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의열단)] [목차] == 개요 == || [[파일:mu.jpg|width=100%]] || [[파일:external/blogimg.ohmynews.com/1367220075.jpg|width=100%]] || || [[황옥경부폭탄사건]] 당시 [[황옥(1887)|황옥]]과 재판을 받는 모습. || 말년의 모습. || 金始顯 1883년 ~ 1966년 1월 3일 [[대한민국]]의 전 [[독립유공자|독립운동가]], [[정치인]]이다. 자는 구화(九和), 호는 하구(何求) 또는 학우(鶴右), 본관은 [[안동 김씨|안동]](신)(安東(新)). == 생애 == 1883년 [[경상도]] 안동부(현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현애리)[* [[안동 김씨]] 승의랑공파(承議郞公派) 집성촌이다.][[http://www.ksmnews.co.kr/default/index_view_page.php?idx=155062|#]]에서 태어났으며 [[일본]] [[메이지대학]] 법과를 졸업했다. [[3.1 운동]] 후 [[만주]]에서 [[의열단]]에 속하면서 독립 운동을 했다. [[김원봉]]과 동지로 활동하였다. 1920년 [[김규식]], [[여운형]] 등과 함께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혁명 단체 대표자 대회에 조선 대표로 참석하였다. 1923년 [[조선총독부]]에 폭탄을 투척하기 위해 국내에 폭탄을 반입하려다 [[경상북도]] 대구부(현 [[대구광역시]])에서 체포되어 대구 형무소에서 징역 12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하였다. 이후로도 독립 운동으로 인하여 일제에 의해 몇 차례 투옥되었다. 상하이 [[고려공산당]], [[조선공산당]]의 정치인이었다. [[중국]] [[베이징 시]]에서 투옥 중이던 1945년 [[8.15 광복]]을 맞았다. 광복 이후 귀국하여 고려동지회 [[회장]], 전보통신사 회장을 역임하다. 그리고 [[민주국민당]]에 입당하여 고문으로 있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경상북도 안동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2년 [[발췌 개헌]] 등 [[이승만]]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의 [[독재]] 정치에 반발하여 유시태와 함께 이승만 [[암살]]을 시도했으나, 유시태가 겨눈 권총이 불발하는 바람에 미수에 그치며 체포되어 사형 선고를 받았으나 이후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이승만 대통령 암살 미수 사건]] 참조. 이후 1960년 [[4.19 혁명]] 이후 석방되었다. 같은 해 치러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부인 또한 독립운동가로 유명한 [[권애라]] 지사다. [[유관순]] 열사 등과 함께 서대문 8호 감방에 수감됐었으며, 그 당시 불렀다는 '8호 감방의 노래'의 작사자로 추정된다. 1920년대 애국 강연으로 유명했고, 1922년에는 김규식 등과 함께 러시아에서 열린 극동인민대표대회에 한국여성대표로 참석한 적도 있다. 취조하는 형사의 뺨을 때렸다는 소리가 있을 정도로 강직했다고 한다. == 그 외 == * 영화 [[아나키스트#s-4]]의 주인공 상구([[김인권]] 扮), [[밀정]]의 주인공 김우진([[공유(배우)|공유]] 扮)의 모델이 된 인물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시현, version=51)] [[분류:1883년 출생]][[분류:1966년 사망]][[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의열단/단원]][[분류:제2대 국회의원]][[분류:제5대 민의원의원]][[분류:민주국민당 국회의원]][[분류:안동시 출신 인물]][[분류:안동 김씨(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