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 진보진영 관련 문서)] [include(틀:카를 마르크스)] [[파일:external/www.hongaram.com/%EA%B9%80%EC%88%98%ED%96%89_%EA%B5%90%EC%88%98.jpg]] [[1942년]] 10월 24일 - [[2015년]] 7월 31일. [youtube(xmtMDma1o0I)] (김수행 교수의 [[자본론]] 강의 영상)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특히 국내의 대표적인 [[마르크스경제학]] 학자 중 한 명. == 상세 == 일본 [[후쿠오카시]]에서 태어나 [[대구상원고등학교|대구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사]],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에서 조교를 하던 중 평소 친분이 있던 2년 선배 [[신영복]]이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잡혀가자 이에 연루되어[* 본인 회고에 따르면 평소에 마르크스 경제학을 공부하기 위해 일본어판을 봤었는데, 어느날 신영복으로부터 한글로 된 [[레닌]]의 책을 빌려보게 되었다고 한다. 도대체 어디서 구한거냐고 물어보니 북한에서 번역된건데 [[육군사관학교]]에 아주 많다고 했다고.(...) 당시 신영복은 육군사관학교에서 경제학 교관을 맡고 있었다.] 조사받은 후 기소유예를 받았다. 이후 조교를 그만 두고 [[한국외환은행]]에 취직하여 외환은행 조사부에서 영국 런던 지점으로 파견되어 근무하다가 은행을 그만두고[* 본인의 회고에 따르면 처음 간 런던의 서점에서 마르크스의 자본론이 아무렇지도 않게 판매대에서 팔리고 있는걸 보았다고 한다. 마르크스 레닌주의 관련 서적을 읽은 것만으로도 조사받던 당시 대한민국의 현실과 비교해보고 감명을 받았다고.] [[런던 대학교 그룹]][* [[런던 정치경제 대학교]]나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을 비롯한 런던 소재 대학들을 포괄한 연합체다. 어지간한 런던 소재 대학교들은 대부분 이에 속한다고 보면 되며,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도 2007년까진 여기에 속해있었다.][* 그 중에서도 [[버크벡 런던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김수행은 당시 버크벡에는 영국의 좌파들이 모여있었다고 회상했다.] [[대학원]]에 진학, 마르크스경제학을 전공하여 [[박사]] 학위까지 취득하고 귀국하였다. [[파일:external/poweroftruth.net/1378860641.gif]] 한국에서 민주화가 이루어진 후 1989년에 '''최초로 [[자본론]]을 완역했다.''' 그의 가장 주요한 업적 중 하나. 본인이 영국에서 수학하기도 했고, 독어 전공자가 아니므로 자본론의 영문판을 번역했다.[* 영문판 중에서도 펭귄 클래식 판] 엄밀히 말하면 중역이므로 한계는 있으나, 마르크스와 엥겔스가 영국에 오래 거주하기도 했고 본인들이 살아생전에 직접 영문판에 신경을 쓰긴 했다. 사실 그보다 더 많이 비판받는건 김수행 교수 특유의 해석이 들어갔다는 점.[* 자본의 유기적 구성과 관련해서, 김수행 교수의 대학원 시절 지도교수의 독특한(=마르크스경제학계에서도 주류가 아닌) 주장을 그대로 반영한 듯한 번역이 있다. 버크벡 대학교 재학 시절 논문 심사위원은 벤 파인이었는데, 그로부터 영향받은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르크스 경제학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전문가가 번역한 만큼 좋은 번역본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그 외에 [[국부론]] 등도 번역했다. 귀국 이후 [[한신대학교]]에서 재직하였다가 학내분규의 결과로 1987년에 해임되었다. 해임 이후 시간이 생기면서 자본론 번역에 집중하게 된다. 이후 1989년에 민주화의 영향으로 [[http://vantil.egloos.com/1487793|서울대학교 경제학과 대학원생들이 수업 거부와 농성을 벌이며 경제학과 교수들에게 마르크스경제학 전공 교수 임용을 요구]]하면서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당시에는 경제학과였다. 1995년에 국제경제학과와 통합하여 경제학부가 되었다.] [[교수]]로 자리를 옮겨 '정치경제학입문', '마르크스경제학', '현대마르크스경제학'의 세 강의를 열었다. [[2015년]]에도 서울대학교 경제학부의 마르크스경제학 관련 강의는 이 세 개 뿐이다. [[2008년]]에 서울대학교 교수에서 정년퇴임하였다. 당시 퇴임을 앞둔 김수행 교수는 자신의 후임으로 마르크스경제학 전공자를 선임할 것을 공개적으로 요청했지만, 경제학부 교수회의는 교수모집 공고를 내면서 지원자격을 '경제학 일반'으로 발표하였고 결국 마르크스경제학 전공자가 임용되지는 않았다. 이에 일부 서울대 학생들이 반발하기도 했다. 김수행 교수가 서울대를 떠난 후 서울대의 마르크스경제학 관련 강의는 시간강사들이 담당하고 있다. 퇴임 후에는 진보 학풍이 강한 것으로 유명한 [[성공회대학교]]에서 석좌교수를 역임하였다. 2015년 7월, [[미국]]에 있는 아들을 방문하러 갔다가 [[심장마비]]로 타계하였다. 제자로 김공회 경상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류동민 충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양우진 한신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조복현 한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안현효 대구대학교 사회교육과 교수, 박도영 한국교원대학교 일반사회교육과 교수, [[강신욱(1966)|강신욱]] 통계청장, 신정완 경북대학교 경제통상학부 교수, 신현준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교수, 장시복 목포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정상준 목포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최정규(경제학자)|최정규]] 경북대학교 경제통상학부 교수 등이 있다. == 저서 == * 역서 * [[자본론]](비봉출판사) * [[국부론]](비봉출판사) * 청소년을 위한 자본론(두리미디어) * 청소년을 위한 국부론(두리미디어) * 자본론 공부(돌베개) [[분류:한국의 경제학자]][[분류:대한민국의 철학자]][[분류:후쿠오카시 출신 인물]][[분류:1942년 출생]][[분류:2015년 사망]][[분류:상경계 교수]][[분류:대구상원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버크벡 런던 대학교 출신]][[분류:심장마비로 죽은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