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23년 설립]][[분류:2023년 해체]][[분류:더불어민주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관련 문서)] ---- ||<-2><#004EA2><:>[[더불어민주당|[[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width=120]]]][br]'''{{{#fff 김은경혁신위원회}}}'''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은경혁신위원회 대문2.jpg|width=100%]]}}} || ||<-2><#fff,#1F2023><:> '''{{{#004ea2,#008CCD 국민 신뢰 회복}}}''' || || '''정식명칭''' ||김은경혁신위원회 {{{-2 (공식)}}}[br]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혁신위원회 {{{-2 (이른바)}}}[br]DPK Innovation Committee {{{-2 (영문)}}} || || '''출범''' ||[[2023년]] [[6월 20일]] || || '''종료''' ||[[2023년]] [[8월 10일]] || || '''혁신위원장''' ||'''[[김은경(교수)|김은경]]''' ,,/ [[한국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10> '''혁신위원''' ||김남희 ,,/ 변호사, 전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임상교수,,[* [[민변]], [[참여연대]] 출신] || ||윤형중 ,,/ LAB2050 대표, 전 한겨레신문 기자,,[* [[한겨레]] [[기자]], 이재명 후보 제주선거대책위원회 공동본부장 출신][* 대변인 겸임] || ||서복경 ,,/ 더가능연구소 대표, 전 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 책임연구원,, || ||이진국 ,,/ 아주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전 형사법학회장,, || ||차지호 ,,/ 카이스트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 전 맨체스터대학교 인도주의 및 평화학 교수,,[* 이재명 후보를 대리하여 대선 후보 등록한 인물.] || ||[[이해식]] ,,/ 초선 (21대),,[* 전 [[강동구청장]], [[김혜경|이재명 후보 배우자 실장]]을 지냈다.] || ||[[이선호(정치인)|이선호]] ,,/ 더불어민주당 울산광역시당 위원장,,[* 전 울주군수] || ||박성진 ,,/ 광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 ||이진 ,,/ 건양대학교 인문융합학부 교수,, || ||[[황희(정치인)|황희]] ,,/ 재선 (20-21대),, || ||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링크''' ||[[https://www.reminjo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은경혁신위원회.jpg|width=100%]]}}} || ---- '''김은경혁신위원회'''(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혁신위원회)는 [[2023년]] [[6월 20일]] 출범한 [[더불어민주당]]의 당내 기구였다. == 지위 및 기능 == >'''지금 혁신하는 가장 큰 이유는 [[22대 총선|내년 총선]] [[승리]]''' >---- > - [[정성호]] 의원[*출처 [[https://m.hani.co.kr/arti/politics/assembly/1095947.html#ace04ou]]] >'''[[내로남불]]·[[팬덤정치]]·[[방탄]][[정당]] 등 민주당에 씌워진 굴레를 벗기는 게 쇄신의 핵심''' >---- > - [[윤영찬]] 의원[*출처 [[https://m.hani.co.kr/arti/politics/assembly/1095947.html#ace04ou]]] >[[더불어민주당]]을 반드시 [[혁신]]하겠습니다. >[[대한민국/정치|대한민국 정치]]를 바로 세우려면 민주당부터 [[개혁]]해야 합니다. 기득권 정당의 모습을 버리고, [[미래]]를 준비하는 민주당이 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김은경혁신위원회는 당의 머리부터 발끝까지 모두 바꾸겠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더불어민주당 대전환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어느 때보다 당 혁신에 대한 국민의 요구가 많은 시점입니다. 그런 만큼 각계각층의 다양한 목소리를 수렴하고, [[국민]]과 [[당원]]의 요구가 잘 반영된 혁신안을 마련하는데 힘쓰겠습니다. > >국민의 [[도덕|도덕적]] 눈높이에 맞는 더불어민주당을 만들겠습니다. >윤리 회복은 국민과 당원에게 신뢰받는 정당이 되는 밑거름입니다. 김은경혁신위원회는 [[공정]]하고 [[투명]]한 제도가 정착되도록 하겠습니다. 윤리 회복을 넘어 정치 회복까지 적극적으로 제안하겠습니다. 정치 회복의 시작은 [[포용]]과 [[화합]]의 정치문화 정착일 것입니다. 더 나아가 당원의 민의가 충실히 반영되는 정당 문화를 만들어나가겠습니다. > >김은경혁신위원회는 국민과 당원 여러분의 민주당 혁신에 대한 다양한 목소리를 수렴하겠습니다. >국민이 공감하고 당원이 호응하는 혁신안 마련이 최우선과제입니다. 이곳은 김은경혁신위원회와 여러분이 소통할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 여러분의 많은 [[참여]]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 김은경 위원장[[https://www.reminjoo.kr/|출처]] == 활동 이력 == * [[2023년]] [[6월 22일]] 2차 회의에서 국회의원 전원의 불체포특권을 포기하는 취지의 서약서를 제출을 요구하면서 추후 국회의원 체포동의안 가결을 당론으로 채택할 것을 요구했다.[[https://www.dailian.co.kr/news/view/1246541/?sc=Daum|출처]] === 조기 종료 === * 거듭된 논란 끝에 9월 초중순 정도로 정해진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8월 10일에 조기 종료하였다.[[https://www.segye.com/newsView/20230810513463?OutUrl=naver|#]] 유인태 전 사무총장은 당의 위기 상황에서는 대표 체제를 해체하고 새로 시작하는 과도기구인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가야 하는데, 당 수뇌부를 그대로 두고 진행하는 혁신위원회는 실패할 것이라는 의견을 내비치기도 했다.[[https://www.segye.com/newsView/20230803514846?OutUrl=naver|유인태의 의견]]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383174?sid=100|서울신문]] * 일부 더불어민주당 소속의원들은 김은경혁신위원회가 조기종료라는 굴욕으로 사실상 실패했다는 의견을 보이기도 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당 내 비명계들이 반발 하기도 했고, 한겨레는 김은경 혁신위가 윤석열의 복덩이라는 사설을 내놓기도 했다.[[https://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1103540.html|한겨레]] == 논란 == * [[2023년]] [[6월 19일]], 혁신위 출범 직전 김은경 혁신 위원장은 “돈 봉투 살포 의혹이 검찰에 의해 만들어졌을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페이스북]]에 게재하였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의원은 “돈 봉투 건을 검찰의 부풀리기로만 단정하기에는 국민적 실망감이 이만저만이 아니다”라고 밝히며 “혁신위원장으로서 국민적 기대치를 떨어뜨릴 만한 말들을 많이 해서는 곤란하다”고 밝히면서 혁신위가 출범 전부터 비판에 직면했다.[[https://www.mk.co.kr/news/politics/10763283|출처]] * [[2023년]] 7월 말 김은경 혁신위원장의 [[김은경 노인 폄하 발언 논란|노인 폄하 논란]]이 터지면서 혁신위가 본격적으로 개혁을 시도하기도 전에 좌초되었다는 비판에 직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