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김영신(동명이인))] || '''{{{#ffffff 김영신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두산 베어스 영구 결번)] ---- [include(틀:두산 베어스 1차 지명선수)] ---- || '''{{{#ffffff 김영신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OB 베어스|{{{#ffffff OB}}}]]{{{/}}}[[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54번}}}''' || || [[김유동]][br](1984~1984.7.1.) || {{{+1 →}}} || '''{{{#FFFFFF 김영신[br](1985~1986)}}}''' || {{{+1 →}}} || '''[[영구 결번/KBO 리그|KBO 영구 결번]]''' || }}} || }}} ||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김영신.jpg|width=100%]]}}} || ||<-2> '''두산 베어스 No.54''' || ||<-2> '''{{{#fff {{{+2 김영신}}}[br]金榮伸 | Kim Youngshin}}}''' || ||<|2> '''출생''' ||[[1961년]] [[11월 9일]] || ||[[강원도]] [[원주시]](현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 ||<|2> '''사망''' ||[[1986년]] [[8월 15일]] (향년 24세) || ||[[경기도]] [[고양시|고양군]] [[송포동(고양)|송포면]] 법곶3리[br](현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송포동(고양)|송포동]])||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단계초 - 원주중 - [[상문고등학교|상문고]] - [[동국대학교 야구부|동국대]] || || '''포지션''' ||[[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85년/신인드래프트#s-2|1985년 1차 지명]] ([[OB 베어스|OB]]) || || '''소속팀''' ||'''[[OB 베어스]] (1985~1986)''' || || '''병역''' ||[[예술체육요원]][* 1983년 아시아야구선수권 대회 우승[[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77&aid=000012699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영신 ob.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영신_선동열.jpg|width=100%]]}}} || || 국가대표 시절 [[선동열]](좌측)과 함께 찍은 사진. || 前 [[OB 베어스]][* 현 [[두산 베어스]]] 소속 야구 선수. 한국프로야구 역사상 최초로 [[영구 결번]]이 된 인물이며, 추모를 이유로 영구 결번이 된 현재까지 유일한 인물이기도 하다.[* 준영구결번 대우까지 포함하면 롯데 자이언츠 소속이었던 NO.20 [[임수혁]]도 있긴 하다.] 베어스의 유망주 포수였으나, 성적 부진과 저조한 출전 등의 압박감을 이겨내지 못하고 자살로 생을 마친 비운의 선수이다. == 선수 경력 == 아마추어 선수 시절 [[1984 LA 올림픽]]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야구 국가대표팀]] 포수로 출전하는 등 유망주로 손꼽혔다. 상문고와 동국대를 거쳐, 1985년 [[OB 베어스]]에 1차 지명으로 입단하였다. 하지만 [[김경문]]과 [[조범현]] 등 주전 포수들과의 경쟁에서[* '''"포수사관학교"'''라고 불리는 OB-두산 베어스는 프랜차이즈 역사를 통틀어 쟁쟁한 포수가 많이 들어왔고 그의 여파로 경쟁에서 밀리는 선수도 나타났다. 김경문과 조범현의 뒤에는 정종현이라는 3번째 포수가 있었지만 두 사람의 벽을 넘기란 힘들었고 1990년대에 와서는 [[김태형(1967)|김태형]]과 [[이도형]]이 있었으며 그 뒤로는 [[최기문]], [[진갑용]], [[홍성흔]] 등이 들어왔다. 