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게임 개발자]][[분류:대한민국의 게임 프로듀서]]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프로그래머이자 [[슈퍼캣]]의 전 대표.[* 현재는 김영을 전 부사장이 대표이사직에 선임하였다.] 넷상에서 활동한 당시에는 Kernys, 하앙군이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했다. [[네코 데브]]를 설립하고 운영한 바 있으며 [[창조도시]]와의 합병으로 [[인디사이드]]가 탄생하고 나서 천무, 사신지와 함께 운영을 한 바 있다. 현재도 인디사이드를 운영하고 있는지는 미지수다. == 대표작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슈퍼캣 명의로 제작된 게임들, rd1=슈퍼캣)] * [[네코노벨]] * [[네코 플레이어]] * [[내가 그린 기린 그림]] for Kakao * [[좀비고등학교]] 슈퍼캣 설립 이전, 아오오니 레전드 시절 개발에 참여한 바 있다. * 퀴즈 캔버스 * 레시아 온라인 * 포켓 마피아 아마추어 시절 개발해서 운영한 바 있는 온라인 MMORPG. * 노래북 * 네이플온 메신저 * 카카오톡 for Mac 카카오톡의 비공식 Mac 지원 버전. 서비스 실시 4시간만에 카카오톡측의 요청으로 서비스를 종료했다. == 비판 == 인디 게임계, 더나아가 한국 게이머들 사이에서의 인식이 매우 부정적이다. 이 이유를 간략하게 요약하자면, '''개발자로서의 윤리 따윈 안중에도 없었기 때문이다.''' 표절이나 도용 논란이 굉장히 자주 터졌으며, 이 행위의 주요 타켓인 [[쯔꾸르]] 시리즈는 김원배에게 지속적인 침해를 받아왔다. 다음은 슈퍼캣 명의를 제외한 참여작에서 드러난 논란들이다. * 레시아 온라인 그래픽 리소스 및 사운드를 쯔꾸르 시리즈의 RTP에서 그대로 차용했다. 당시에도 약관 위반 논란이 일어났으며 김원배는 이를 두고 엔터브레인 측에서 허가를 내줬다고 주장했으나, 쯔꾸르의 약관상 RTP에 내장된 그래픽을 쯔꾸르 시리즈가 아닌 다른 엔진에 사용할 수 없다고 명시하고 있다. * 좀비고등학교 좀비고로 탈바꿈하기 전, 원래 이름은 아오오니 레전드였다. 즉, [[아오오니 시리즈|아오오니]]의 의도적 IP 도용 및 수익모델화였으며, 기존의 네임 밸류를 이용해 유저를 끌어모으고 문제가 커지기 시작하자 자체 리소스로 갈아치우고 기존의 논란을 묵살하면서 어영부영 넘어간 케이스다.[[http://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4/?n=54394|#]][[http://kukinews.com/m/m_article.html?no=199416|#]] * [[네코 플레이어]] 막 나왔을 당시에는 제기되기 않았으나 [[인디사이드]]에서 제작 대회로 논란이 크게 번졌을 때, 한 유저가 이를 지적하고 카도카와 측에서 부정적인 답변이 달리자 결국 리버스 엔지니어링임을 사실상 시인해 쯔꾸르에 대한 침해 행위임이 확인되었다. 이는 이후 [[슈퍼캣]]을 설립했음에도 지속되어 기업 윤리 부재 논란까지 벌어진 바 있다. 해당 문서를 참고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