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체신부장관)] ---- [include(틀: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국방무관)]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764 0%, #003764 20%, #003764 80%, #003764)"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ffffff 대한민국 제6대 과학기술처 장관}}}]][br]{{{#ffffff {{{+1 김성진}}}[br]金聖鎭 | Kim Sung-jin}}}'''}}}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image/038/2005/02/13/angellove200502131912480.jpg|width=100%]]}}} || ||<|2> '''출생''' ||[[1931년]] [[11월 18일]] || ||[[경기도]] [[인천부]][br](現 [[인천광역시]]) || || '''사망''' ||[[2005년]] [[2월 11일]] (향년 73세) || ||<|4> '''재임기간''' ||제33대 체신부 장관 || ||[[1983년]] [[10월 15일]] ~ [[1985년]] [[2월 18일]] || ||제6대 과학기술처 장관 || ||[[1985년]] [[2월 19일]] ~ [[1986년]] [[1월 7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일리노이 대학교]] {{{-2 (물리학 / 박사)}}}[br][[플로리다 대학교]] {{{-2 (기계공학 / 박사)}}} || || '''경력''' ||[[국가안전기획부]] 기획조정실장[br][[국가안전기획부]] 제1차장[br][[국가안전기획부]] 제2차장[br][[국방과학연구소]] 소장[br]한국과학재단 이사장[br]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한국전산원]] 원장[br][[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장 || ||<-2> '''군사 경력''' || || '''임관''' ||[[육군사관학교]] {{{-2 (11기)}}} || ||<|2> '''복무''' ||대한민국 육군 || ||[[1955년]] ~ [[1980년]] || || '''최종 계급''' ||[[준장]] {{{-2 (대한민국 육군)}}} || || '''주요 보직''' ||[[육군사관학교]] [[교수사관|교관]][br][[국방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br][[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국방무관]]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군인]], [[정치인]]. == 생애 == 1931년 [[경기도]] 인천부(現 [[인천광역시]])에서 태어났다. [[인천중학교]][* 훗날 [[인천중학교]]와 [[제물포고등학교]]로 분리된다.]와 [[육군사관학교]](제11기)를 졸업하고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물리학]] [[박사]], [[플로리다 대학교]]에서 기계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육군사관학교 졸업성적은 156명 중 '''수석'''.[* 김복동: 13등, 권익현: 55등, 이기백: 59등, 노태우: 67등, 손영길: 81등, 정호용: 86등, 전두환: 126등] 공부를 엄청나게 잘했다. 육군사관학교 [[교수]]를 지내다가 육군 [[준장]]으로 예편하였다. 육군사관학교 입학, 재학, 졸업을 모두 수석으로 일관하였으며 생도 때부터 [[수학]] 천재로 유명하였다. 한편 [[전두환]], [[노태우]], [[김복동]], [[손영길]], [[정호용]] 등과 달리 [[하나회]]에는 가입하지 않았다. 1959년부터는 [[육군사관학교]] 교관으로 근무하였다. 이후 1970년대에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책임연구원으로 근무하였으며, 1973년부터 미국대사관 국방무관으로 근무하였다. 1976년 미국대사관 국방무관직을 사임하고, 다시 국방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활동하였다. 1980년 육군 준장으로 예편한 후, 국가안전기획부 기획조정실장을 거쳐 제1차장, 제2차장 및 국방과학연구소장직을 맡았다.[[http://kor.theasian.asia/archives/142543|박근혜 개혁엔 적재적소 인재가 필수···전두환 육사11기 동기 김성진 발탁 ‘반면교사’]] 1980년 9월 준장으로 전역 후 [[중앙정보부]] 제1차장이 되었으며, 이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체신부 장관]]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과학기술처 장관]]을 지냈다. 장관 재임 당시 정보화 사회에 대비한 통신 발전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국가 기간 전산망 사업을 추진하였다. 장관직 퇴임 이후 1987년부터 [[스웨덴]] 공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활동하였으며, 1988년 국회 행정개혁위원회 경제과학 분과위원장으로 임명되어 활동하기도 했다. 1991년에는 대통령 직속 자문기관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장직을 수행하였고, 1992년에는 한국전산원 이사장에 임명되었다. 이후 2005년 2월 향년 73세의 나이로 사망였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제5공화국의 국무위원)] == 관련 문서 == * [[대한민국 국군/인물]] * [[정치인/목록]] * [[과학사 관련 정보]]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성진, version=14)] [[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인천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31년 출생]][[분류:2005년 사망]][[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전두환 정부/인사]][[분류:체신부 장관]][[분류:과학기술처 장관]][[분류:군인 출신 정치인]][[분류:학자 출신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