결국 최기문과 진갑용이 홍성흔에게 밀리면서 각각 롯데와 삼성으로 트레이드 된 이후에 빛을 보게 됐다. 또 [[양의지]]가 갑작스럽게 뜨는 바람에 백업으로 있던 [[최승환(야구선수)|최승환]]과 [[용덕한]]이 밀려나가 트레이드가 되기도 했다.] 밀리면서 출전 기회가 줄어들었다. == 사망 == [[1986년]] [[8월 15일]] [[경기도]] [[고양시|고양군]] 송포면[* 현 [[고양시]] [[일산서구]] [[송포동(고양)|송포동]]] 법곶3리 앞의 [[한강]] 하류에서 익사체가 떠내려 오는 것을 부근 경계 초소의 초병이 발견하였다. 경찰 수사 결과 익사체의 신원은 김영신으로 판명되었고 성적 부진을 비관하여 스스로 강에 몸을 던진 자살로 결론을 내렸다. [[OB 베어스]] 측은 김영신의 영결식을 치르고 그를 애도하는 의미에서 김영신의 등번호 54번을 [[KBO 영구 결번]] 처리하였는데, 이는 앞서 언급했듯이 한국프로야구 최초의 [[KBO 영구 결번]] 사례다. 최고의 유망주였으나, 주전 경쟁에 밀리며 자신의 성적과 신세를 비관해 자살로 생을 마감한 비운의 선수.[* 비슷한 결번 사례로, 2010년 2월 5일 미야코지마 스프링캠프 숙소에서 추락사한 [[오릭스 버팔로즈]]의 오제 히로유키(향년 25세)의 41번 역시 오제를 애도하는 의미에서 2019년까지 아무도 사용하지 않았다. 다만 김영신과 달리 오제는 입단 후 바로 1군 자리를 꿰차며 주전으로 자리잡아가던 중이었고, 유서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자살일 가능성은 낮다.] [[파일:김영신_기사.jpg]] 김영신의 사망 소식을 알리는 신문 기사. 만약 당시에 [[트레이드]]가 활성화됐다면 OB가 아닌 다른 팀에서 기회를 잡을 수 있었을텐데[* 예나 지금이나 제대로 된 포수 자원은 정말 구하기 어려워서 포수 영입에 있어서 각 구단들이 적극적으로 나서는 경우가 많다. 하물며 선수층이 지극히 얇았던 1980년대 중반이었기에 포수 영입의 필요성은 더 강력했을 것이다. 그러나 당시는 프로야구 출범 초창기로 2군 리그마저 없을 정도로 리그 저변이 취약했고, 트레이드에 대한 인식이 '팀에서 입지가 좁아져 쫒겨난다'는 부정적이었던 시절이기에 트레이드의 'ㅌ'자도 꺼내기 어려웠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불행하게도 당시에는 트레이드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인 시절이었고[* 당시 트레이드는 구단이 선수에게 보복적으로 하는 것이 많았고 선수 입장에서는 내 고향, 내 직장에서 버림 받았다는 생각이 들 수밖에 없던 상황이었다. 특히 당시 트레이드 대상이 되면 이는 팀에 쓸모없는 존재, 다시 말해 '퇴물이라서 정리한다.'와 비슷한 의미였다. 그 예로서 유명한 [[최동원]]-[[김시진]], [[김용철(야구)|김용철]]-[[장효조]] 트레이드. 그리고 1980년대에는 내 고향 선수를 다른 팀으로 보내는 것은 금기나 다름없던 시절이었다. 이 인식이 사라진 것은 김영신이 세상을 떠나고 한참 뒤인 1990년대 후반에 들어서부터였다.] 선수가 스스로 트레이드를 요청하거나 선수의 진로를 열어주기 위한 트레이드가 이루어진 사례도 매우 드물었다.[* KBO 리그 1호 트레이드 당사자인 [[서정환]]의 경우가 선수가 요청해 트레이드된 대표적인 사례지만 이런 사례가 몇 년에 한 번 나올까 말까 할 정도로 드물었다.] 결국 김영신의 비극적인 죽음은 리그 내 선수 트레이드 활성화로 선수 활로 모색의 필요성을 일깨워 준 사건으로 꼽힌다. == 연도별 성적 == ||<-17>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팀명}}} || {{{#ffffff 경기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볼넷}}} || {{{#ffffff 사구}}} || {{{#ffffff 삼진}}}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ffffff OPS}}} || || 1985 ||<|2> [[OB 베어스|OB]] || 13 || .190 || 4 || 0 || 0 || 0 || 2 || 1 || 0 || 1 || 0 || 4 || .227 || .190 || .418 || || 1986 || 9 || .091 || 1 || 0 || 0 || 0 || 0 || 0 || 0 || 0 || 0 || 1 || .091 || .091 || .182 || ||<-2> '''[[KBO 리그|KBO]] 통산''' [br] (2시즌) || 22 || .156 || 5 || 0 || 0 || 0 || 2 || 1 || 0 || 1 || 0 || 5 || .182 || .156 || .338 || == 기타 == * 선수 시절 팀 선배인 [[투수]] [[박상열]][* 전 [[고양 원더스]], [[한화 이글스]] 코치. 김성근 감독의 최측근으로 유명하다.]과 얽힌 에피소드가 있는데, 1985년 시즌 중반 [[삼성 라이온즈]]와의 [[대구광역시|대구]] 원정 경기 후 박상열이 아들을 얻은 기념이라며 숙소인 수성관광호텔에서 동료들끼리 한 잔 하다가 술이 다 떨어지자 근처의 [[수성유원지|수성못]] 포장마차에서 2차까지 치렀다. 술자리를 끝내고서는 김영신이 박상열과 잔뜩 취해서 숙소로 돌아가던 중에 박상열이 수성못에서 수영 내기를 하자고 제의했고, 김영신이 수영 못한다고 하자 박상열은 "내가 [[해병대]] 출신이다. 물에 빠지면 건져줄게"[* 사실 박상열은 해병대가 아닌 육군 경리단에서 복무했다.]라는 통에 결국 김영신은 박상열과 수성못에 뛰어들었지만 김영신은 절반도 못 가 돌아왔다. 그런데 물에 들어간 지 한참이 되었는데도 박상열이 나올 생각을 않자 김영신은 큰일났다 싶어 숙소로 뛰어가 [[김성근]] 감독에게 이 사실을 보고했고 선수단은 발칵 뒤집혀 밤새도록 수성못 주변에서 박상열을 애타게 찾았지만 대답 없는 메아리일 뿐이었다. 동이 틀 무렵 더 이상 안되겠다 싶어 경찰에 신고하려던 차에 자기 방이 아닌 [[계형철]]의 방 침대 밑에 곯아떨어져 있던 박상열이 발견되었고, 화가 머리 끝까지 치민 김성근이 박상열을 2군으로 내려버리면서 박상열 수성못 익사사건(?)은 일단락 되었다.[* 그 와중에 외야수 [[윤동균]]은 최주억 수석코치에게 "대구에 사는 친척을 만나고 오겠다"며 대충 둘러대고 무단 외출을 했는데 이 사실도 들통나는 바람에 무려 110만원의 벌금을(...) 물어야 했다. 이 당시 110만원은 현재 가격으로 치면 대략 400만원 이상 정도의 거금이었다. 사실 윤동균 정도면 팀내 최고참이라서 어느 정도 넘어갈 수 있었지만 박상열 사건 이후 분위기가 워낙 살벌해서 최주억 코치도 해명을 못할 상황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듬해 김영신은... [[https://www.donga.com/news/Sports/article/all/20170710/85279274/1|기사]] * [[2013년]] [[9월 23일]] [[루리웹]]에 [[https://bbs.ruliweb.com/hobby/board/300110/read/18706601|자신의 넷째 삼촌이 김영신 선수라는 인증글]]이 올라왔는데, 사인볼이나 기념사진 등 야구박물관에 전시해도 될 엄청난 물건들이 주루룩 튀어나왔다.[* 기증하라는 댓글이 많지만, 작성자가 댓글로 아버지가 소중하게 간직하는 거라 힘들 거라고 말했다.] * [[KBO 영구 결번|KBO 리그 1호 영구 결번]]의 주인공이어서 영구 결번 지정자가 늘어나거나 영구 결번이 거론되는 선수가 나올 때 언론에 그의 이름이 등장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원주시 출신 인물]][[분류:1961년 출생]][[분류:1985년 데뷔]][[분류:1986년 사망]][[분류:대한민국의 자살한 인물]][[분류:자살한 야구 선수]][[분류:익사한 인물]][[분류:포수]][[분류:우투우타]][[분류:KBO 리그 영구 결번 선수]][[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분류:원클럽맨/야구]][[분류:병역특례자/야구]][[분류:동국대학교 출신]][[분류:동명이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분류:1984 LA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