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상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LG 트윈스 1차 지명 선수)] ------ ||
'''김상호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br][[파일:두산 베어스 우승 엠블럼 V2.svg|width=auto&height=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1995년 한국시리즈|{{{#ffffff 1995}}}]]''' || ---- [include(틀:KBO 골든글러브/외야수/1982~1999)] ---- [include(틀:KBO MVP)] ---- ||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s-1.3|[[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br] '''{{{#ffffff 1995 KBO 리그 홈런왕}}}''' || ---- ||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s-1.4|[[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br] '''{{{#ffffff 1995 KBO 리그 타점왕}}}''' || ---- [include(틀:두산 베어스 주장)] ---- ||<-5> '''{{{#ffff00 [[MBC 청룡|'''{{{#ffff00 MBC 청룡}}}''']] 등번호 45번}}}''' || || 결번 || {{{+1 →}}} || '''{{{#ffff00 김상호[br](1988~1989)}}}''' || {{{+1 →}}} || 김종철[br](1990~1993) || ||<-5> '''{{{#ffffff [[OB 베어스|'''{{{#ffffff OB 베어스}}}''']] 등번호 44번}}}''' || || 김원식[br](1988~1989) || {{{+1 →}}} || '''{{{#ffffff 김상호[br](1990~1998)}}}''' || {{{+1 →}}} || 박종윤[br](2000) || ||<-5> '''{{{#fff [[LG 트윈스|{{{#fff LG 트윈스}}}]] 등번호 33번}}}''' || || [[임선동]][br](1997~1998) || {{{+1 →}}} || '''{{{#fff 김상호[br](1999~2000)}}}''' || {{{+1 →}}} || [[홍현우]][br](2001)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상호ob.jpg|width=100%]]}}} || ||<-2> '''{{{+2 김상호}}}[br]金湘昊 | Kim Sang-ho''' || ||<|2> '''출생''' ||[[1965년]] [[10월 19일]] ([age(1965-10-19)]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선린인터넷고등학교 야구부|선린상고]] - [[계명대학교 야구부|계명대]] || || '''포지션''' ||[[3루수]][* 청룡 시절 가끔 출장하다 OB 이적 후 외야수로 고정], '''[[외야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 입단''' ||[[한국프로야구/1988년/신인 드래프트#s-2|1988년 1차 지명]] ([[MBC 청룡|MBC]]) || || '''소속팀''' ||[[MBC 청룡]] (1988~1989) [br]'''[[OB 베어스]] (1990~1998)''' [br][[LG 트윈스]] (1999~2000)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KBO 리그]] 선수. 