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전라북도|{{{#cfa547 전북}}}]] [[전주시 병|{{{#cfa547 전주시 병}}}]])'''}}} || || 제20대[br][[정동영]] || → || '''제21대[br]김성주''' || → || ''현직'' || ----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전라북도)]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전라북도|{{{#cfa547 전북}}}]] [[전주시 병|{{{#cfa547 전주시 덕진구}}}]])'''}}} || || 제18대[br][[정동영]] || → || '''제19대[br]김성주''' || → || ''선거구 개편''[br][[김광수(1958)|김광수]][* [[전주시 갑]] 선거구의 [[제20대 국회의원]] 이다.][br][[정동영]][* [[전주시 병]] 선거구의 [[제20대 국회의원]] 이다.]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EA2 0%, #004EA2 20%, #004EA2 80%, #004EA2)" '''{{{#ffffff 대한민국 제19·21대 국회의원}}}[br]{{{#ffffff {{{+1 김성주}}}[br] 金成柱 | Kim Sungju}}}'''}}}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성주(1964).jpg|width=100%]]}}} || ||<|2> {{{#ffffff '''출생'''}}} ||[[1964년]] [[4월 10일]] ([age(1964-04-10)]세)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 || {{{#ffffff '''거주지'''}}}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진북동]] 우성아파트[br][[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s-4.2.8|영등포동8가]][br]당산역리버리치오피스텔 || || {{{#ffffff '''본관'''}}} ||[[연안 김씨]][* 재령군수공파-임남 종중-금동 문중 27세 주(柱) 항렬.] || || {{{#ffffff '''현직'''}}} ||[[제21대 국회의원]][br][[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br][[더불어민주당]] [[전주시 병]] 지역위원장 || ||<|2> {{{#ffffff '''재임기간'''}}} ||제16대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 ||[[2017년]] [[11월 7일]] ~ [[2019년]] [[12월 30일]] || || {{{#ffffff '''링크'''}}} ||[[https://blog.naver.com/PostList.nhn?blogId=ksjwithjj|[[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sungju88/|[[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m.youtube.com/channel/UCGpZu1C05xY8BJZiu7YmIR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imsungju, 크기=20)] | [[https://www.facebook.com/kimsungju21|[[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threads.net/@sungju88|[[파일:Threads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fffff '''가족'''}}} ||[[아버지]] 김창영[* [[2022년]] [[8월 22일]] [[별세]].], [[어머니]] 안정혜[* [[2022년]] [[3월 14일]] [[별세]].], 부인 및 슬하 2녀 || || {{{#ffffff '''학력'''}}} ||[[전주풍남초등학교|전주풍남국민학교]] {{{-2 ([[졸업]])}}}[br] [[전라중학교]] {{{-2 (졸업)}}}[br][[전주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학부/인문대학|서울대학교 인문대학]] {{{-2 (국사학 / [[학사]])}}} || || {{{#ffffff '''병역'''}}} ||[[보충역]] 및 소집면제{{{-2 (수형)}}} || || {{{#ffffff '''신체'''}}} ||170cm[* [[전주시 병]] 국회의원 선거에서 2번 경쟁한 [[정동영]]하고 같이 서 있는 모습을 볼 때 비슷하거나 살짝 커보였다. 참고로 정동영 키는 168cm 이다.] || || {{{#ffffff '''종교'''}}} ||[[천주교]] {{{-2 ([[세례명]]: 마카리오)}}} || || {{{#ffffff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ffffff '''지역구'''}}} ||[[전라북도|전북]] [[전주시 병]] || || {{{#ffffff '''의원 선수'''}}} ||'''2''' || || {{{#ffffff '''의원 대수'''}}} ||'''[[제19대 국회의원|19]], [[제21대 국회의원|21]]''' || || {{{#ffffff '''소속 위원회'''}}} ||[[정무위원회]] || || {{{#ffffff '''경력'''}}} ||한누리컴퓨터 CEO[br]공공의료 정상화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위원[br][[새정치국민회의]] [[정동영]] 국회의원 정책보좌역[br]제8·9대 [[전라북도의회]] 의원 {{{-2 (민선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4]]-[[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5]]기 / [[열린우리당]]·[[민주당(2008년)|민주당]])}}}[br]시민행동21 자문위원[br][[전북테크노파크]] 이사[br][[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노무현재단]] 전북위원회 사무처장 및 자문위원[br][[제19대 국회의원]] {{{-2 (전북 전주시 덕진구 / [[민주통합당]])}}}[br][[전주대학교]] 겸임교수[br][[제19대 국회]] 후반기 [[보건복지위원회]] 간사[br]제19대 국회 후반기 공적연금 강화와 노후빈곤 해소를 위한 특별위원회 간사[br][[새정치민주연합]]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br][[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br][[더불어민주당]] 총선정책공약단 부단장[br][[국정기획자문위원회]] 전문위원 단장[br][[더불어민주당]] [[민주연구원]] 부원장[br]제16대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2 ([[문재인 정부]])}}}[br][[제21대 국회의원]] {{{-2 ([[전주시 병|전북 전주시 병]] / [[더불어민주당]])}}}[br][[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제6정책조정위원장[br][[제21대 국회]] 전반기 [[보건복지위원회]] 간사[br][[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 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기업인 출신 [[정치인]]. [[19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지역구는 [[전라북도]] [[전주시]] [[전주시 병]] [[선거구]]다. [[종교]]는 [[가톨릭]]으로 [[세례명]]은 마카리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도 같은 전주시 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낙선. 이후 [[나주시·화순군]] 선거구에서 [[제19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신정훈]] 전 의원과 함께 더불어민주당 호남특별보좌역을 맡았다. 2017년 [[문재인 정부]] 출범 후에는 사실상의 인수위원회 역할을 한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전문위원단장에 임명되어 국정5개년계획을 만드는데 참여했다. 2017년 11월부터 2020년 1월까지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을 지냈으며,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주시 병|같은 선거구]]에 출마해 당선, 재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 생애 == === 학창 시절 ~ 정계 입문 전 === [[1964년]] [[4월 10일]],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고등학교]] 교사 출신의 아버지 김창영(金昌泳)과 어머니 [[순흥 안씨]] 안정혜(安正惠)[* 안승정(安承貞)의 딸이다.] 사이의 3남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후 [[전주풍남초등학교]], [[전라중학교]], [[전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어렸을 때부터 삼국지를 읽고 역사에 매력을 느껴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에 진학했다. 학창 시절 민주화 운동으로 두 번 투옥된 경력이 있다.[* 흥미롭게도 같은 선거구에서 국회의원을 지냈던 [[정동영]]과는 전주고등학교-서울대 국사학과 직속 선후배 관계이기도 하다.] 이 당시에 그를 변호해줬던 인권변호사가 [[박원순]] 전 서울특별시장이다. 1988년 대학 졸업 후 고향 전주로 돌아와 형제들과 컴퓨터 소프트웨어 관련 회사인 한누리컴퓨터(현재 한누리넷)를 설립하여 청년사업가로 성공한 이력이 있다. 이 때문에 농담삼아 '전주의 빌 게이츠'라 자칭한다고 한다. === 선거 도전 ===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전주시의원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이어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전라북도 도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후보 경선에서 탈락하였다. 이후 삼수 끝에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전라북도 도의원으로 당선되었고,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재선에 성공하였다. 도의원 초선 때 환경복지위원회 간사를 맡았고 재선 때는 환경복지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는 등 줄곧 복지위원회에서 일했다. 2009년~11년까지 [[전주대학교]]에서 겸임[[교수]]로 강의를 하기도 했다. 2000년부터 전주의 시민운동단체인 시민행동21을 결성하는 데 참여했다. 