. 그나마 비견될수 있는 선수를 곱자면 [[앤디 밴 헤켄]]과 [[더스틴 니퍼트]] 정도. 하지만 이 둘도 2010년대 이후에 활동한 선수들이니.] 하지만 김일융이 고국 프로야구 발전을 위해 모국에서 한번 뛰어 보자는 말을 받아들여 일본 내 다른 팀의 제의를 뿌리치고 일본에서는 전혀 알아주지 않던 한국으로 이적한 것을 보면 모국에 대한 애착이 없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반대로 한국 프로야구 1군 선수가 1군에서 충분히 오퍼가 있는데 아무 이유없이 일본 독립리그에서 3년간이나 플레이를 하겠는가?[* 다만 김일융의 경우 삼성에서 어느정도 연봉을 맞춰주기는 해서 단순 비교는 어렵다.] 이는 애정이 없으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김일융이 1986년 시즌을 마치고 다시 일본으로 복귀한 것에는 당뇨병 치료 목적도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1986년 당뇨 판정을 받고 나서 김일융은 시즌 중 일본을 여러 차례 오가면서 당뇨 치료를 받았었다. [[김시진]]과는 사이가 매우 껄끄러웠지만[* 1984시즌 개막전 삼미와의 경기에서 구원 등판했다가 금광옥에게 3점 홈런을 맞으며 김시진의 승리를 날려버렸고 김일융 자신은 연장전에서 삼성이 결승점을 뽑으면서 승리투수가 된 게 결정적이었다. 당시 자기 승리를 날려놓은 장면을 본 김시진의 코멘트 "니기미..."], [[장효조]]와는 절친이었다. 둘이 매우 친했는지 3년간 한솥밥 먹으며 전지훈련 캠프 때도 같은 방을 자주 썼고, 출퇴근도 항상 같이 했었다고 한다. 5살[* 프로필과 달리 [[장효조]]의 실제 출생 연도는 1954년이라는 말이 있다.]이나 차이 나는 선후배 사이였지만 친구, 동료로서 진솔한 대화도 많이 나눌 정도였다. 장효조가 롯데로 트레이드된 당시에도 김일융이 국제전화로 많은 조언을 해주었고, 일본 전지훈련 기간에도 기분 전환을 위해서 매일같이 통화했다고 한다. 장효조에게 야구인의 마음가짐, 그리고 진정한 프로 선수가 지녀야 할 자세 등을 집중적으로 전수하면서 장효조가 트레이드 사건에 대한 아픔을 훌훌 털고 다시 일어날 수 있도록 도와준 1등 공신이 바로 김일융이었다. 또한 김일융도 한국에서 힘겨운 생활했을때 터놓고 얘기할 수 있었던 동료 역시 장효조가 유일했다. [[https://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109&aid=0002189585|2011년 3월 11일에 터진 대지진 때 장효조가 전화한 적도 있다.]][* 하필이면 그 해가 [[장효조]]의 마지막이 되었다.] 완투나 완봉을 하는 날에는 컨디션 조절을 위해 술 한 잔만 마시고 바로 누워서 잠을 청했다. 그 당시 한국 야구계에서는 완투나 완봉을 하면 밤새 술을 마시며 자축하는 일이 많았는데, 그런 팀 동료들에게 애써 술을 사양하며 잠자리에 든 김일융은 꽤나 낯설게 여겨졌다. 삼성의 이런 문화는 나중에 술담배를 지독하게 못하는 양준혁과 이승엽이 고참급으로 올라가면서 자취를 감췄다. 한국에서의 생활은 즐겁지는 않았지만, 2011년 재일교포 선수를 그린 다큐에서는 되돌아보면 즐거웠다고 평했다. === [[일본프로야구]] 2기 시절 === 김일융은 [[1987년]] 일본 프로야구로 복귀하게 된다. 이 때 나이가 36세였음에도 [[일본]]에선 김일융에 대한 추파가 굉장히 뜨거웠고, 그 중 가장 적극적이었던 [[요코하마 타이요 훼일즈]]가 현금 트레이드로 김일융을 영입하는 데 성공.[* 1980년대에 30대 중반은 지금의 40대 중반 취급 이였다.] [[삼성 라이온즈|삼성]]은 당시 받은 이적료 1천만엔(당시 [[환율]]로 3,200만원)을 경산구장 건축비용에 보탰다. 그 해 김일융은 다이요에서 11승을 거두며 컴백상[*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메이저리그]]의 [[컴백상]]을 모방해 부상, 부진 및 질병을 극복하고 재기에 성공한 선수에게 주는 특별상. 1974년부터 시상 중인데, MLB와 달리 두드러진 성적을 낸 재기 선수가 없을 경우 수상자가 없고 그 사례가 꽤 많다.]을 수상한다. [[1989년]]에는 13피안타 완봉승의 괴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그러나 이런 활약에도 불구하고 만년 꼴찌 타이요는 구제할 수 없었다. 