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스트 스튜디오 소속 아티스트)] ||<-2> '''{{{+1 김옥빈}}}[br]Kim Okvi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F4BC5F9-6AEC-496F-B40E-6682C30EB7A7.jpg|width=100%]]}}} || ||<|2> '''출생''' ||[[1987년]] [[1월 3일]][* 빠른생일] ([age(1987-01-03)]세) || ||[[전라남도]] [[순천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본관''' ||[[광산 김씨]] (光山 金氏) || || '''신체''' ||167cm, [[A형]] || || '''가족''' ||부모님, 여동생 김○○, [[채서진|김고운]]|| || '''학력''' ||광양서초등학교 {{{-2 (졸업)}}}[br]광양여자중학교 {{{-2 (졸업)}}}[br][[광양하이텍고등학교|광양실업고등학교]] {{{-2 (졸업)}}}[br][[경희대학교/학부/예술·디자인대학|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2 (연극영화학 / 학사)}}} || || '''종교''' ||[[무종교]] || || '''소속사''' ||[[고스트 스튜디오]] || || '''데뷔''' ||[[2005년]] 영화 《[[여고괴담 4 - 목소리]]》 || || '''별명''' ||욱빈이, 밥빈이, 술빈이, 옥이 || || '''링크''' ||[[https://instagram.com/kimokvi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kimokvi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옥빈 영화 박쥐.gif|width=100%]]}}}|| [[대한민국]]의 [[배우]]. == 데뷔 전 == [[전라남도]] [[순천시]]에서 태어나 [[광양시]]에서 성장했다. 초등학교 때부터 연기학원을 다녔다고 한다. 학원을 순천에 있는 곳으로 다녔는데, 편도로만 '''1시간 30분'''이 걸렸다고 한다. 그러다 집안 사정이 안 좋아져 그만두게 되었다. 어릴 때부터 연기에 대한 관심으로 초, 중, 고등학교 모두 클럽 활동을 연극반으로 했다고 한다. 대학 진학은 [[경찰행정학과]]를 지원할 예정이었는데, 장난삼아 얼짱 콘테스트에 사진을 올렸다가 '''3만명 중 1등'''을 하며 연예계에 입문하였다. == 활동 == 2005년, SBS 추석 특집극 《[[하노이 신부]]》에서 깜짝 주연을 맡으며 커리어를 시작하였다. 위 작품에서 한국인과 사랑에 빠지는 [[베트남]] 출신 통역사 역할을 훌륭하게 소화했고 시청자들은 “진짜 베트남 사람이냐”라는 등 적극 관심을 표했으며, 이에 신예 연기자 김옥빈의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계기는 《[[여고괴담 4 - 목소리]]》에 주인공 영언 역할로 출연한 뒤부터로, 본 작품을 통해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 후보에 올랐다. 2006년, 미국 소설 《[[앨저넌에게 꽃을]]》을 각색한 [[강은경]] 집필의 드라마 《[[안녕하세요 하느님|안녕하세요 하느님!]]》에서 주연을 맡았으며, 청춘 드라마 《[[오버 더 레인보우(드라마)|오버 더 레인보우]]》에서는 가수의 꿈을 이루기 위해 뉴질랜드에서 한국으로 온 정희수 역을 맡아 감춰진 댄스 실력과 끼를 발산하며 유명세를 타기 시작했다.[* 오버 더 레인보우는 시청률에서 참패했다.] 이때부터 라이징 스타가 되어 큰 주목을 받는다. 2007년, 《[[쩐의 전쟁(SBS)|쩐의 전쟁: 보너스 라운드]]》에 출연했고, 2008년, [[이정재]]와 함께 《[[1724 기방난동사건]]》이라는 영화를 찍었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김옥빈.gif|width=100%]]}}}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김옥빈1.gif|width=100%]]}}} || ||<-2> '''{{{#fff [[박쥐(영화)|{{{#fff 영화 박쥐}}}]]}}}''' || 2009년, [[박찬욱]] 감독의 영화 《[[박쥐(영화)|박쥐]]》를 통해 뱀파이어가 된 신부 상현([[송강호]] 분)을 파멸로 이끄는 치명적인 순수함을 가진 태주 역을 소화하며 대표작을 탄생시켰다. 