등번호는 45번([[MBC 청룡]]) - 44번([[OB 베어스]]) - 33번([[LG 트윈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Stk92IhbDI)] }}}|| == 선수 경력 == || [[KBO 골든글러브|[[파일:KBO 골든글러브 로고.svg|height=40]]]] [br] [[틀:KBO 골든글러브/외야수/1982~1999|'''{{{#b58a5d KBO 골든글러브}}} {{{#ffffff 외야수 부문 수상자 (1995)}}}''']] || [[파일:external/image3.inews24.com/1313713065853_1.jpg|width=300]] 전성기를 보낸 [[OB 베어스]] 시절. [[파일:external/file.mk.co.kr/image__2013_674751_13780470411002481.jpg|width=300]] 말년을 불태웠던 [[LG 트윈스]] 시절. 1987년에 열린 신인드래프트에서 MBC 청룡의 1차지명을 받고 1988년 [[LG 트윈스]]의 전신인 [[MBC 청룡]]에 입단한다. 그러다가 1990년에 [[재일교포]] 투수 [[최일언]]과의 트레이드로 [[OB 베어스]]로 이적하였다. 참고로 이 트레이드는 [[MBC 청룡]]이 [[LG그룹|럭키금성그룹]]으로 매각된 후 처음 단행된 선수 거래였고 MBC 시절을 통틀어 서울 라이벌 팀끼리 단행한 최초의 선수 대 선수 거래였다.[* 1985년 [[이종도]]가 MBC에서 OB로 건너가긴 했는데 이때는 현금 트레이드였다.] 당시 OB는 김상호가 오기 전까지 소총부대라는 오명을 갖고 있었는데[* 1989년까지 역대 OB 구단 내 한 시즌 팀 최다 홈런 선수는 1982년의 [[김우열]]과 1988년의 [[송재박]]으로 13개였다. 그나마 1982~1984시즌 OB의 홈은 지금의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였다. 1980년대의 OB는 같은 서울팀 [[MBC 청룡]]과 비교해도 눈에 띄게 장타력이 떨어지는 팀이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청룡의 장타력이 뛰어났던 것도 아니기는 했다. 청룡 구단 역사상 한 시즌 팀 최다 홈런 선수는 1982년의 [[백인천]]의 19개였는데 이 시즌은 [[동대문야구장]]을 홈으로 썼다. 잠실로 완전 정착한 이후의 최다 홈런 선수는 1984년 [[이광은]]으로 그 해 18개의 홈런을 쳤다. 이는 타자들의 타격 기술이나 체격이 현재보다 미흡했고 당시 한국야구의 기조가 [[투고타저]] 스타일이었으며 한국인 타자들의 장타력으로는 잠실구장을 넘기는 일이 쉽지 않았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일발장타가 있던 김상호를 영입해 장타력을 보강하고 노쇠화가 시작된 최일언을 LG로 보내 선수단의 체질 개선을 꾀하고자 했다.[* 상황과 무관하게 매번 엄청난 풀스윙을 보여주던 김상호의 야구 스타일이 LG 창단 감독으로 돌아온 [[백인천]]의 야구관과도 그다지 맞지 않아서 OB로 갔다는 이야기도 있다. 백인천은 장타력은 물론 작전 수행 능력까지도 중시했던 전형적 일본야구 스타일을 선호했다.] MBC에서는 3루수를 주로 봤으나 [[입스]]가 온 탓인지 송구 실책을 내기가 일쑤였다. 결국 OB에 와서는 외야수로 포지션을 바꾸게 된다. OB는 김상호를 타선의 핵심으로 기용하는데 [[김형석(야구)|김형석]]과 함께 클린업 트리오의 일원으로 활약하게 된다. 특히 1995년 25홈런 101타점을 기록하면서 OB 베어스의 [[1995년 한국시리즈|2번째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했으며 홈런왕, 타점왕, MVP를 수상하였다. 무엇보다 이 해의 MVP는 [[LG 트윈스|옆집]] 에이스 투수인 '''선발 20승의 [[이상훈(좌완투수)|이상훈]]'''을 제친 것이어서 상당한 파격이기도 했다. 물론 소속팀 OB가 그해 페넌트레이스와 한국시리즈를 통합으로 제패한 것이 프리미엄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이 당시 OB 홍보팀장이던 [[구경백]]이 "내가 기자들을 적극적으로 포섭하고 설득해서 김상호를 MVP로 만들었다"며 자랑스럽게 얘기하곤 한다. 지금도 그렇지만 리그 MVP는 야구 기자단의 투표로 선정되기에 각 구단 프런트가 기자들에게 얼마나 잘 보이느냐가(...) 소속 선수의 MVP 수상 여부를 결정하기도 했다.] [[이승엽|50]][[심정수|홈]][[박병호|런]]도 나온 현재 시점에서 보면 25홈런은 홈런왕 치고는 상당히 적은 숫자로 느껴질 수 있는데, 90년대 중반까지 프로야구는 [[투고타저]] 경향이 강했으며, 1992년 장종훈의 41홈런 이후로도 3년간은 25홈런~30홈런 사이가 홈런왕이 되었다. 