하지만 지병이었던 [[당뇨병]]이 그를 계속 괴롭혔고, [[1992년]]엔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로 이적했다가 7시합만 등판한 뒤 시즌 도중 다시 [[야쿠르트 스왈로즈]]로 이적했지만 야쿠르트에서도 14시합밖에 등판하지 못한 채 결국 21시합 등판, 1승 4패 평균자책점 7.08의 부진한 성적에 그치며 이해 시즌 종료 후 은퇴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9Mf4gB-PwA)] }}}|| == 은퇴 후 == 이 후 야구 해설위원으로 활동하게 되었는데 1993~1998년, 6년 간 일본TVㆍ후쿠오카 방송ㆍ라디오 일본 야구 해설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94년엔 '나와 야구와 당뇨병'이란 자서전을 출간하였고, 일본프로야구 평론가로도 활동해 나갔다. 그러나 당뇨병이 점점 심해져서 1998년을 끝으로 야구 해설위원과 평론가 모두 그만두었다. 어느 정도 혈당이 정상화가 되었는지 삼성과 [[지바 롯데]]와의 2005 [[아시아시리즈]] 예선전 경기때 오랜만에 모습을 보였다. [[선동열]]과 함께 한국쪽 시구-시타 호흡을 맞추며 야구계에 다시 복귀하였다.[[http://m.sport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109&aid=0000020477|삼성-日롯데전, 김일융 시구-선동열 시타]] 2005~2012년, 8년 간 도호쿠 방송 야구 해설위원으로 다시 활동하였다. 2007년 [[LG 트윈스]]의 사이판, 오키나와 전지훈련때 투수 인스트럭터를 맡았었고,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2009 WBC]]때는 [[도쿄 돔]]에서 [[봉중근]]과 같이 있는 모습도 보였다. [[https://m.sport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109&aid=0000061325|LG 트윈스 인스트럭터 김일융]] [[https://m.sport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109&aid=0002009863|봉중근과 김일융]] 현역으로 은퇴한 선수들을 중심으로 한 일본프로야구 마스터스 리그인 ‘삿포로 앰비셔스’(札幌アンビシャス)에서 활동했었고, 현재는 한국 동아일보의 스포츠동아 일본 주재 통신원으로 활동중이다. 지금도 일본내에선 tv프로그램에 자주 출연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3년 기준으로 김일융이 당뇨병에 걸린지 38년이나 되는 해이다. 건강관리를 철저히 하였기에 가능한 일이라 볼 수 있다.][* 사실 당뇨병은 합병증이 무서운 거지 혈당수치만 안정적이면 크게 문제될 건 없다. 매일 식이조절과 운동을 꾸준히 병행하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 현재는 10-20대에 [[1형 당뇨병]]이 발병한 환자도 기대수명이 60-65세일 정도로 의료도 발전했다.(참고로 2형의 경우 1형보다 5-10년 정도 기대수명을 길게 잡는다. 김일융은 30대에 2형 당뇨가 발병한 것이니 기대수명은 정상인에 비해 크게 짧지도 않다.)] 2012년에는 [[한신 고시엔 구장]]에서 열린 한신x교진 OB전에 투수로 등판했다. 2011년 최동원의 사망 후 만들어진 다큐멘터리에 출연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TE3oymdnok|#]] - 6분 54초부터 2015년 11월에는 자신의 모교인 시즈오카 상고 야구부 인스트럭터로 겸업하게 되었다. ||