도의원 재직 도중 2012년 중도 사퇴한 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 도전하여 [[민주통합당]] 후보로 최종 공천되었고,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선거구에서 당선되었다. 19대 국회 때 4년 내내 보건복지위원회에서 활동했고,초선으로는 드물게 간사를 맡기도 했다. 당직으로는 [[새정치민주연합]] 정책위원회의 수석부의장도 맡았다. 21대 국회에서 다시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간사를 맡고 있다. 시의원부터 도전해 실패를 딛고 밑바닥에서부터 올라온 드문 정치인이다.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정동영]] 후보에 밀려 단 0.76%p, 989표 차로 패배하였다. 재밌는 건 전주 지역 2위 후보들 중 최다 표차로 낙선했는데, 전주 자체가 초접전 헬게이트 수준이었어서 그렇지 전국적으로 보면 석패. 비록 이번 선거에서 낙선했지만 김성주 후보 본인의 경쟁력이 상당했다.[* 덕진공원 수질개선 사업 예산 337억 원을 확보했다.] 탄소섬유연구단지 최종 확정에도 지역 의원들과 힘을 모으는데 힘썼으며, 국민연금공단 일괄 이전을 더민주의 당론으로 만든 주역이라는 점도 어필이 된 듯하다. 김성주 의원은 당초 국민의당 예비후보였던 [[김근식]] 후보와의 가상대결에서 46.9%의 지지율로 16.3%에 그친 김근식 후보에게 30.6%p 우세했다. 김근식 후보가 가진 [[안철수]] 1호 영입인사라는 상징성을 고려하면 상당한 격차다. [[http://www.sisaweek.com/news/articleView.html?idxno=64293|중앙일보 여론조사]] ==== 낙선 ==== 낙선 원인의 가장 큰 이유는 당시 '호남 정치 복원', '국민의당' 열풍이 부는 가운데 당시 상대가 부총리급 통일부 장관을 지냈고 덕진구에서만 3선을 한 데다 17대 대선후보 등의 타이틀을 보유한 거물 정치인인 '''[[정동영]]'''이었기 때문. 게다가 [[안방 챔피언|전주에서는 단 한 번도 진 적이 없던 후보]]였다.[* 이 기록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김성주 본인이 깬다.] 탄소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찍은 도시가 전주와 전라북도였는데, 전북 지역 의원들이 '탄소소재 융복합 기술개발 및 기반조성에 관한 법률 제정을 발의해 전주의 탄소섬유산업 주도권 보장을 요구했다. 이에 박근혜 정부에서는 특정 지역을 위한 법은 WTO 위반과 지역불평등 때문에 안 된다고 반대했지만, 김성주 의원이 영남 지역을 위한 특정 지역 발전법들[* [[한국토지주택공사]] 본사 진주 이전, 영남권 신공항,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등]을 근거로 반박했다. 그러면서 새누리당과 청와대에서 통과시키려는 원샷법을 탄소법과 동시에 심의하는 걸 제안하고는 오전에 탄소법을 산자위에서 심의해서 통과시킨 다음, 오후에 심의하는 원샷법을 통과시키지 않았다. 청와대에서는 '심의=통과'로 받아들였기에 분노가 극에 달했고[* 청와대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김성주 의원에 대한 불만을 성토할 정도였다고.], 새누리당에서는 최종 단계에서 서비스 발전 법안을 세트로 묶어 통과시키지 않으면 탄소법 통과를 막을 거라 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여당이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정당별 결과/새누리당|망했어요]].[* 더군다나 전북에서 새누리당 소속의 [[정운천]] 의원이 당선되는 바람에 의도찮은 볼모를 잡혀버리고 말았다.] 게다가 총선 직후에는 당내에서 친한 [[우상호]] 원내대표, 같은 전북 출신으로 [[고창군]] 태생인 [[홍영표]] 산자위 간사에게 '''"훗날을 도모하려면 이번 19대 국회에서 반드시 탄소법을 통과시켜야 한다.", "수십년 동안 우리를 지지해 준 사람들인데, 이번 한 번 때문에 우리가 바뀌는 건 도리가 아니다."'''라고 피력해서 민주당에서 탄소법보다 더 먼저 통과시키려고 하는 법안 대신 탄소법을 먼저 통과시켰다. (탄소법은 20대 국회 임기 종료 직전인 2020년 4월 30일에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다.) 한편 덕진여성문화교육센터에서 마지막 의정보고회를 마친 뒤 국회의원직에서 물러났다. ===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 2017년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인수위원회 역할을 한 국정기획자문위원회에서 전문위원 단장으로 활동하면서 문재인 정부 국정 5개년 계획을 만드는 데 참여하고 [[2017년]] [[11월 7일]]부로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에 취임했다. 역대 [[국민연금공단]] 이사장들은 학자나 행정관료 출신이 대다수였고 정치인 출신으로는 첫 번째 이사장이라 할 수 있다. 