또한 원년부터 1995년까지 14년간 25홈런 이상 기록한 경우는 15번[* 30홈런 이상은 [[김성한|4]][[김기태(1969)|번]], 40홈런 이상은 [[장종훈|1번]]]으로 잠실 야구장을 홈으로 쓰면서도 당시로선 그리 적은 숫자도 아니었고, 리그에서 가장 많은 홈런까지 친 것. 101타점의 기록도 1992년 장종훈 이후 역대 두 번째의 100타점 돌파였기에 기여도는 타선수들에 비해 높았다고 보긴 어려워도 상징적인 면에선 받을 가능성도 충분히 있었던 상황이긴 했다. 특히 1995년 [[서울 잠실종합운동장 야구장]]을 홈으로 둔 팀 소속 선수로는 최초로 홈런왕을 따낸 선수가 되었다.[* 이후 1998년 외국인 선수 [[타이론 우즈]], 2018년 [[김재환(야구선수)|김재환]]이 각각 42홈런과 44홈런을 기록하며 잠실 연고팀의 홈런왕을 역사를 이어갔다. ~~참고로 잠실을 같이 쓰는 [[LG 트윈스|옆집]]은 1982년 원년 이후 단 한 번도 홈런왕을 배출한 적이 없다.~~] 1998년 시즌을 끝으로 [[류택현]]과 함께 친정팀인 [[LG 트윈스]]로 현금 트레이드되었으나[* 이 시기 외국인 선수 제도의 도입과 세대 교체가 겹쳤다. 외국인 타자로 '''[[타이론 우즈]]''', 초특급 신인으로 '''[[김동주(타자)|김동주]]'''가 입단하면서 김상호에 목 맬 필요 없이 순식간에 타선 강화를 이뤄냈다. 전년도인 97년에 3할을 쳤고, 98년에도 시범경기에서 팀 내 최고의 성적을 찍었지만 팀에서는 김상호를 자주 기용하지 않았고, 이런 상황에서 김상호 본인이 구단에 선제적으로 트레이드를 요청했다.]크게 활약하지 못하고 2000년 말에 은퇴했다. 슬러거 치고는 발도 빨라서 매년 20개 가까운 [[도루]]를 했으며 1995년 홈런왕을 수상하기 전까지는 오히려 '빠른 발을 가진 중장거리 타자'라는 이미지가 강했다.[* 홈런왕을 차지한 95년 전까지는 홈런보다 도루를 더 기록한 시즌도 꽤 있다.] 그러나 잠실 야구장을 홈으로 쓴다는 것을 감안해도 통산 기록에서 홈런의 숫자가 그렇게 많지는 않은 편이며(통산 136홈런) 전성기도 2~3년 정도로 짧았다. 정확성과는 거리가 먼 스윙[* 그래도 1992년과 1997년에 3할 타율을 두 번 기록했다. 1995년의 기록이 단순한 우연이 아니었다는 증거.]으로 곧잘 쓰러질 정도로 큰 헛스윙을 해서 '칼춤'이라는 별명이 있었으며 단단한 체구와 강인한 체력으로 [[터미네이터]]라는 별명으로도 유명하다.[* 물론 외야수로 전향하기 전까지는 내야 수비가 엉성한 탓에 '돌글러브'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이 붙기도 했다.] [[안성기]]를 닮은 쾌남형 얼굴[* 얼핏보면 [[신현준]], [[김창남(가수)|김창남]]하고도 닮았다.]에 이판사판 식의 화끈한 허슬플레이[* 1995년 잠실구장에서 LG 김동수의 홈런성 타구를 엄청난 스피드로 쫓아가서 점프해서 잡아낸 플레이는 그 해 최고의 진기명기로 회자된다.], 우락부락한 몸매의 영향으로[* 당시 야구 유니폼은 몸에 딱 달라붙게 입는 스타일이 유행이었다. 특히 바지는 [[스키니진]]처럼 보일 정도로 다리에 착 달라붙는 스타일이어서 하체 근육이 짱짱한 선수들은 유니폼에 근육의 모양이 그대로 드러나기도 했는데 김상호가 이 스타일을 고수했다.] 적지 않은 팬이 있었지만 사실 모범생 이미지와는 거리가 먼 선수였다. 엄청난 주당으로 야구장에서보다 잠실 근처 술집에서 그를 봤다는 팬이 더 많았을 정도였으니... 당시 신인급이었던 [[안경현]]이나 [[정수근]][* 특히, 술 이야기 하면 모든 선수도 이 분 만큼에게 도망친다는 설이 있었다...]도 그에게서 본격적으로 술을 배웠다는 후문. ~~특히 정수근은 [[롯데 자이언츠]]에 가서 [[청출어람]]을 [[깽판|이뤄냈다]]~~ 인터뷰에서도 당시의 여느 선수들과 달리 언제나 자신만만한 태도로 뭔가 보여드리겠다고 큰소리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어떤 면에선 팀 후배 [[홍성흔]]이나 [[오재원]]같은 똘끼 캐릭터의 원조격인 선수.[* 공통점이라면 팀내에 케미스트리를 잠시 깨서 두산을 제외한 모든 구단 선수들에게 밉보인 적도 조금은 있었으나 지금은 호감도가 상승하였다.] [[OB 베어스 항명파동]]의 주역이기도 한데 그중에서도 특이하게 팀에 복귀하고 연봉을 깎거나 동결한 다른 선수들과 달리 안 올려주면 나가겠다면서 결국 연봉인상을 받아낸 바 있다.