본 작품을 통해 스페인 [[시체스 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고 《박쥐》는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진출해 심사위원상을 수상했다. 같은 해에 이재용의 영화 《[[여배우들]]》에 대선배들과 함께 출연했다. 2011년, [[장훈(영화 감독)|장훈]] 감독의 영화 《[[고지전(영화)|고지전]]》에서 북한군 스나이퍼로 변신하였다. 고지전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보여주며, 대중들에게 강한 인상을 심어주었다. 2012년, 영화 《[[시체가 돌아왔다]]》 출연과 [[엠넷]]의 프로젝트를 통해 'OK PUNK!'라는 이름의 밴드를 결성하여 활동하였다.[* 멤버는 [[비트겐슈타인(밴드)|비트겐슈타인]], [[닥터코어 911]], [[넥스트(밴드)|N.EX.T]] 기타리스트 출신 데빈 리, [[고고스타]]의 보컬 & 신디사이저 이태선(베이시스트로 참여 - 원래는 [[럭스(밴드)|럭스]]의 베이시스트였다.), [[딕펑스]]의 키보드 김현우, [[칵스]]의 보컬 & 기타 이현송, [[톡식(밴드)|톡식]]의 드러머 김슬옹이다.] 2013년, 드라마 《[[칼과 꽃]]》의 주연을 맡았고, 하반기 11월 28일에는 시간 여행을 다룬 [[SF 영화]] 《[[열한시]]》가 개봉했다. 2014년 5월, 김운경이 집필한 [[JTBC]] 드라마 《[[유나의 거리]]》에서 소매치기범 유나를 연기하여 그동안의 연기 스타일과는 다른 생활 연기를 보여 호평을 받았다. 유나의 거리는 오만가지 쓸쓸한 하류 인간의 군상을 따뜻하게 녹여내 매니아층을 형성하였다. 본 작품을 통해 에이판 스타어워즈에서 우수연기상을 수상하였다. 2015년 6월 25일, [[윤계상]]과 함께 호흡을 맞춘 영화 《[[소수의견]]》이 개봉했다. 2013년 상반기에 촬영해 원래는 1년 전인 2014년에 개봉할 예정이었으나 [[용산 참사]]를 다룬 민감한 소재라 개봉이 연기되었다. 2016년, 공군 군납 비리를 다룬 영화 《[[1급기밀]]》을 촬영 후, 정병길의 액션 영화 《악녀》에서 킬러 숙희 역할을 맡았다. 2017년, 영화 《[[악녀(영화)|악녀]]》가 [[제70회 칸 영화제]] 미드나잇 스크리닝 부문에 공식 초청되면서 《박쥐》 이후로 다시 한번 칸의 레드 카펫을 밟게 되었다. 그때 심사위원 중 한 명이 박찬욱이라 칸에서 재회를 하게 됐다. 이 영화에서 엄청난 액션씬을 보여주며 김옥빈의 액션 연기와 독특한 연출 방식에 대해서는 호평을 받았으나, 영화의 스토리 면에서는 아쉬운 평가를 받았다. 11월 25일에는 《악녀》로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 후보에 선정되어 시상식에 참석하였다. 2018년, [[춘사영화제]]에서 악녀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2018년 1월, 홍기선 감독의 유작 《1급기밀》이 개봉했다. 이후 2018년 3월 3일부터 4월 22일까지 OCN 드라마 《[[작은 신의 아이들]]》에 출연해 유나의 거리 이후 4년 만에 드라마에 복귀했다. [[그것이 알고싶다]] 작가 출신 한우리의 데뷔작으로 코미디와 형사 장르물을 결합하여 커다란 하나의 사건에 조금씩 접근하는 이야기로 괜찮은 평가를 받았고 시청률도 괜찮은 편에 속했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태알하_김옥빈.gif|width=100%]]}}}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김옥빈2.gif|width=100%]]}}} || ||<-2> '''{{{#fff [[아스달 연대기|{{{#fff 드라마 아스달 연대기}}}]]}}}''' || 2018년 여름, 심사숙고 후 2019년 tvN 드라마 《[[아스달 연대기]]》 출연을 확정지었다. 