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해당 이름을 사용하는 동명이인, rd1=김상기(동명이인))] [include(틀:고려의 배향공신)] ---- [include(틀:고려 강릉 김씨)] ---- ||<-2> '''고려국 중서문하성 평장사[br]{{{+1 김상기}}}''' || || '''시호''' ||'''문정공(文貞公)''' || || '''수직''' ||'''수태위(守太尉)''' || || '''직위'''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 || '''본관''' ||[[강릉 김씨]](江陵 金氏)[* 당시엔 명주 김씨(溟州 金氏 )로 불렸다.] || || '''이름''' ||상기(上琦) || || '''아들''' ||[[김인존]] || || '''생몰연도''' ||? ~ ?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려]]왕조 [[선종(고려)|선종 사효대왕]] 대의 문관. 강릉 김씨 가문 출신이며 당대에 이름을 날린 신하이다. 아들 [[김인존]]도 배향공신이 되어 2대가 모두 묘정에 제사지내졌다. == 상세 == 그러나 본인에 관한 기록은 거의 없다. 대부분 고려 초중기 인물이 그렇듯 김상기의 가문, 가족, 생애는 역사 속에 잊혀졌다. 김상기가 강릉 김씨인 것도 아들 김인존 열전 덕분에 알 수 있는 것이다. 손자 김영석의 묘지명에 따르면 아버지는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 [[상서성]]의 장관.] 대사(大師) 김양(金陽)이다. 아들은 김인존. 아들 외에 딸이 하나 있는데 작호는 강릉군대부인(江陵郡大夫人)으로 [[최윤의]]의 어머니이다. 딸의 봉토가 강릉군인 것을 보면 김상기도 강릉 김씨일 가능성이 더욱 높다고 볼 수 있다. 김상기는 그닥 큰 문벌귀족 가문 출신이 아니다. 하지만 중서문하성의 3등급 평장사까지 올라갔으며 자신의 딸이 당대의 대가문 [[해주 최씨]]에게 시집 간 것을 보면 김상기 개인의 능력이 매우 뛰어났다고 추측할 수 있다. 아들 김인존을 시작으로 강릉 김씨 가문의 권세가 점차 올라가는데, 이는 김상기가 정치작업을 잘 해놓았기에 김인존은 더 쉽게 올라갈 수 있었던 것이다. 장남 김인존이 북송에 외교관으로 가있을 때 사망했다고 한다. 사후 수태위, 문하시랑평장사 직을 받고 선종의 묘정에 모셔지는 영광을 누리니, [[유홍(고려)]], 문정과 같은 반열에 세워졌다. 아들로 김연(김인존), 김고가 있었다. 김연의 자식이자 본인의 손자 김영석(金永錫)의 묘지명이 남아있다. 김영석은 할아버지 김상기의 권세를 통해 [[음서제]]로 관직을 시작했다고 한다. 또 기록돼있는 김상기의 최후 관작은: * 직위: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 - 판예병부사(判禮兵部事) - 감수국사(監修國史) * 수직: 수태위(守太尉) * 훈위: 상주국(上柱國) 이다. [[분류:고려의 배향공신]][[분류:강릉 김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