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스노보드)] ---- ||<-2>
'''{{{+1 김상겸}}}[br]金相謙 | Kim Sangkyum'''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상겸 베이징.jpg|width=100%]]}}} || || '''출생''' ||[[1989년]] [[1월 30일]] ([age(1989-01-30)]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봉평초등학교[br]봉평중학교[br]봉평고등학교[br][[한국체육대학교]] 레저스포츠학과 || || '''종목''' ||[[스노보드]] || || '''주종목''' ||평행대회전 || || '''신체''' ||182cm, 91kg || || '''소속''' ||하이원 스포츠단 || || '''SNS''' ||[[https://www.instagram.com/sangkyum__kim|[[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스노보드]] 선수다. == 선수 경력 == === 유년 시절~[[2010년]] ===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천식으로 고생했고 천식이 심해 2주간 병원 신세를 진 적도 있는데 이를 보다 못한 부모님이 건강을 위해 운동을 권유하면서 초등학교 3학년 때부터 육상을 시작했다. 봉평중학교 2학년 때 학교 내 스노보드부가 만들어지면서 본격적으로 스노보드를 타기 시작했고, 금방 성과를 냈다. 어려서부터 육상 80m와 멀리뛰기, 높이뛰기 등 단기간에 폭발적으로 힘을 쏟아내는 운동을 해왔던 터라 30~40초에 승부를 결정짓는 스노보드는 그에게 최적의 종목이었다. 등록 선수가 총 300여 명에 불과한 스노보드계에서 단연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했고, 전국동계체육대회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고 국가대표에 선발되는 등 최고 선수로 성장했다. === [[2011년]]~[[2018년]] === [[2011 에르주룸 동계 유니버시아드]] 평행대회전에서 2위와 큰 점수 차로 정상에 오르며 '''한국인 최초로 세계대회에서 스노보드 종목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하지만 기대했던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예선탈락의 고배를 마셨고[* 평행대회전에서 17위를 기록했다. 단 한 계단 차로 16강에 오르지 못했다.] 4년 뒤인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는 8강에 진출하지 못했다. === [[2021년]] === 2021년 세계선수권 대회 남자 평행대회전에서 4위를 기록했는데, 이는 한국 스키 역사상 세계선수권 최고 성적과 타이 기록이다. === [[2022년]]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는 평행대회전에서 24위에 그치며 16강에 오르지 못했다. == 수상 기록 == ||<-3>
{{{#white 유니버시아드}}} || || 금메달 || [[2011 에르주룸 동계 유니버시아드|2011 에르주룸]] || 평행대회전 ||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스노보드 선수]][[분류:평창군 출신 인물]][[분류:1989년 출생]][[분류:한국체육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스노보드 참가 선수]][[분류: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스노보드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분류:2011 에르주룸 동계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