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대한민국 군인, rd1=김인건)] || '''{{{#000000,#e5e5e5 김인건의 감독 경력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 감독)] ---- [include(틀: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역대 감독)] ----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인건(1944).jpg|width=100%]]}}} || || '''이름''' || 김인건(金仁建) || ||<|2> '''출생''' || [[1944년]] [[3월 11일]] ([age(1944-03-11)]세) || || [[평안남도]] [[평양시]] || ||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 [[경복고등학교]] {{{-2 ([[졸업]][* 1959년 입학, 1962년 졸업])}}}[br][[연세대학교/학부/상경대학|연세대학교 상경대학]] {{{-2 ([[경영학]] 62[* [[https://m.blog.naver.com/sis_boom_bah/10099371519|#]]] / [[학사]][* 1962년 입학, 1966년 졸업])}}} || || '''포지션''' || 가드 || || '''선수''' || [[한국은행]] (1969~1975) || || '''지도자''' || [[한국은행]] 농구단 코치 (1975~1977) [br] [[삼성전자]] 농구단 코치 (1977~1982) [br] [[삼성전자]] 농구단 감독 (1982~1996) [br] [[안양 KGC인삼공사|안양 SBS 스타즈]] 감독 (1999~2002) [br] FIBA 세계남자농구선수권대회 국가대표팀 감독 (1986) [br] [[1986 서울 아시안 게임|서울 아시안 게임]] 농구 국가대표팀 코치 (1986) [br] [[1990 베이징 아시안 게임|베이징 아시안 게임]] 농구 국가대표팀 감독 (1990) [br] FIBA 세계남자농구선수권대회 국가대표팀 감독 (1994) || || '''프런트''' || 청주 진로 맥카스 단장 (1996~1997) [br] [[서울 SK 나이츠|청주 SK 나이츠]] 부단장 (1997~1998) [br] [[안양 KGC인삼공사|안양 SBS 스타즈]] 기술고문 (2002~2004) || || '''행정''' || [[대한체육회]] 이사 (2002) [br] [[태릉선수촌]] 촌장 (2002~2005) [br] 대한농구연맹 부회장 (2005) [br] [[태릉선수촌]] 촌장 (2008~201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농구]] 선수, 농구 [[감독]]. 현 대한농구협회 수석부회장 겸 한국대학농구연맹 명예회장. == 선수시절 == 경복고-연세대 출신의 가드였다. [[신동파]]와 함께 1966년 방콕 아시안 게임에 참가해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 지도자 시절 == 한국은행 코치를 거쳐 창단팀인 삼성전자 코치와 감독을 거치게 된다. === 삼성전자 감독 시절 === [[신동찬]], [[안준호]], [[박인규(농구)|박인규]], [[임정명]], [[김진(농구인)|김진]], [[김현준(농구)|김현준]]과 함께 1984/85 및 1987/88 농구대잔치에서 각각 두 번 트로피를 들었다. 특히 1987 코리안리그 우승 시절 [[김현준(농구)|김현준]]과의 우승기념 사진은 팬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 하지만, [[허재]]가 등장한 기아자동차 앞에 무너지게 된다. 충격과 공포의 중앙대학교 출신이 있는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기아자동차 농구단]]의 창단과 함께 전성기에서 내려오게 된다. 당초 기아자동차는 [[방열(농구)|방열]] 감독을 시작으로 [[유재학]]과 [[정덕화]]의 연세대 색이 있었지만 중앙대 출신으로 기존의 [[강정수]]를 시작으로 [[한기범]]과 [[김유택]]에 이어 [[허재]]와 ~~[[강동희]]~~의 입단과 중앙대 출신인 [[최인선]] 감독의 부임과 함께 예전 현대전자와 삼성전자를 뛰어넘는 역대급 팀으로 바뀌게 된다. [[1994-95 농구대잔치]]를 앞두고 삼성전자는 기존의 [[서동철]]과 [[강양택]]이 있지만 전대회에서 연세대를 우승으로 이끈 주역인 New 에이스 [[문경은]]과 중앙대 4강 신화의 주역 터보가드 [[김승기(농구)|김승기]]를 보강했고, 거기다 상무에서 제대한 센터 [[이창수]]까지 가세하면서 전대회 우승팀 연세대, 절치부심한 기아자동차와 함께 우승후보로 꼽혔고, 김진과 [[김현준(농구)|김현준]]은 선수생활의 마지막을 농구대잔치 우승으로 마무리할 수 있을거란 기대를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농구대잔치를 한달 앞두고 열린 실업농구 코리안리그 2차대회 결승전 삼성전자:기아자동차 경기에서 [[한기범]]에게 폭력을 휘두른 김진[* 아래 "비판" 항목 참조.]은 3개월 출장정지를 받게되고 이후 징계가 경감되어 [[1994-95 농구대잔치]] 중반부터 뒤늦게 참여하게 된다. 삼성전자가 악전고투끝에 8강전에서 연세대를, 4강에서 SBS를 꺾고 결승에 오르면서 김진 또한 커리어 마지막을 우승으로 장식하게 되나 싶었지만, 결승전에서 기아 [[허재]]의 [[마이클 조던]]급 활약을 막지못하면서 1승 3패로 또다시 패배했고 1996년을 끝으로 감독직에서 물러나게 된다. === 안양 SBS 스타즈 감독 시절 === 기아 엔터프라이즈의 코치로 실업 시절 제자였던 [[박인규(농구)|박인규]] 코치와 함께 SBS 스타즈의 3대 감독으로 임명하게 된다. 3년간 재임을 하면서 3년 연속 플레이오프 진출을 이끌었으나 KBL 챔피언에 오르지는 못했다. 후임으로 [[정덕화]] 감독이 부임하면서 기술고문직 맡게 된다. 사유는 태릉선수촌장으로 부임하면서 갑작스런 사임이었다. == 상훈 == * 1970 국민훈장 석류장 * 1986 체육훈장 기린장 * 2011 제16회 [[코카콜라]] 체육대상 공로상 [[분류:1944년 출생]][[분류:평양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농구 감독]][[분류: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분류:실향민]][[분류:경복고등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출신]][[분류:국민훈장 석류장]][[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농구 참가 선수]][[분류:1964 도쿄 올림픽 농구 참가 선수]][[분류: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 농구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1962 자카르타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1966 방콕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1970 방콕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