김옥빈이 연기한 배역은 무술에 뛰어나고 진취적인 캐릭터로 가상 캐스팅 때부터 김옥빈이 많이 거론되어 드라마를 기다리는 팬들에게 잘 어울린다는 반응을 얻어냈다. 제작진의 전작이 [[선덕여왕(드라마)|선덕여왕]], [[육룡이 나르샤]] 등인지라 김옥빈의 캐릭터가 [[비담(선덕여왕)|비담]] 혹은 [[척사광]] 같은 역할이 되지 않을까 기대감을 끌었다. 작가가 그런 캐릭터를 잘 살리는데다 여성들의 정치적 씬을 잘 뽑는 것도 있다. 각본가 [[박상연(각본가)|박상연]]과는 고지전 이후 8년만에 재회했다. 허나 제작비 대비 시청률은 아쉬운 편에 속한다. 방영 초기에는 높은 톤의 발성에 대해 의문을 갖는 시청자들이 다수 있었지만 회가 거듭할 수록 연기력에 대한 물음표는 사라졌고 귀에 때려 박히는 딕션과 함께 함께 장동건, 송중기, [[조성하]] 등 다른 배우들과의 연기 합에서도 호평을 받았다. 아스달 연대기에서 가장 많은 명장면을 만들어냈다. 이후 [[OCN]] 드라마 《[[다크홀(드라마)|다크홀]]》에 출연해, [[2020년]] 겨울부터 촬영을 시작했다. 《다크홀》은 [[2021년]] 상반기에 방영했다. 상대 배우는 《비밀의 숲》에서 서동재 역으로 인기를 끈 이준혁이다. 2022년, 《박쥐》 이후 13년 만에 다시 박찬욱과 작업한 단편 영화 《[[일장춘몽(2022)|일장춘몽]]》이 유튜브로 공개됐다. 2023년 방영 예정인 드라마 아스달 연대기의 후속작 [[아라문의 검]]에 출연을 확정지었다.[* [[https://www.joynews24.com/view/1508683 | 이준기·신세경·장동건·김옥빈, '아스달연대기2' 대본리딩 완료]]] 2023년 1월 7일, 쿠팡플레이 SNL 코리아 시즌 3에 호스트로 출연했다. 신부 대기실의 얄미운 신부, MZ 오피스의 분노 유발 대리, 첫사랑 교회 누나 등 다양한 캐릭터로 등장해 반전 매력을 보여주었다.[* 2021년 OCN 드라마 [[다크홀(드라마)|다크홀]]에 함께 출연한 배우 이준혁이 특별출연했다.] 2023년 2월 10일, [[넷플릭스]] 드라마 《[[연애대전]]》이 공개되었다. 《연애대전》은 2월 10일 공개 1주(2월 10일 ~ 2월 12일)에는 넷플릭스 전체 순위 17위, 비영어권 순위 8위를 기록하며 선전했으며 이후에 2주(2월 13일 ~ 2월 19일)에는 넷플릭스 전체 순위 3위, 비영어권 순위 2위를 기록하며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또한 《연애대전》은 김옥빈이 연기자로 데뷔한 이후 처음으로 도전한 로맨틱 코미디 장르인데, 《연애대전》 공개 이후로 왜 그동안 로맨틱 코미디를 하지 않았느냐는 팬들의 아쉬움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나올 정도로 훌륭한 연기를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여미란 캐릭터를 잘 소화하며 이전의 김옥빈의 진지하면서도 어두운 이미지와는 상반된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었고 그 새로운 모습을 위화감없이 잘 연기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출연 작품 == === 영화 === ##주연, 조연으로 기재된 영화만 표에 작성하기 바랍니다. 단역, 특별출연, 우정출연, 카메오 등은 취급하지 않습니다. || {{{#!wiki style="margin: 0px 10px; display: inline-block; color: #fff" {{{#!folding Filmography || {{{#!wiki style="margin: -5px -10px" [[여고괴담 4 - 목소리|[[파일:external/8f4a195686cdd9ba777d1b5430d0ee6f378692aa866cae6d759b0c21e7cde1c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다세포 소녀(영화)|[[파일:attachment/Dasepo_Naughty_Girl.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1724 기방난동사건|[[파일:1724 기방난동사건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박쥐(영화)|[[파일:external/fd044ccf633c8ebb96c4d4f5b5626f1e6c7d4fae3650e530ba00bf9ae5a8af74.jpg|width=100%]]]]}}} || || [[여고괴담 4 - 목소리|{{{#!