[[파일:9595CD9A-1182-4366-B257-FBF795EC18EC.jpg|width=100%]] || |||| {{{#ffffff '''더 레전드 2화 인터뷰 모습'''}}} || 2016년 4월 25일에는 KBS N SPORTS에서 방영된 다큐멘터리 ‘더 레전드’ 2편(장명부 편)에서도 출연하였다. == 미디어에서의 김일융 == * [[사무라이 자이언츠]] - 주인공 방바 방의 2군 선배로 등장하고, 애니메이션 판에서 방바가 [[한큐 브레이브스|한큐]]와의 [[시범경기]]에서 감독대행(을 맡을 당시 선발투수로 낙점되었으나, 4회까지 퍼펙트로 막다가 5회에 퍼펙트가 깨진 것을 시작으로 개털린다. * [[거인의 별#s-4|신 거인의 별]] - 선발 등판할 때마다 잘 던지다가 한번 삐끗하면 개털리는 패턴을 반복하며 나가시마 거인의 꼴찌 추락의 주범 중 하나로 나온다. 은퇴했던 하나가타의 평에 따르면 "소질은 있어보이나 정신력이 약해 실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 [[불암콩콩코믹스]] 레전드 편에서 가끔 조역으로 등장하는데, 예를 들면 [[최동원]] 편이 있다. 별명 때문에 애니메이션 [[황금박쥐(애니메이션)|황금박쥐]]의 황금박쥐로 패러디된다. 마구마구 레전드 코믹스에서도 [[https://nohitnorun.com/265?category=278085|김시진편]], [[https://nohitnorun.com/295?category=278085|최동원편]]에서도 등장하였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 일본 시절 === ||<-11>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ERA || 피안타 || 사사구 || 탈삼진 || || 1971||<|13>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 || 19 || 58⅓ || 4 || 3 || - || 2.01 || 43 || 28 || 43 || || 1972|| 5 || 3⅔ || 0 || 0 || - || 17.18 || 7 || 3 || 1 || || 1973|| 21 || 83⅔ || 3 || 3 || - || 3.44 || 61 || 53 || 78 || || 1974|| 26 || 119⅔ || 7 || 6 || 1 || 2.63 || 96 || 54 || 102 || || 1975|| 37 || 108 || 2 || 11 || 0 || 3.33 || 93 || 47 || 82 || || 1976|| 50 || 197⅓ || 11 || 11 || 5 || 3.10 || 156 || 83 || 162 || || 1977|| 44 || 136 || 11 || 3 || {{{#ff0000,#ff0000 '''9'''}}} [br] (1위) || {{{#ff0000,#ff0000 '''2.32'''}}} [br] (1위) || 104 || 61 || 96 || || 1978|| {{{#ff0000,#ff0000 '''63'''}}} [br] (1위) || 189 || 15 || 7 || {{{#ff0000,#ff0000 '''15'''}}} [br] (1위) || {{{#ff0000,#ff0000 '''2.81'''}}} [br] (1위) || 160 || 80 || 152 || || 1979|| 45 || 236⅓ || 15 || 11 || 5 || 3.43 || 211 || 74 || {{{#ff0000,#ff0000 '''223'''}}} [br] (1위) || || 1980|| 18 || 69 || 3 || 4 || 1 || 3.78 || 64 || 26 || 58 || || 1981|| 14 || 58⅓ || 0 || 5 || 0 || 3.39 || 55 || 20 || 44 || || 1982|| 27 || 117 || 6 || 6 || 0 || 4.08 || 119 || 41 || 89 || || 1983|| 31 || 67⅓ || 3 || 2 || 0 || 3.21 || 71 || 28 || 52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탈삼진}}} || || 1987||<|5> [[요코하마 디엔에이 베이스타즈|요코하마 타이요]] || 25 || 152 || 11 || 12 || 0 || 4.26 || 151 || 49 || 107 || || 1988|| 29 || 160⅓ || 10 || 11 || 0 || 4.32 || 147 || 69 || 110 || || 1989|| 28 || 175 || 8 || '''13''' [br] (1위) || 0 || 3.39 || 176 || 80 || 130 || || 1990|| 42 || 140 || 6 || 10 || 2 || 3.79 || 121 || 75 || 107 || || 1991|| 47 || 53⅓ || 0 || 1 || 1 || 3.21 || 49 || 22 || 