[* 팀의 고참이자 깡다구가 높던 '''[[장호연]]'''도 이런 식으로 구단에게 개겼었다... 이던 당대에 [[두산]]은 식품 사업에도 있어서 [[해태 타이거즈]]와 [[롯데 자이언츠]] 처럼 꽤나 매년 기업에 대한 돈이 많이 나갔음에도 여타 저 두 구단 처럼 선수들 연봉협상에 진통이 컸었다. 예로 들면 해태는 에이스 '''[[선동열]]''' 이나 고참 '''[[이순철]]''', '''[[한대화]]''' 롯데는 에이스 '''[[최동원]]''', 거포 '''[[마해영]]''', 탱크 '''[[박정태]]''' 등등 이름 값 하는 선수들에게 인상을 하더라도 '''10%''' 조금 넘는 수준? 으로만 해주고 그냥 체면상 올려준다 해도 '''20%'''까지 올려줬다. 당대에는 20%가 최대치였으니.. 다만, 그 다음해 못하면 얄쨜없이 연봉을 깎아버린다. 그 피해자가 '''[[유두열]]''' 코치] 게다가 1995년 1월, [[이종민(야구)|이종민]]의 집에서 술을 마시고 자신의 차를 두고 갔는데, 그 다음 날 [[이종민(야구)|이종민]]은 그가 두고 간 차를 돌려 주려고 대담하게 [[면허]]도 '''[[무면허운전|없는]]''' 상태에서 운전하고 가다가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근처에서[* 문제는 [[음주운전]]인지 아닌지 단속차 확인을 하던 '''[[경찰]]'''을 상대로 그런 짓을 해버린 것이다.] '''[[살인|사고]]'''를 내고 말았다.[* 징역형을 살고 나온 이종민은 한동안 1군 선수로 뛰다가 결국 2002 시즌이 끝나고 방출당했다.] == 은퇴 이후 == [[파일:external/i2.media.daumcdn.net/20110821181326773.jpg|width=700]] 2011년 8월 21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 전에 시구를 하는 모습. [[파일:external/www.viva100.com/2016041001000516900022934.jpg]] 2016년 언론 인터뷰에서의 모습. 외모가 현역때랑 별로 변하지 않았다. 야구계를 완전히 떠나 외식업에 종사하고 있고, 2011년 현재 프랜차이즈 전문 기업 '후인'의 전무이사를 맡고 있다. 2011년부터는 [[인천광역시]] [[부평구]]에서 사회인 야구선수들과 중고생들을 위한 실내야구연습장 '팀 베이스'를 운영하고 있다. 과거 LG와 두산에서 선후배 사이였던 [[정삼흠]]이나 [[정수근]] 등이[* 공교롭게도 정삼흠과 정수근 모두 현역 시절 [[술]]로 인한 에피소드가 많은 선수(...)였다. 정수근은 워낙 전과가 화려한 선수고 정삼흠은 [[선동열]]과의 술 대결 일화가 유명하다.] 초빙강사로 일하고 있다고. [[http://sports.mk.co.kr/view.php?no=671678&year=2013|관련 기사]] 2011년 8월 21일 [[한화 이글스]]와의 3연전 마지막 홈경기에서 사인회와 시구를 했다. 과거 [[윤동균]] 감독의 강압적인 지도방식에 반발해 항명했던 선수들이 2011년까지도 구단의 초청한 번 받지 못하면서 잊혀져 갔는데 상당히 이례적인 일이다. 김상호도 당시 주동자 중 한 명이었기 때문이다. 2009년 정규시즌과 2011년 개막전 때 시구를 했던 불사조 [[박철순]]도 항명파동 요주의 인물 중 한 명이었지만... 박철순의 경우엔 워낙 원년 우승의 주역이기도 하고, 불사조의 전설로 팬들에게 OB의 박철순이 아닌 박철순의 OB로 기억될만큼, 엄청난 상징이기 때문에 감히 함부로 할 수도 없는 인물이긴 하다.[* 박철순이 다시 시구하러 온다고 했을 때, 새벽부터 줄서서 1,000명 사인회 기다리다 돌아간 사람이 수두룩할 정도였으니...] 아무튼 김상호의 초청과 프런트진 개편을 계기로 90년대 올드스타들에 대한 대우도 달라지는 것일지 귀추가 주목되었다.[* 당시 [[윤동균]] 감독에 반발해 항명한 선수 가운데 가장 구단 속을 썩이던 선수가 김상호였다. 그런 김상호를 시구자로 불렀다는 거 자체가 놀라운 일이다.] 이후 항명 파동에 가담한 [[권명철]]~~다시 생각해라 프런트!!