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여고괴담 4 - 목소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white '''주연'''}}}}}} {{{#202020 {{{-2 '''2005. 7. 15'''}}}[br]{{{-3 최익환 감독 / 박영언 역}}} }}} || [[다세포 소녀(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다세포 소녀'''}}}}}}]]{{{#!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white '''주연'''}}}}}} {{{#202020 {{{-2 '''2006. 8. 10'''}}}[br]{{{-3 이재용 감독 / 가난을 등에 업은 소녀 역}}} }}} || [[1724 기방난동사건|{{{#!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1724 기방난동사건'''}}}}}}]]{{{#!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white '''주연'''}}}}}} {{{#202020 {{{-2 '''2008. 12. 3'''}}}[br]{{{-3 여균동 감독 / 설지 역}}} }}} || [[박쥐(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박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white '''주연'''}}}}}} {{{#202020 {{{-2 '''2009. 4. 30'''}}}[br]{{{-3 박찬욱 감독 / 태주 역}}}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여배우들|[[파일:attachment/여배우들/movie_image.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고지전(영화)|[[파일:external/img.movist.com/81_p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시체가 돌아왔다|[[파일:시체가 돌아왔다.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열한시|[[파일:attachment/am11.jpg|width=100%]]]]}}} || || [[여배우들|{{{#!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여배우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white '''주연'''}}}}}} {{{#202020 {{{-2 '''2009. 12. 10'''}}}[br]{{{-3 이재용 감독 / 김옥빈 역}}} }}} || [[고지전(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고지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white '''주연'''}}}}}} {{{#202020 {{{-2 '''2011. 7. 20'''}}}[br]{{{-3 장훈 감독 / 차태경 역}}} }}} || [[시체가 돌아왔다|{{{#!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시체가 돌아왔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white '''주연'''}}}}}} {{{#202020 {{{-2 '''2012. 3. 29'''}}}[br]{{{-3 우선호 감독 / 한동화 역}}} }}} || [[열한시|{{{#!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열한시'''}}}}}}]]{{{#!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white '''주연'''}}}}}} {{{#202020 {{{-2 '''2013. 