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기업인 김상열, rd1=김상열(기업인))] [include(틀:역대 경북대학교 총장)] ||<-2>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B1F26 0%, #DB1F26 20%, #DB1F26 80%, #DB1F26)" '''{{{#ffffff 제3대 경북대학교 총장}}}[br]{{{#ffffff {{{+1 김상열}}}[br] 金相悅 | Kim Sang-yeol}}}'''}}}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김상열 총장.jpg|width=100%]]}}} || ||<|2> '''사망''' ||[[1973년]] [[9월 8일]] || ||[[경상북도]] [[대구시]] [[남구(대구)|남구]] [[대명동(대구)|대명동]] 자택 || || '''학력''' ||[[교토제국대학]] {{{-2 ([[공업화학]] / [[학사]])}}} || || '''경력''' ||[[경북대학교]] 제3대 총장[br][[대구여자상업고등학교]] 초대교장[br] 재단법인 난강학원 제2대 이사장[br][[경북대학교 사범대학]] 화학교육과 교수[br]교남학교(현 [[대륜중학교]], [[대륜고등학교]]) 교사 || [목차] [clearfix] == 개요 == [[1919년]] [[3.1 운동]]에 참여했으며 [[교토제국대학]] [[공업화학|공업화학과]]를 졸업하였다. 1930년 9월 교남학교(현 [[대륜중학교|대륜중]],[[대륜고등학교|고등학교]])에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008310023920600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0-08-31&officeId=00023&pageNo=6&printNo=3469&publishType=00020|부임해]] 교사로 근무했고 [[대구여자상업고등학교|대구여자상업학교]] 설립을 주도하고 초대 교장을 지냈으며, 재단법인 난강학원[* [[대구여자상업고등학교]]의 재단법인이다.] 이사장을 맡기도 했다.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화학교육과]] 교수를 지냈다. [[고병간]] 총장의 뒤를 이어 1960년 5월 12일부터 1961년 9월 30일까지 경북대학교 총장서리를 맡았고 제3대 경북대학교 총장으로 [[https://www.knu.ac.kr/wbbs/wbbs/contents/index.action?menu_url=intro/greeting03&menu_idx=20|취임하였다]]. 대한화학회 대구·경북지부 초대지부장을 지내기도 하였다. == 총장 재임기 행적 == 제1,2대 [[경북대]] 총장을 맡은 [[고병간]] 총장이 [[4.19혁명]] 이후 스스로 경북대 총장직을 사임하면서 총장서리를 맡았다. [[1960년]] 8월 27일, 경북대학교 총장으로 정식임명되었다. 총장 재직 시절인 1960년 경북대 의대생 2명이 정창수, 이규택 두 의대 교수를 학교에 납치, 연금한 사건이 발생했는데, [[이병도]][* 역사학자로 유명한 그 [[이병도]] 교수이다.] [[대한민국 교육부|문교부]] 장관은 "마땅히 난동을 주동한 학생들은 처벌되어야 하며, 검찰에서 조처를 해주길 바라며, 또한 학교는 학교대로 교칙에 따라 총장서리가 처리할 문제이다"라고 입장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김상열 총장서리는 7월 6일 문교부에 나타나 "학생들이 두 교수를 모셔간 것이지 연금한 것이 아니다."라고 하며 오히려 학생들에게는 아무런 죄가 없다며 두둔하였다. == 총장 퇴임 이후 == [[1961년]] 9월 30일, 경북대 총장에서 퇴임했다. 재임 중에 5.16 군사정변이 발발하였는데, 5.16 군사정부가 제정, 공포한 '교육에 관한 임시특례법'에 따라서 임기를 일찍 마치고 정년퇴임하게 되었다. 총장 퇴임후 [[1973년]] [[9월 8일]] 경상북도 [[대구시]] [[남구(대구)|남구]] [[대명동(대구)|대명동]] 자택에서 [[노환]]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309080023910701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3-09-08&officeId=00023&pageNo=7&printNo=16131&publishType=00010|별세했다]]. 장례는 [[대구여자상업고등학교]] 학교장으로 치러졌다. == 여담 == * 『경북대신문』에 따르면 직선제로 선출된 첫 번째 총장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고병간 총장은 학교설립되고 정부로부터 임명되었지만 재임은 교수들이 투표해서 선출했기 때문에 이 소개가 정확한 지에 대해서는 따져봐야할 대목이다. * 교남학교 교사 시절, 운동장 북쪽 모퉁이에 10평 내외의 가옥에서 살았는데 반은 학교 심부름꾼이 쓰고, 나머지 4~5평 되는 공간에서 7~8명 가족들과 살았다고 한다. 교남학교 교사 시절 '무보수'로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을 했다고 한다. [[http://news.imaeil.com/Culture/2009043006143853904?ismobile=true|기사]] [[분류:이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화학자]][[분류:1973년 사망]][[분류:경북대학교 총장]][[분류:교토대학 출신]][[분류:경북대학교 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