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역대 [[세계은행]] 총재 || || 11대 || {{{+1 ← }}} || 12대 || {{{+1 → }}} || 13대 || || [[로버트 졸릭]] || {{{+1 ← }}} || '''짐 용 김''' || {{{+1 → }}} || 데이빗 말패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71bc 0%, #0071bc 20%, #0071bc 80%, #0071bc)" '''[[세계은행|{{{#fff 세계은행 제12대 총재}}}]][br]{{{#fff {{{+1 짐 용 김}}}[br]金墉 | Jim Yong Kim}}}'''}}}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30px-Jim_Yong_Kim_2015.jpg|width=100%]]}}} || ||<|2> '''{{{#d4eefb 출생}}}''' ||[[1959년]] [[12월 8일]] ([age(1959-12-08)]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2> '''{{{#d4eefb 재임기간}}}''' ||제12대 세계은행 총재|| ||[[2012년]] [[7월 1일]] ~ [[2019년]] [[2월 1일]]|| || '''{{{#d4eefb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d4eefb 정당}}}''' ||[include(틀:민주당(미국) 표시)]|| || '''{{{#d4eefb 배우자}}}''' ||임윤숙|| || '''{{{#d4eefb 학력}}}''' ||[[아이오와 대학교]] {{{-1 (편입)}}} [[브라운 대학교]] {{{-1 ([[학사|A.B.]])}}} [[하버드 대학교]] {{{-1 (의학 / [[박사|M.D.]])}}} [[하버드 대학교]] {{{-1 (인류학 / [[박사|Ph.D.]])}}}|| || '''{{{#d4eefb 경력}}}''' ||[[세계보건기구]] 에이즈국 국장 [[하버드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다트머스 대학교]] [[총장]]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 제12대 [[세계은행]] 총재|| [목차] [clearfix] == 개요 == [[한국계 미국인|재미동포]] [[의사]] 및 인류학자. [[1959년]] [[12월 8일]]생으로 [[서울]] 출신이지만 5살 때 일가족이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 [[한국]]에서는 비교적 인지도가 덜하지만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50인'''에 선정되기도 한 인물이다. 세계구급으로 보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못지 않은 [[유명인]]. == 일생 == 원래 [[철학자]]인 어머니의 영향으로 정치학과 철학에 관심이 많았지만 [[치과의사]] 출신인 아버지의 말씀에 따라 의사가 되기로 결심[* 대학교 3학년 때 방학을 맞아 귀향하는데, 아버지와 함께 장래희망 이야기를 하다가 갑자기 아버지가 길가에 차를 세워놓고 심각하게 "우리같은 동양인들은 전문 인력이 되지 않으면 인정받기 힘들다"라고 조언했다고 한다. ~~그리고 그 조언대로 전문인력이 되어 전세계급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브라운 대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 메디컬 스쿨에 진학, 의학 박사 (M.D.)와 인류학 박사 학위(Ph.D.)를 받았다. 졸업 후 하버드 [[의학전문대학원|메디컬 스쿨]]의 각종 보직을 역임하며 출세가도를 달리다가 마침내 [[의과대학|메디컬 스쿨]] 교수 자리에까지 올랐다. 특히 하버드 메디컬 스쿨 국제보건학과장 등을 역임하며 중남미의 열악한 결핵의료 퇴치 운동을 벌였고, 이러한 활동 경력에 힘입어 [[WHO]] 에이즈국장직을 맡기도 했다. 빈민 결핵의료와 에이즈 분야에서 20년 이상의 경력을 쌓은 의료행정 전문가인 셈. == 경력 == 2009년부터 2012년 06월까지 미국 [[다트머스 대학교]]의 총장으로 재직했다.[* 아시아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아이비리그의 총장이 배출되었다.] [[코난 오브라이언]]의 [[https://youtu.be/q-WRUNCdGfk|2011년 다트머스 대학 졸업식 축사]]에서 연단 뒷자리에 웬 인상좋은 아저씨가 싱글싱글 웃고 있는데 이 사람이 그 사람. 2012년에는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부]] 장관 등 쟁쟁한 후보를 제치고 [[세계은행]] 총재에 지명되었고 2017년에 연임에 성공한다. 아시아계 미국인으로는 최초의 세계은행 총재가 된 셈이다. 임기가 3년반 가량 남은 2019년 1월에 갑자기 사임을 발표했다. 그리고 개발도상국등에 사회 간접 자본에 투자하거나 개발 자금을 대출해주는 [[사모펀드]]에 합류한다는 [[https://news.v.daum.net/v/20190109212634091?f=m|기사]]가 나오며, 세계은행의 최대 영향력을 가진 국가인 미국의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와의 갈등설이 사임 이유로 제시되기도 했다. 차기 총재로 트럼프 행정부의 재무부 차관을 지낸 데이빗 말패스(David Malpass)가 임명되었다. == 수상 == 2003년 한국계 최초로 [[맥아더 펠로십]]을 수상했다. == 관련 링크 == * [[TED]] [[https://www.ted.com/speakers/jim_yong_kim|링크]]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용, version=153)] [[분류:한국계 미국인]][[분류:1959년 출생]][[분류:브라운 대학교 출신]][[분류: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미국 민주당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