11. 28'''}}}[br]{{{-3 김현석 감독 / 영은 역}}}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소수의견#s-3|[[파일:external/cphoto.asiae.co.kr/2015051512185358081_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악녀(영화)|[[파일:4ab1fd76a97cc25214cbedf602a251305758252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1급기밀|[[파일:The Discloser 2016.jpg|width=100%]]]]}}} || || || [[소수의견#s-3|{{{#!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소수의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white '''주연'''}}}}}} {{{#202020 {{{-2 '''2015. 6. 24'''}}}[br]{{{-3 김성제 감독 / 공수경 역}}} }}} || [[악녀(영화)|{{{#!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악녀'''}}}}}}]]{{{#!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white '''주연'''}}}}}} {{{#202020 {{{-2 '''2017. 6. 8'''}}}[br]{{{-3 정병길 감독 / 숙희 역}}} }}} || [[1급기밀|{{{#!wiki style="font-size: 1.1em" {{{#202020 '''1급기밀'''}}}}}}]]{{{#!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75em" {{{#white '''주연'''}}}}}} {{{#202020 {{{-2 '''2018. 1. 24'''}}}[br]{{{-3 홍기선 감독 / 정숙 역}}} }}} || || }}}}}} || ||
'''개봉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2005년]] || [[여고괴담 4 - 목소리|여고괴담 死 - 목소리]] || 박영언 || 데뷔작 • 주연 || ||<|2> [[2006년]] || [[아랑(영화)|아랑]] || 여고생 || 특별출연 || || [[다세포 소녀(영화)|다세포 소녀]] || [[가난을 등에 업은 소녀]] ||<|12> 주연 || || [[2008년]] || [[1724 기방난동사건]] || 설지 || ||<|2> [[2009년]] || '''[[박쥐(영화)|박쥐]]''' || '''태주''' || || [[여배우들]] || 김옥빈 || || [[2011년]] || [[고지전(영화)|고지전]] || 차태경 || || [[2012년]] || [[시체가 돌아왔다]] || 한동화 || ||<|2> [[2013년]] || 뒷담화: 감독이 미쳤어요 || || || [[열한시]] || 영은 || || [[2015년]] || [[소수의견#s-3]] || 공수경 || || [[2017년]] || '''[[악녀(영화)|악녀]]''' || '''김숙희''' || || [[2018년]] || [[1급기밀]] || 정숙 || || [[2022년]] || [[일장춘몽(2022)|일장춘몽]] || 흰담비 || === 드라마 === ||
'''방영 연도''' || '''방송사''' || '''제목''' || '''배역''' || '''비고''' || || [[2005년]] || [include(틀:SBS 로고)] || [[하노이 신부]] || 리티브 || 추석 특집극 • 주연 || ||<|2> [[2006년]] || [include(틀:KBS 2TV 로고(1984-2018))] || [[안녕하세요 하느님]] || 서은혜 ||<|10> 주연 || || [include(틀:MBC 로고(2005-2011))] || [[오버 더 레인보우(드라마)|오버 더 레인보우]] || 정희수[* 아역은 [[채서진]]으로 김옥빈의 막내동생이다.] || || [[2007년]] || [include(틀:SBS 로고)] || [[쩐의 전쟁(SBS)|쩐의 