~~, [[이광우]]가 코치로 두산에 복귀하고, [[2015년 한국시리즈|2015년 두산이 우승]]하자 김상호가 축하 인사를 남기는 등의 행보를 보였다. [[https://youtu.be/-z6K78VztIc|축하 인사 보러가기.]] == 기타 == * [[NPB]]의 외국인 슬러거였던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와 외모가 닮았다. * 역대 [[KBO 리그]] MVP 중 최저 [[WAR]]을 기록한 타자이다.[* 당시 김상호의 war은 스탯티즈 기준으로 4.27인데 시즌 126경기 체제였다. 그래서 war/144로 환산할경우 4.875가 나오는데 2017년 [[KIA 타이거즈]]의 [[양현종]]이 144경기 체제에서 4.63으로 MVP를 수상하며 war/144의 최저는 아니게 됐다.] 당시 1995년 MVP는 WAR만 놓고 따지면 [[선동열]], [[김상진(1970)|김상진]], [[이상훈(좌완투수)|이상훈]] 중 한 명이 받아도 이상할 게 없는 상황이었는데, WAR같은 2차스탯은 알려지지 않은 상태였다.[* 국내에 war이 유입된건 2000년대 초중반으로 추정되며, 2000년대 후반에 세이버 스탯 사이트가 나오기 시작했고, 부침을 겪다가 대표적인 사이트인 스탯티즈의 부활, 2015년을 기점으론 네이버 스탯란엔 공식 업체인 스포츠투아이 기준의 war이 표기되는 등 국내에 대중화된 건 2010년대 중반, 방송사에서도 적극 도입되며 더욱 알려지게 된 건 2010년대 후반이다.] 당시 MVP 투표는 홈런왕, 다승왕 등 상징성이 강한 클래식 스탯이나 클래식 스탯 다관왕 등 클래식 스탯에 의해 좌지우지되었는데, 이로 인해 최초의 잠실홈런왕이라는 임팩트와 팀의 우승까지 더해지며 김상호가 MVP 표를 가장 많이 받게 된 것. * 특이한 점으로 '''소속팀이 두 번 바뀌었음에도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홈 그라운드]]는 한 번도 바뀌지 않았다.''' * 현역 시절, 귀마개 없는 헬멧을 사용한 대표적 선수기도 하다. 터프한 이미지를 강조하기도 하고 상대적으로 답답함이 덜하다는 이유로 90년대까지는 이 형태의 헬멧을 사용하는 선수들이 제법 있었다. 삼성 [[장효조]]나 롯데 [[김민호(1961)|김민호]]도 무귀헬멧을 사용한 강타자. 2000년대 중반부터는 투수들의 구속 향상과 몸쪽 볼 구사율이 높아지면서 타자들은 부상의 위험성때문에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포수(수비 한정)들의 전유물로 자리매김 했다. ~~요즘은 귀마개도 모자라 [[검투사 헬멧]]이 대세이다~~ * 현피가 꽤 세다고 알려져 있다. LG와 벤치 클리어링때 [[김재현(1975)|김재현]]과 시비가 붙었는데, 그 자리에서 [[육두문자]]를 거하게 퍼부으며 눈빛 레이저를 발사하자 김재현이 깨갱 하면서 바로 뒤돌아설 정도였다. 물론 김재현보다 한참 선배이긴 하다. * 1995년 홈런왕이라는 명예를 가진기념으로 1995년 12월 13일 [[가족오락관]]에서 같은 팀 멤버인 강병규와 동반출연했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 타자 기록. 붉은색은 리그 1위 기록, 굵은 글씨는 5위 이내 입상기록을 뜻한다. ||<-15> {{{#ffff00 역대 기록}}} || || {{{#ffff00 연도}}} || {{{#ffff00 소속팀}}} || {{{#ffff00 경기}}} || {{{#ffff00 타수}}} || {{{#ffff00 타율}}} || {{{#ffff00 안타}}} || {{{#ffff00 2루타}}} || {{{#ffff00 3루타}}} || {{{#ffff00 홈런}}} || {{{#ffff00 타점}}} || {{{#ffff00 득점}}} || {{{#ffff00 도루}}} || {{{#ffff00 4사구}}} || {{{#ffff00 장타율}}} || {{{#ffff00 출루율}}} || || 1988 ||<|2> [[MBC 청룡]] || 88 || 267 || .270 || 72 || 17 || 2 || 7 || 43 || 35 || 11 || 22 || .427 || .323 || || 1989 || 109 || 362 || .257 || 93 || 9 || 4 || '''13'''[br](5위) || 56 || 51 || 21 || 55 || .412 || .351 || || '''{{{#ed1c24 연도}}}''' || '''{{{#ed1c24 