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려의 문하시중)] ---- [include(틀:고려사)] ---- [목차] 金若溫 (1059 ~ 1140) == 개요 == 고려의 문신. 초명은 의문(義文)으로 동생 [[김의원(고려)|김의원]]과 이름자로 [[義]]를 공유한다. 자는 유승(柔勝). == 생애 == 출신은 [[광양시|광양현]]으로 문하시중 [[김양감]]과 서해군대부인 최씨의 아들로 태어난다. 과거에 급제한 뒤 상의국의 봉어를 지내다가 광주통판으로 부임한다. 임기를 마치고 개경으로 돌아온 뒤에는 중서사인에 임명되고 지상서도성사, 지서경유수사 호부상서 등을 역임한다. 예종 17년(1122)에는 합문사 지추밀원사, 참지정사를 역임한다. 왕이 바뀐 뒤 [[인종(고려)|인종]] 원년(1123) 중서시랑평장사에 오르고 이듬해 '검교사도 수사공 문하시랑평장사 상주국'에 오른다. 당시 김약온은 예종-인종대의 권신 [[이자겸]]과 사촌관계[* 이자겸의 모친 통의국대부인은 김약온의 고모였다.]였는데, 동생 김의원과 달리 사촌과 거리를 두며 서로 친하게 지내지 않는다. 이자겸파가 실각한 이후에 좌천된 동생과 달리 별다른 처벌은 없었을 것이다. 인종 17년(1139) 말 수태부 [[문하시중]] 판호·예부사에 오르고 은퇴하는데, 이듬해인 인종 18년(1140) 죽는다. 사후 사정(思靖)의 시호를 받는다. == 평가 == 성격은 공손하고(恭) 검소하며(儉) 청렴하고(廉) 조용했다(靜). 부귀했으나 교만하지 않았고 당대 사람들이 이익을 좇아 이자겸에게 아부하는 중에도 그를 멀리했으니 정도를 지켰다(守正)는 평을 듣는다. == 가족관계 == 김약온의 딸이 [[윤관]]의 4남 [[윤언이]]와 혼인해 7남 4녀를 둬 [[윤인첨]] 형제들에게는 외조부가 된다. * 부: [[김양감]] * '''본인: 김약온''' * 아들: 김선(金璇) * 딸: 광양군대부인(光陽郡大夫人) 김씨 * 사위: [[윤언이]](尹彦頤)[* [[파평 윤씨]]] [[분류:고려의 인물]][[분류:광양 김씨]][[분류:1059년 출생]][[분류:1140년 사망]][[분류:광양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