전쟁 - 보너스 라운드]] || 이수영 || || [[2013년]] || [include(틀:KBS 2TV 로고(1984-2018))] || [[칼과 꽃]] || 무영 (소희공주) || || [[2014년]] || [include(틀:JTBC 로고)] || '''[[유나의 거리]]''' || '''강유나''' || || [[2018년]] || [include(틀:OCN 로고(2001-2020))] || '''[[작은 신의 아이들]]''' || '''[[김단]]''' || || [[2019년]] || [include(틀:tvN 로고(2012-2021))] || '''[[아스달 연대기]]''' || '''[[태알하]]''' || || [[2021년]] || [include(틀:OCN 로고(2001-2020))][br][include(틀:tvN 로고(2012-2021))] || [[다크홀(드라마)|다크홀]] || [[이화선(다크홀)|이화선]] || ||<|2> [[2023년]] || [include(틀:넷플릭스 로고)] || '''[[연애대전]]''' || '''여미란''' || || [include(틀:tvN 로고)] || [[아라문의 검]] || [[태알하]] || == 그 외 활동 == === 뮤직비디오 === ||
'''공개 연도''' || '''아티스트''' || '''곡명''' || || [[2004년]] || [[이승철]] || 무정 || || [[2006년]] || [[박정현]] || [[https://youtu.be/IQvLjM7vgxw|위태로운 이야기]] || ||<|3> [[2007년]] ||<|3> [[지아]] || 수호천사 || || 내 마음 별과 같이 || || 물끄러미 || || [[2011년]] || [[스키조]] || FORGET ABOUT IT (Feat. OKVIN) || === 방송 === ||
'''출연 날짜''' || '''방송사''' || '''프로그램''' || '''역할''' || '''비고''' || || [[2006년]] [[7월 21일]] || [include(틀:MBC 로고(2005-2011))] || [[공감토크쇼 놀러와]] ||<|2> 게스트 || with 지현우, 서지혜, 환희 || || [[2006년]] [[7월 23일]]~[[7월 30일|30일]] || [include(틀:SBS 로고)] || [[X맨(예능)|X맨]] || || || [[2006년]] [[11월 25일]] || [include(틀:엠넷 로고)] || [[마마 어워즈/역대 시상식/2000년대#MKMF|Mnet KM 뮤직페스티벌]] || 진행자 || with 신동엽 || || [[2011년]] [[10월 1일]] || [[XTM|[[파일:XTM 로고.svg|width=40]]]] || [[탑기어 코리아 시즌 1]] - 스타 랩타임 || 게스트 || || || [[2011년]] [[12월 15일]]~[[2012년]] [[3월 1일]] || [include(틀:엠넷 로고)] || 오케이 펑크 (OK, PUNK!) || 고정출연 || || || [[2016년]] [[5월 27일]], [[5월 28일|28일]] || [include(틀:SBS 로고)] || 희망TV || 출연 || || || [[2016년]] [[5월 28일]]~[[6월 4일]] || [include(틀:KBS 2TV 로고(1984-2018))] || [[배틀 트립]] || 여행자 || with 김현숙 || || [[2016년]] [[7월 10일]] ||<|2> [include(틀:JTBC 로고)] || [[김제동의 톡투유]] || 게스트 || || || [[2017년]] [[6월 10일]] || [[아는 형님]] || 전학생 || || || [[2017년]] [[6월 15일]] || [include(틀:tvN 로고(2012-2021))] || [[인생술집]] ||<|2> 게스트 || with 김현숙 || || [[2021년]] [[3월 27일]] || [include(틀:MBC 로고)] || [[전지적 참견 시점]] || || || [[2021년]] [[4월 18일]], [[4월 25일|25일]] || [include(틀:SBS 로고)] || [[미운 우리 새끼]] || 스페셜 MC || || || [[2023년]] [[1월 7일]] || [include(틀:쿠팡플레이 로고)] || [[SNL 코리아 리부트 시즌3]] || 호스트 || 8회 || || [[2023년]] [[2월 11일]] || [include(틀:tvN 로고)] || [[놀라운 토요일]] - [[도레미 마켓]] || 게스트 || with 유태오, 김지훈 || === 광고 === ||