소속팀}}}''' || '''{{{#ed1c24 경기}}}''' || '''{{{#ed1c24 타수}}}''' || '''{{{#ed1c24 타율}}}''' || '''{{{#ed1c24 안타}}}''' || '''{{{#ed1c24 2루타}}}''' || '''{{{#ed1c24 3루타}}}''' || '''{{{#ed1c24 홈런}}}''' || '''{{{#ed1c24 타점}}}''' || '''{{{#ed1c24 득점}}}''' || '''{{{#ed1c24 도루}}}''' || '''{{{#ed1c24 4사구}}}''' || '''{{{#ed1c24 장타율}}}''' || '''{{{#ed1c24 출루율}}}''' || || 1990 ||<|9> [[OB 베어스]] || 114 || 400 || .275 || 110 || 18 || 1 || 14 || 52 || 61 || 12 || 61 || .430 || .370 || || 1991 || 93 || 318 || .208 || 66 || 10 || 1 || 5 || 42 || 33 || 12 || 36 || .292 || .287 || || 1992 || 102 || 370 || .300 || 111 || 26 || 4 || 12 || 49 || 61 || 16 || 46 || .489 || .377 || || 1993 || 122 || 440 || .264 || 116 || 17 || 1 || 11 || 56 || 53 || 19 || 47 || .382 || .333 || || 1994 || 113 || 410 || .249 || 102 || 11 || '''5'''[br](3위) || 9 || 49 || 55 || 6 || 54 || .366 || .334 || || 1995 || '''{{{#red,#ff0000 126}}}'''[br](1위) || '''{{{#red,#ff0000 504}}}'''[br](1위) || .272 || '''137'''[br](5위) || 23 || 2 || {{{#red,#ff0000 '''25'''}}}[br](1위) || {{{#red,#ff0000 '''101'''}}}[br](1위) || '''79'''[br](3위) || 10 || 51 || .474 || .335 || || 1996 || 117 || 439 || .269 || 118 || 27 || 0 || '''20'''[br](4위) || 75 || 53 || 5 || 39 || .467 || .324 || || 1997 || 96 || 343 || .315 || 108 || 24 || 3 || 11 || 52 || 45 || 4 || 46 || .499 || .393 || || 1998 || 34 || 87 || .241 || 21 || 3 || 0 || 1 || 7 || 12 || 0 || 17 || .310 || .365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장타율}}} || {{{#ffffff 출루율}}} || || 1999 ||<|2> [[LG 트윈스]] || 94 || 221 || .253 || 56 || 10 || 1 || 8 || 40 || 39 || 1 || 34 || .416 || .350 || || 2000 || 21 || 31 || .065 || 2 || 1 || 0 || 0 || 2 || 4 || 0 || 9 || .097 || .275 || ||<-2> '''[[KBO 리그|KBO]] 통산''' [br] (13시즌) || 1229 || 4192 || .265 || 1112 || 196 || 24 || 136 || 624 || 581 || 117 || 517 || .421 || .344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KBO MVP]][[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1965년 출생]][[분류:1988년 데뷔]][[분류:2000년 은퇴]][[분류:외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선린인터넷고등학교 출신]][[분류:계명대학교 출신]][[분류:KBO 홈런왕]][[분류:KBO 타점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