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건국훈장 애족장]][[분류:봉화군 출신 인물]][[분류:1907년 출생]][[분류:1935년 사망]] || 성명 ||김승한(金承漢) || || 생몰 ||[[1907년]] [[12월 19일]][* [[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1549&evntId=0034985077&evntdowngbn=Y&indpnId=0000016552&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판결문]]에는 12월 10일생으로 기재되어 있다.] ~ [[1935년]] [[6월 9일]] || || [[출생지]] ||[[경상북도]] [[봉화군]] 와단면 소로리[br](현 경상북도 봉화군 [[법전면]] 소로리) || || 추서 ||건국훈장 애족장 || [목차]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김승한은 1907년 12월 19일 경상북도 봉화군 와단면(현 법전면) 소로리에서 태어났다. 이후 [[대구광역시|대구부]]로 이주하여 동운정(현 [[동인동]])에 거주하였다. [[경북고등학교|대구고등보통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이던 1928년 2월 26일, 대구부 남산동 소재 백대윤(白大潤)의 집에서 윤장혁(尹章赫)·상술상(尙戌祥) 등과 같이 조선 독립운동의 방안을 모색하다가 신우동맹(新友同盟)을 비밀리에 조직하였다. 그리하여 약소민족의 해방과 일제 타도를 내세우며 각 학급별로 조직을 확대하던 중 1928년 6월 11일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그는 이 일로 인해 퇴학처분을 받았으며, 1929년 8월 7일 대구지검의 예심에서 공판에 회부되었고[[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638&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39711&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 10월 21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1년형(미결 구류일수 중 50일 본형에 산입)[* 법정 미결구류 통산일수 139일.] 집행유예 4년을 언도받았으나[[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922&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22674&actionType=det&flag=3&search_region=|#]] 검사의 공소로 2차례의 구류갱신이 이뤄졌으며[[http://theme.archives.go.kr/next/indy/listkeywordSearch.do?page=1&listSize=10&flag=3&actionFlag=det&keyword=%ea%b9%80%ec%8a%b9%ed%95%9c&reKeyword=&owner=&organ=&sdate=19040101&edate=19451231&oldAddress=&momentDates=&sort=0&names=&crime=&depth11=&depth12=&ivl_cases=&retIvlRegion=&search_region=|#]], 1930년 3월 11일 대구복심법원 형사부에서 검사의 공소 이유 없음으로 기각되어 출옥하였다.[[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1549&evntId=0034985077&evntdowngbn=Y&indpnId=0000016552&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4957&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20395&actionType=det&flag=3&search_region=|#2]] 출옥 후 옥고의 여독으로 고통받다가 1935년 6월 9일 별세하였다. 1990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