42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ERA || 피안타 || 사사구 || 탈삼진 || || 199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후쿠오카 다이에]] || 7 || 9 || 0 || 1 || 0 || 6.00 || 14 || 5 || 4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탈삼진}}} || || 1992||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야쿠르트]] || 14 || 25⅓ || 1 || 3 || 0 || 7.46 || 33 || 10 || 24 || ||<-2> '''[[일본프로야구|NPB]] 통산'''(20시즌) || 592 || 2158⅔ || 116 || 123 || 39 || 3.45 || 1931 || 908 || 1706 || === 한국 시절 === ||<-16>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1984 ||<|3> [[삼성 라이온즈|삼성]] || 38 || '''222''' [br] (4위) || '''16''' [br] (3위) || 10 || 3 || 0.615 || '''2.27''' [br] (3위) || '''191''' [br] (4위) || 7 || 84 || '''155''' [br] (2위) || 68 || 56 || 1.21 || || 1985 || 34 || '''226''' [br] (3위) || {{{#ff0000,#ff0000 '''25'''}}} [br] (1위)[* [[김시진]]과 함께 공동 1위. KBO 최초의 좌완투수 20승 기록이기도 하다. 토종 좌완 20승은 1995년 [[이상훈(좌완투수)|야생마 이상훈]]과 2017년 [[양현종]]을 제외하고는 아무도 세우지 못한 대기록이다. 외국인 좌완투수 중에서는 [[앤디 밴 헤켄]]이 2014년에 기록하였다.] || 6 || 0 || '''0.806''' [br] (3위) || 2.79 || '''200''' [br] (3위) || 13 || 82 || '''107''' [br] (4위) || '''87''' [br] (3위) || '''70''' [br] (4위) || 1.23 || || 1986 || 19 || 138⅔ || 13 || 4 || 0 || '''0.765''' [br] (3위) || 2.53 || 120 || 8 || 47 || 60 || 47 || 39 || 1.19 || ||<-2> '''[[KBO 리그|KBO]] 통산''' [br] (3시즌) || 91 || 586⅔ || 54 || 20 || 3 || 0.730 || 2.53 || 511 || 28 || 213 || 322 || 202 || 165 || 1.21 || ||<-3>
{{{#ffffff 완투, 완봉기록}}} || || 연도 || 완투 || 완봉 || || 1984년 || '''14완투''' [br] (공동 2위) || '''{{{#red,#ff0000 3완봉}}}''' [br] (공동 1위) || || 1985년 || '''11완투''' [br] (공동 2위) || '''3완봉''' [br] (공동 2위) || || 1986년 || 7완투 || 2완봉 || || '''[[KBO 리그|KBO]] 통산''' || 32완투 || 8완봉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NPB)]]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1951년 출생]][[분류:1968년 데뷔]][[분류:1992년 은퇴]][[분류:세타가야구 출신 인물]][[분류:일본의 야구 선수]][[분류:한국계 일본인]][[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분류:삼성 라이온즈/은퇴, 이적]][[분류:일본으로 귀화한 인물]][[분류:KBO 다승왕]][[분류:요미우리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은퇴, 이적]][[분류: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은퇴, 이적]][[분류: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