'''연도''' || '''기업''' || '''브랜드''' || '''비고''' || ||<|2> [[2006년]] || [[한국야쿠르트]] || 하이후레쉬CC || [[https://youtu.be/Twlm12DD4Uc|영상]] || || 바슈롬 || 리뉴 멀티플러스 || || ||<|2> [[2007년]] || [[보해양조]] || [[잎새주]] || [[https://youtu.be/jyzFM4wgCQk|영상]] || || 바슈롬 || 바슈롬 하루용 렌즈 || || || [[2016년]] || 아이엠아이 || [[아이템매니아]] || [[http://www.imicorp.co.kr/publicize/view.html?number=414|영상]] || || [[2017년]] || 넥스트 무브 || 다인 (with. [[한효주]]) || [[https://youtu.be/VihQuMcREZc|영상]] || || [[2021년]] || 37GAMES || 퍼즐 오브 Z || || === 음반 === ||
'''발매 연도''' || '''앨범명''' || '''곡명''' || || [[2006년]] || 오버 더 레인보우 OST || Start || || [[2012년]] || OK PUNK! || 1. UGLY[br]2. I'm Ok[br]3. '''Not The End'''[br]4. 깡통 || == 수상 경력 == ||
'''수상 연도''' || '''시상식''' || '''부문''' || '''작품''' || || [[2006년]] || [[MBC 연기대상]] || PD상 || [[오버 더 레인보우(드라마)|오버 더 레인보우]] || || [[2009년]] || 제42회 시체스 영화제 || 여우주연상 || [[박쥐(영화)|박쥐]] || || [[2014년]] || 제3회 [[에이판 스타 어워즈]] || 장편드라마 부문 여자 우수연기상 || [[유나의 거리]] || || [[2018년]] || 제23회 [[춘사영화제]] || 여우주연상 || [[악녀(영화)|악녀]] || || [[2023년]] || 제9회 [[아시아태평양 어워즈]] || 여자 장편드라마 우수연기상 || [[아라문의 검]] || == 논란 및 사건 사고 == === 할인카드 발언 논란 === 2006년, MBC 토크쇼 '놀러와' 출연 당시 할인카드 발언을 통해 대중들의 질타를 받았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2372569|#]] 이야기 주제가 '첫 만남(소개팅)에서 깨는 스타일'인데 김옥빈은 저녁을 사준다고 해서 근사한 레스토랑에서 식사한 것까지는 좋은데, 할인카드를 내밀 때 분위기를 깨는 경우가 있다고 발언했다. 이에 시청자들은 당시 신조어로 한창 이슈가 된 [[된장녀]]로 부르며 비난했고 21살의 나이 어린 김옥빈에게 과한 질타를 했었다. 몇년 후 한 방송에서 대본에 적힌대로 이야기했었다고 이야기한 적이 있다. [[https://extmovie.com/movietalk/16975385|#]] == 여담 == * 가장 좋아하는 배우는 [[제시카 차스테인]], [[산드라 블록]]이라고 한다. * 뱀상 미녀다. * [[양손잡이]]이다. 양손 다 능숙하게 사용한다고. * 이상형은 친구 같은 사람이며 동갑을 선호한다고 밝혔다. * 태권도 2단, 합기도 2단으로 유단자에 무에타이, 복싱 등도 배웠다. * 달리기도 빠르며 웬만한 운동은 다 잘한다고 한다. * [[축구]], [[야구]] 등 스포츠 경기를 시청하는 것을 좋아한다. 과거 [[FC 바르셀로나]]의 팬이었다. * [[탑기어 코리아]]에 출연해 웬만한 남성 출연진보다 더 좋은 랩타임 기록을 세웠다. * 총을 잘 쏜다. 작품 때문에 배우러 가서 처음 도전한 44구경 권총 실탄 사격에서 100점 만점에 98점을 기록했다. 함께 한 남자 배우들을 다 제치고 가장 잘 쐈다고 한다. * 취미는 [[체스]], 독서, 컴퓨터 조립, 운전, 오토바이 타기, 음반 모으기, 식물 기르기 등 다양하다. * 동양사학, [[고고학]], [[미스테리]] 등을 좋아한다. * 배우가 되지 않았다면 [[경찰행정학과]]에 지원해 경찰이 되고 싶었다고 한다. * 과거 인터뷰에서 "멜로는 아직"이라고 여러 번 언급했다. 