김성주는 [[19대 국회]]에서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주로 연금관련 법안을 내고 공무원연금개혁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등 민주당내 대표적 연금복지 전문가이다. "공무원연금개혁의 중재자 김성주의원"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5031615111168355|관련 기사]] [[자유한국당]]과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등 야당은 김성주를 놓고 [[낙하산 인사]]로 비판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421&aid=0003076033|관련 기사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2&aid=0002045508|관련 기사2]] 반면 국민연금공단 노동조합은 '이사장 선임을 환영하는 성명'을 낸 바 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국민연금지부는 “김 이사장이 19대 국회에서 보여준 국민연금에 대한 입장과 활동을 높이 평가한다”면서 이사장 임명에 환영 입장을 밝혔다. [[https://www.ajunews.com/view/20171108234803452|관련 기사]] [[국민연금기금운용본부]]는 2018년도에 미중 무역분쟁 등 여파로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일본 국민연금(GPIF)가 -7.7% 등 세계 5대 연기금들이 마이너스 2~7%대 손실을 본 것과 비교하면 국민연금은 -0.9%로 다른 연기금에 비해 선방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2019년 국민연금은 창립 이래 최고의 수익률인 11.3%, 수익금 73조원을 올리게 된다. 국민연금기금운용본부가 만성동으로 이전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약 100조원의 기금 운용수익금을 올림으로써 지방이전에 따른 우려를 말끔히 씻어냈다고 할 수 있다. [[2019년]] [[12월 30일]], [[국민연금공단]] 종무식서 [[21대 총선]] 출마를 위해 이사장 임기를 남기고 중도 사임 의사를 밝혔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32&aid=0002983890|관련 기사]] === 21대 총선 출마 === 2019년 12월 30일 [[21대 총선]] 출마를 위하여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임기를 남기고 중도 사임하였다. 이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로 등록해 출마하였다. 선거 기간에 상대후보인 [[정동영]] 의원측은 김성주의원에 대한 여러 의혹을 제기하고 파생 공세를 펼치고 고발까지 했으나 전주지검은 '혐의없음' 결정을 내렸다. [[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13033|#]] 선거 당일, 66.65%의 득표율로 정동영 후보를 54,017표(34.61%P)차로 누르며 4년 만의 리턴매치에서 승리, 재선에 성공하여 복수에 제대로 성공했다. 김성주 당선인은 당선된 후 "저를 선택해준 전주 시민들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며 "국민만 바라보면서 앞으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당선 소감을 밝혔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0041523167624849|#]] == 의정활동 및 상훈 등 == * '前 전라북도의회 환경복지위원장' * 검역법, [[의료법]] 및 [[보건의료정책]]에 관한 법률 대표 발의 * 장기기증 문화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의정활동 * 전주 덕진구 8+5 지역 발전 공약 수행 * 국민연금공단 본사 전라북도 전주 유치의 마무리 작업을 주도함 * 국민연금공단기금운용본부 전주 유치 성공[* 다만, 이 부분은 정부에서 연기금을 독립 법인화하는 시도가 있으므로 완전히 이전할 때까지는 속단할 수 없다. 그렇지만 [[20대 총선]]에서의 야권 승리&정운천 의원의 당선, 김성주 의원의 지도부 설득 등이 시너지를 일으키면서 일괄 이전에 성공했다.] * 전라북도 도의회 환경복지위원장 역임 * 전라북도 도의원 재직중 동료의원들이 선정한 '일 잘하는 의원 상賞' 수상 * 국회의원 '의정활동 우수의원상' * '국회 바른언어상' 수상 * '19대 국회 4년 연속 국정감사 우수의원상 수상' * '19대 전반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 * '19대 후반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간사' * '2016년 국회 의정활동 우수의원 선정' * '대학생들이 선정한 차세대 리더 33인 선정' * '2016년 유권자 대상 수상' [[http://www.todayan.com/news/articleView.html?idxno=121754|#]] *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실 호남특별보좌역 * 2017년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전문위원단장 * 2020년 12월 17일, [[코로나19]] 백신은 부러울 것이 아니라며 [[K-방역]]을 공격하는 [[국민의힘]]은 국민들을 이간질하고 있다고 발언하였다. [[https://www.yna.co.kr/view/AKR20201217054500001?input=1195m|#]] * 2021년 2월 21일, 수술실 CCTV법 통과가 지연되는 것을 보고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대한민국 국회|국회]]의 [[배임]]행위라고 비판한 것에 대해 “나는 수술실 시시티브이 설치에 찬성한다. 유령수술이나 대리수술로 인한 환자의 안전을 보호하고 수술 중 의료사고로 인한 책임소재를 규명하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본다”면서도 “여당 간사 입장에서는 당장 처리하고 싶었으나 야당의 신중론이 있었기 때문에 더 시간을 두고 심의하기로 한 것”이라고 덧붙였다.''