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중구역]][[분류:김일성]][[분류:광장]]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RuddyFullInexpensiveBoats, 합의사항1=이 문서 내 '주석단' 표현을 '대주석단'으로 한다)] [include(틀:북한의 체제선전시설)] ||<-2> {{{-2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평양시|{{{#white 평양시}}}]]의 [[광장|{{{#white 광장}}}]]'''}}}[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북한|[[파일:북한 국장_White.svg|height=60]]]]||'''{{{+1 김일성광장[br]金日成廣場}}}[br]{{{-2 Kim Il Sung Square}}}'''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일성광장 전경.jpg|width=100%]]}}} || ||<-2> '''{{{-1 ▲ 김일성광장의 전경}}}[br]{{{-2 (대동강구역에서 본 모습)}}}'''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일성광장 전경2.jpg|width=100%]]}}} || ||<-2> '''{{{-1 ▲ 김일성광장의 전경}}}[br]{{{-2 (인민대학습당에서 본 모습)}}}''' || || '''준공''' ||[[1954년]] [[8월]] || || '''기능''' ||[[광장]][br]{{{-1 ([[열병식/북한|열병식]] 등 정치행사용)}}} || || '''규모''' ||{{{-2 크기}}} 75,000㎡[* 세계에서 37번째로 큰 광장.] || || '''수용인원''' ||10만 명 || ||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김일성 광장, 타입=satellite, 너비=100%, 높이=250)]}}} ----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40001; color: white" '''김일성광장'''}}} {{{-2 ([[평양시]] [[중구역]] [[중성동(평양)|중성동]], 경림동)}}}[* 광장을 가로지르는 큰 도로가 승리거리고, 승리거리를 경계로 강변이 경림동, 반대편이 중성동이다.][* 한편 1946년 미군이 발행한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d/d5/Pyongyangarmymapservice1946.jpg|지도]]에 의하면 광복 당시 행정구역상으로는 평양시 아청리(衙廳里)이다.(범례 칸에 한국식, 일본식 발음이 병기되어 있는데, 한국어 발음은 '이위편리'라고 엉뚱하게 적혀 있지만 일본 발음으로는 아청리의 일본식 발음인 "가쵸-리"로 적혀 있음을 알 수 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의 [[광장]]. [[평양시]] [[중구역]] [[중성동(평양)|중성동]], 경림동에 있다. [[1954년]] [[김일성]]이 구상한 '평양시복구건설총계획도'에 의거하여 건설됐다. 주요 시설물로 [[김일성광장 대주석단]]이 있다. == 특징 == [[러시아]] [[모스크바]]의 [[붉은 광장]], [[중국]] [[베이징]]의 [[천안문 광장]]처럼 북한을 상징하는 [[광장]]으로, 면적은 75,000㎡[* 10만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다. 참고로 [[서울]]의 구 [[여의도광장]]이 약 237,600㎡였고,[[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19921212018004|#]] [[광화문광장]]이 약 2만㎡.]이며 바닥은 [[화강암]]으로 되어있다. [[6.25 전쟁]]의 전후 복구 과정에서 [[1954년]] [[8월]] 완공되었으며, [[건설]]에 연인원 100만명이 동원되었다고 한다. 한 때 [[일본어 위키백과]]에 [[세계]]에서 16번째로 큰 광장이라고 되어 있었으나, [[영어 위키피디아]]의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city_squares_by_size|세계의 광장 목록]]을 보면 54위에 불과하다. 명칭은 당연히 북한의 초대 [[독재자]]인 [[김일성]]에서 따온 것이다. 처음 이름은 [[http://www.cybernk.net/infoText/InfoAdminstDetail.aspx?ac=A0117019&cp=0&mc=AD04&order=0&tid=AD0400048231&direct=1|중앙광장]]이었으나 언젠가부터 김일성 우상화를 위해 김일성광장으로 바뀌었다. 통일 이후에는 이름을 당연히 바꿔야 될 1순위. 광장 바로 뒤편으로는 [[대동강]]이 흐르고 있으며, [[주체사상탑]]이 [[강]] 맞은 편에 있다. 그 외에 [[김일성광장 대주석단|대주석단]], [[인민대학습당]],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종합청사|내각종합청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외무성]] 청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외경제성|대외경제성]] 청사, [[조선중앙력사박물관]], [[조선미술박물관]], 평양제1백화점 등 중요 시설들이 광장을 둘러싸고 있다. 여러모로 [[소련]]의 [[붉은 광장]]을 본따서 만든 듯하다. [[승리거리]], 대학습당거리 등과 직접 연결되어 있고, 보조광장도 있다고 한다. 원래는 [[카를 마르크스]]와 [[블라디미르 레닌]]의 [[초상화]]가 걸려 있었으나, [[2012년]]경 철거되었다.[* 이는 북한이 자국 헌법에서 [[공산주의]]를 삭제했던 시기와도 맞물린다.] 자칭 국가의 중앙광장이다 보니 각종 군중대회, 정치적 행사, 경축회, 추모행사 따위를 하는데, 북한이 자주 하는 [[열병식]]도 이 광장에서 한다. 때문에 [[남한]]과 세계 각국의 [[TV]] [[뉴스]]에서도 북한 관련 보도를 할 때마다 자료화면으로 이 장소가 자주 등장하곤 한다. 큰 [[인공기]]가 보이는 건물 옆으로 탱크가 지나가고, [[북한군]]이 열병식을 하고 [[김정은]] 등 [[조선로동당]] 및 국방성 고위간부들은 맞은편 건물에서 박수치는 그런 모습. 이 광장의 다양한 활용 모습을 보고 싶으면 [[열병식/북한]]을 참고하는 것도 좋다. 또한 이 광장은 [[1996년]] 북한 도로망의 출발점인 [[도로원표]]의 역할도 하고 있다. 정확히는 [[김일성광장 대주석단|대주석단]] 바로 아래 쪽이며, 이곳에 '평양 나라길 시작점' 비석이 세워져 있다.([[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img_pg.aspx?CNTN_CD=IA000120351|#1]][[http://nk.chosun.com/bbs/list.html?table=bbs_28&idxno=3241&page=3&total=209&sc_area=&sc_word=|#2]]) [[1990년대]] 초 이전에는 평양 중구역 중성동 승리거리의 해방산려관 앞마당, 그 후 [[1996년]]까지는 평양 [[중구역]] [[평양성]] 중성 출입문 중 하나인 함구문이 도로원표였으나, [[김정일]]의 지시로 이곳으로 옮겼다고 한다[* 북한은 "나라길 시작점을 혁명활동 역사와 결부시켜 올바로 정한다."는 것이 옮긴 이유임을 밝혔다.]. [[2021년]] 북한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방역체제임에도 불구하고 정권수립 73주년 열병식을 강행한 가운데 광장 우측의 선전문구가 ‘백전백승의기치’에서[* 이전에는 '[[선군정치|선군]]혁명총진군' 이었다.] ‘새로운 [[승리]]를 향하여’ 로 바뀐것이 영상상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