원체 장르물, 마이너하거나 매니아적인 걸 좋아하기도 하고 수동적인 여자 캐릭터를 싫어한다고 했다. 본인 스스로도 참한 맏딸이나 청순 가련은 어울리진 않는 것 같아 하고 싶은 역할을 실컷 하겠다고 했으며, 실제로도 대중적인 영화보다는 범상치 않은 작가주의 작품들 위주로 출연해 커리어들을 훑어봐도 평범한 역을 맡은 작품을 찾기 어렵다.[* 때문에 22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박찬욱|국내 거장 감독]]의 [[박쥐(영화)|작품]]에 출연하여 [[칸 영화제]] 레드카펫을 밟은 것에 비해 이후 커리어가 아쉽다는 의견 또한 존재한다.] 그러던 2023년, 넷플릭스 드라마 [[연애대전]]을 통해 로맨틱 코미디물에 첫 도전을 하게 되었다. "배우는 한 가지 이미지에 고정되어선 안 된다고 생각하는데, 그 동안 너무 비슷한 역할만 맡은 게 아닐까 싶어서 편협하지 않은 작품 활동을 하고 싶은 마음에 출연을 결심"했다고 한다. [[https://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2302140100093840011896&servicedate=20230213|#]] * 실제로 만나본 사람들의 후기에 따르면 엄청 예쁘고, 차갑고 어두운 이미지와 다르게 친절하고 생각보다 성격이 훨씬 밝다고 한다. * 2016년 2월, 방영한 SBS 《[[그것이 알고싶다]]》 '시크릿리스트와 스폰서' 편을 보고 인스타그램에 글을 올렸는데, 민감한 주제에 대해 쉬운 어휘로 자신의 생각을 잘 풀어 썼다는 데 많은 사람들이 호평을 했다. * [[서지혜(배우)|서지혜]]가 [[인스타그램]]의 계정에 [[82년생 김지영]] 인증글을 올렸다 비난 및 악플을 받고 인스타그램의 게시글을 내렸는데, "자유롭게 읽을 권리를 누가 침해하는가?"라며, 서지혜에게 악플을 달은 악플러들을 비판하였다. * 《[[고지전(영화)|고지전]]》, 《[[악녀(영화)|악녀]]》, 《[[일장춘몽]]》에서 봤듯이, 액션에 잔뼈가 굵다. 어렸을 때 [[동방불패]]나 [[천녀유혼]] 같은 [[홍콩영화]]를 보고 배우의 꿈을 키울 정도로 연기와 액션을 좋아한다. * 영화 《악녀》에서는 액션 씬의 95%를 직접 소화했다고 한다. * [[신하균]]과 인연이 깊은데, 《박쥐》와 《고지전》에 이어 《악녀》까지 세 번 같은 영화에 출연했다. 공교롭게도 세 작품 모두 서로가 서로를 죽이는 역할로 나온다. 드라마 연애대전에서 호흡을 맞춘 유태오와도 세번째 작품이라고 한다. * 2017년 6월 한국기업평판연구소에서 진행한 영화배우 브랜드 평판지수에서 여배우로서는 최초로 1위를 차지했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2930809|관련 기사]] * [[아는 형님]]에서 밝혔듯이 세 자매 모두 사이가 좋아, 서울에서 다 같이 산다고 한다. 김옥빈이 상경할 때 동생이 "언니 꼭 성공해야 해!"라는 말을 했는데 서울로 가는 차에서 펑펑 울었다고. 그 뒤로 둘째가 서울로 대학을 진학해 같이 살게 되고, 막내 채서진은 중학교 때 김옥빈처럼 배우가 될 거라며 상경했다고 한다. 동생들과 평소에 시간을 함께 보내는 일이 많다고 여러 인터뷰, 방송 등에서 밝혔다. * 2021년 MBC 예능 프로그램 [[전지적 참견 시점]]에 출연하여 남다른 귤 사랑이 화제가 되었다. 손과 얼굴이 노래질 정도로 먹었다고. 3일에 한 박스씩 먹는다고 얘기했다. 2023년 라디오에 출연해 아직도 귤을 많이 먹는다고 밝혔다. * 2022년 11월 [[스튜디오 산타클로스 엔터테인먼트]]를 떠나 고스트 스튜디오와 전속 계약을 체결했다. [[http://osen.mt.co.kr/article/G1111979459|#]] [각주] [[분류:한국 여배우]][[분류:한국의 드라마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1987년 출생]][[분류:2005년 데뷔]][[분류:순천시 출신 인물]][[분류:전라남도 출신 인물]][[분류:광산 김씨]][[분류:광양서초등학교 출신]][[분류:경희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