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 유니콘스 개막전 선발 투수)] ---- ||
'''김신부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br] [[파일:lgv1.png|width=auto&height=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1990년 한국시리즈|{{{#ffffff 1990}}}]]''' || ---- ||<-5>
'''{{{#ff9933 [[청보 핀토스|'''{{{#ff9933 청보 핀토스}}}''']]{{{/}}}[[태평양 돌핀스|'''{{{#ff9933 태평양 돌핀스}}}''']] 등번호 17번}}}''' || || [[정구왕]][br](1983~1985) || {{{+1 →}}} || '''{{{#ffffff 김신부[br](1986~1989)}}}''' || {{{+1 →}}} || [[이길환]][br](1990) || ||<-5> '''{{{#fff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11번}}}''' || || [[이길환]][br](1982~1989) || {{{+1 →}}} || '''{{{#ffffff 김신부[br](1990)}}}''' || {{{+1 →}}} || [[김일권]][br](1991)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 || ||<-2> '''{{{+2 김신부}}}[br]金信夫 | Kim Sin-Bu''' || || '''일본명''' ||金城信夫 (가네시로 노부오) || ||<|2> '''출생''' ||[[1963년]] [[7월 6일]] ([age(1963-07-06)]세) || ||[[일본]] [[효고현]] [[아마가사키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이치카와고 || || '''신체''' ||182cm, 75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1981년 드래프트 1라운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난카이]]) || || '''소속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난카이 호크스]] (1982~1985) [br] [[청보 핀토스]]-[[태평양 돌핀스]] (1986~1989) [br] [[LG 트윈스]] (1990)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 [[난카이 호크스]], [[청보 핀토스]], [[태평양 돌핀스]], [[LG 트윈스]]에서 뛰었던 [[재일교포]] 야구선수. 일본명은 가네시로 노부오(金城信夫). == 선수 경력 == [[효고현]] 이치카와 고등학교의 에이스로 1981년 [[난카이 호크스]]에 드래프트 1위로 입단했다.[* 입단동기가 현재 친정팀 감독인 [[후지모토 히로시(1963)|후지모토 히로시]].] 입단 당시 오버핸드였으나 부상으로 인해 점점 팔각도를 내리다가 언더핸드가 되었다. 부상과 실력 부족으로 커리어 내내 1군 승격 없이 2군에 있다가 결국 1985년 시즌 종료 후 호크스에서 방출되었다. 그 소식을 듣게 된 [[청보 핀토스]]는 김신부와 계약을 했다. 1986년 첫 해 40경기 233이닝 10승 10패(완투10 완봉3)로 쏠쏠하게 재미를 본 뒤,[* 이 때 가장 유명했던 경기가 [[7월 27일]] [[숭의야구장]]에서 열린 [[해태 타이거즈]]전에서 해태의 신인이였던 [[차동철]]과 무려 15이닝을 던졌던 무승부 경기다. '''KBO 리그 사상 최초로 0-0 무승부가 나온 경기다.'''] 다음해인 1987년 6승 11패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1988년 청보 핀토스를 태평양이 인수해 [[태평양 돌핀스]]로 팀명이 바뀌었고, 돌핀스에서는 9승 8패로 선전했다. 그러나 1989년에는 5승 5패로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 1989년 [[5월 24일]] 롯데전에서 김신부가 던진 공에 [[김재상(1959)|김재상]]이 맞았다. 이대로 끝났으면 좋았겠지만, 빈볼로 생각한 김재상은 곧장 김신부에게로 달려가 싸움을 일으켰다. 양팀 덕아웃에서 선수들이 나오며 몸싸움이 일어났는데, 결국 김신부, 김재상 둘에게 동시퇴장 선언으로 끝났다. 후일담에 의하면 김신부는 의도치 않았고 김재상은 참을 수 있었으나 미안한 기색이 없어서 벤치 클리어링을 일으켰다고 한다. [[1990년]]에 [[이길환]]과의 트레이드로 [[LG 트윈스]]로 이적했다. 참고로, 15이닝 무승부를 펼쳤을 때 상대팀 투수였던 [[차동철]]도 같이 넘어와서 이 해에 우승을 경험했다. 그러나 11경기 4.09 2승 2패 1세이브로 좋지 않은 성적을 남기고 재계약에 실패하며, 방출되었고 이대로 은퇴하였다. 그리고, 트레이드 됐던 [[이길환]]도 9경기 1승 7.54라는 성적을 남기고 방출되었다. == 연도별 성적 == ||<-15>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볼넷}}} || {{{#ffffff 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WHIP}}} || || 1986 ||<|2> [[청보 핀토스|청보]] || 40 || 233 || 10 || 10 || 0 || 0 || 3.21 || 220 || 12 || 57 || 21 || 89 || 1.19 || || 1987 || 27 || 113⅔ || 6 || 11 || 1 || 0 || 4.04 || 132 || 4 || 32 || 13 || 33 || 1.44 || || {{{#ff9933 연도}}} || {{{#ff9933 소속팀}}} || {{{#ff9933 경기수}}} || {{{#ff9933 이닝}}} || {{{#ff9933 승}}} || {{{#ff9933 패}}} || {{{#ff9933 세}}} || {{{#ff9933 홀}}} || {{{#ff9933 ERA}}} || {{{#ff9933 피안타}}} || {{{#ff9933 피홈런}}} || {{{#ff9933 볼넷}}} || {{{#ff9933 사구}}} || {{{#ff9933 탈삼진}}} || {{{#ff9933 WHIP}}} || || 1988 ||<|2> [[태평양 돌핀스|태평양]] || 29 || 123⅓ || 9 || 8 || 1 || 0 || 3.87 || 126 || 8 || 29 || 16 || 38 || 1.26 || || 1989 || 24 || 96 || 5 || 5 || 2 || 0 || 4.31 || 97 || 8 || 36 || 11 || 31 || 1.39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볼넷}}} || {{{#ffffff 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WHIP}}} || || 1990 || [[LG 트윈스|LG]] || 11 || 33 || 2 || 2 || 1 || 0 || 4.09 || 32 || 3 || 22 || 5 || 6 || 1.64 || ||<-2> '''[[KBO 리그|KBO]] 통산''' [br] (5시즌) || 131 || 599 || 32 || 36 || 5 || 0 || 3.73 || 607 || 35 || 176 || 66 || 197 || 1.31 || == 기타 == [[1986년]] [[4월 5일]] [[청보 핀토스]] vs [[빙그레 이글스]] 경기에서 8회초 [[빙그레 이글스]]의 타자 [[이강돈]]에게 2점자리 홈런을 맞았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그 홈런이 [[황정립|이강돈의 데뷔 첫]] [[김태연(1997)|안타였다.]] 그 당시 이강돈은 11타석에서 무안타를 기록하고 있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NPB)]]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1963년 출생]][[분류:1982년 데뷔]][[분류:1990년 은퇴]][[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은퇴, 이적]][[분류:삼미 슈퍼스타즈-청보 핀토스-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은퇴, 이적]][[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재일교포]][[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아마가사키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