[[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983845.html|#]] * 2023년 3월 27일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에 임명되었다.[[http://v.daum.net/v/20230327104313234|#]] == [[/논란 및 사건사고|논란 및 사건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성주(1964)/논란 및 사건사고)] == 여담 == * 35세에 아무런 준비 없이 시의원 선거에 출마하였다가 낙선, 도의원 선거에 나섰다가 후보 경선에서 탈락, 3수 끝에 전라북도 도의회에 입성한뒤 재선 도의원을 거쳐 국회의원이 된다. * [[정동영]] 전 의원의 국회의원 시절 지역구인 [[전주시]] [[덕진구]] 선거구에서 19대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공교롭게도 [[정동영]] 전 의원과는 고등학교, 대학, 대학의 학과(서울대학교 국사학과) 선후배 관계이자 [[정동영]]의 정계입문 당시 정책보좌 역할을 한 바 있었다. [[정동영]] 전 의원이 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주시]] [[덕진구]] 선거구에 출마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고, 그것이 실제로 일어나게 되었다. 덕분에 전주 병([[덕진구]]) 선거구가 전국적으로 주목받는 지역이 되었다. 그 결과 정동영에 밀려 989표 차이로 낙선했다. * [[정동영]]과는 인연이자 악연이란 평이 자자하다. 2009년 재보궐선거를 계기로 [[정동영]]과 김성주, [[채수찬]][* 채수찬 전 의원 역시 전주고등학교 - 서울대학교 출신이다. 전주시 덕진구 선거구가 전라북도 정계 입문의 엘리트 코스로 불리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은 멀어지게 된다. * 초선의원임에도 이례적으로 [[대한민국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간사를 맡았다.[* 19대 국회 때 같은 상임위 위원장은 [[김춘진]]이었다. 김춘진 의원은 치과의사 출신으로 김대중 대통령 치과주치의 등을 역임하였다.] 국회 상임위 간사는 재선 의원이 맡는 것이 관례임에도 의정활동 능력을 인정받은 것으로 보기에 충분하다. * [[아나운서]] 출신 방송인 [[김성주]]와는 [[동명이인]]이며, 아나운서 김성주의 누나는 [[조선일보]] [[김윤덕(1970)|김윤덕 기자]]이다. 공교롭게도 현직 19대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 중에도 동명이인인 [[김윤덕(1966)|김윤덕]](1966년생) 의원이 있다. 그리고 김성주, 김윤덕 의원 모두 전주를 지역구로 두고 있다(김윤덕 의원은 전라북도 [[전주시 갑]] 선거구) * 민주화운동 시위 도중 '''군화발에 척추를 크게 다친 적이 있다.''' 그 때문에 평상시 거동과 생활은 가능하나, 허리를 굽히는 것이 매우 어렵다고... * [[http://www.ikorea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3964|그 때문에 아나운서 김성주의 '형'이 김윤덕 국회의원이라 잘못 보도되기도 했다. 김성주 아나운서엔 '누나'가 있다. (조선일보 김윤덕 기자인데, 둘이 완전히 판박이)]] * 20대 총선 당시 [[오로나민C]]광고에 삽입된 CM송을 패러디한 노래를 사용하였고, [[님과 함께]]를 개사한 노래를 사용하기도 했다. * 2023년 [[윤상현(정치인)|윤상현]], [[김민석(1964)|김민석]], [[서삼석]], [[김희곤]]과 함께 [[국회 솔버톤]]을 공동 주최하였다.[* [[국회사무처]]가 후원이며, [[헤럴드#s-3.2|헤럴드경제]], [[헤럴드#s-3.1|코리아헤럴드]]와 [[디베이트코리아]]가 공동주관이다] 주제는 기후 위기 및 환경 변화이며, 국내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1998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전북 전주 우아2동 || [include(틀:무소속)][*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까지는 기초의원에 대해 정당 공천을 하지 않았다.] || 1,387 (47.84%) || 낙선 (2위) || || || 2006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전북 전주 5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3,436 (51.26%)''' ||<|3> '''당선 (1위)''' || '''초선''' || || 201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전북 전주 8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17,278 (58.75%)''' || '''재선'''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전북 전주 덕진 || [include(틀:민주통합당)] || '''64,744 (62.52%)''' || '''초선'''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 전북 [[전주시 병|전주 병]]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60,673 (46.96%) || 낙선 (2위) ||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104,039 (66.65%)''' || '''당선 (1위)''' || '''재선''' || || {{{#fff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성주1.jpg|width=100%]]}}} || ||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fff 2회 지선}}}]] [[전주시|{{{#000,#fff (전북 전주시 우아2동 선거구)}}}]]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fff 4회 지선}}}]] [[전주시|{{{#000,#fff (전북 전주시 제5선거구)}}}]]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성주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성주3.jpg|width=100%]]}}}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fff 5회 지선}}}]] [[전주시|{{{#000,#fff (전북 전주시 제8선거구)}}}]]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19대 총선}}}]] [[전주시 병|{{{#000,#fff (전북 전주시 덕진구)}}}]]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김성주4.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성주5.jpg|width=100%]]}}}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20대 총선}}}]] [[전주시 병|{{{#000,#fff (전북 전주시 병)}}}]]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000,#fff 21대 총선}}}]] [[전주시 병|{{{#000,#fff (전북 전주시 병)}}}]] ||}}}}}}}}} ||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1996 - 1998 || 정계 입문[* 당시 [[정동영]] 국회의원 정책보좌역으로 입당하였다.] || || [include(틀:무소속)] || 1998 - 2002 || 탈당[* 당시 기초의회의원은 정당 무공천으로 전주시의원에 출마를 위해 탈당하였다.]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2 - 2003 || 복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3 || 탈당[* [[열린우리당]] 창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3 - 2007 || 창당 || || [include(틀:대통합민주신당)] || 2007 - 2008 || 합당[*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008 || 합당[* [[민주당(2007년)|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2008 - 2011 || 당명 변경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1 - 2013 || 합당[*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13년))] || 2013 - 2014 || 당명 변경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2014 - 2015 || 합당[* [[새정치민주연합]]과 흡수 합당.]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5 - 2017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2017 - 2019 || 탈당[* 공공기관장 취임으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9 - 현재 || 복당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전라북도)]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전라북도)]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의 계파 분류)]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성주, version=152)]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1964년 출생]][[분류:완산구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제19대 국회의원]][[분류:제21대 국회의원]][[분류:민주통합당 국회의원]][[분류:민주당(2013년) 국회의원]][[분류: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분류: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연안 김씨]][[분류:국민연금공단 이사장]][[분류:기업인 출신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신자]][[분류:전주풍남초등학교 출신]][[분류:전라중학교 출신]][[분류:전주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전라북도의회의원]][[분류:열린우리당 광역의회의원]][[분류:대통합민주신당 광역의회의원]][[분류:통합민주당(2008년) 광역의회의원]][[분류:민주당(2008년) 광역의회의원]][[분류:민주통합당 광역의회의원]][[분류:국회의원 보좌관 출신 정치인]][[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