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김민재(동명이인), other2=이번 시즌 나폴리에서의 경기 및 활약상, rd2=김민재/클럽 경력)] [include(틀:SSC 나폴리/간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김민재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K리그1|[[파일:K리그1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e3224; font-size: 0.9em" [[K리그 대상#s-5.1|{{{#ffffff '''2017 K리그1 영플레이어상'''}}}]]}}} || [[EAFF E-1 풋볼 챔피언십|[[파일:E-1 Football Championship.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41f4a; font-size: 0.9em" [[EAFF E-1 풋볼 챔피언십#s-2.5|{{{#fff '''2019 EAFF E-1 풋볼 챔피언십 [br] 최우수 수비수'''}}}]]}}}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K리그1|[[파일:K리그1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e3224; font-size: 0.9em" [[K리그 대상#s-7.1|{{{#ffffff '''K리그1 베스트 11'''}}}]]}}} ||<-3>[[틀:2017 K리그 클래식 베스트 11|2017]] · [[틀:2018 K리그1 베스트 11|2018]] || ||[[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파일:2019 AFC 아시안컵 공식 로고.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18e53; font-size: 0.9em" [[틀: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 베스트팀|{{{#000000 '''2019 AFC 아시안컵'''}}}]]}}}|| || || }}} ||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민재_2022/23.png|width=100%]]}}} || ||<-3> '''SSC 나폴리 No. 3''' || ||<-3> '''{{{#1a90cd {{{+1 김민재[* 안동 김씨]}}}[br]Kim Min-jae | 金玟哉}}}''' || ||<|2> '''출생''' ||<-2>[[1996년]] [[11월 15일]] ([age(1996-11-15)]세) || ||<-2>[[경상남도]] [[통영시]] [[도천동(통영)|도천동]][* 실제로 통영시에 '''"통영 바다막썰이횟집 아들 축구선수 김민재 아시안게임 금메달!"'''이라는 현수막이 걸린 적이 있다.]|| || '''국적''' ||<-2>[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신체'''[* [[https://www.kfa.or.kr/national/?act=nt_man&position=DF&search_val=2021&s_idx=3767&cursor=#cursor_location|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공식 프로필]]] ||<-2>[[키(신체)|키]] 190cm / [[체중]] 88kg / [[A형]][* [[https://search.zum.com/search.zum?method=uni&option=accu&rd=1&query=%EA%B9%80%EB%AF%BC%EC%9E%AC&qm=f_typing.top|ZUM]], [[https://search.daum.net/search?w=tot&q=%EA%B9%80%EB%AF%BC%EC%9E%AC&sck=datahub_homo/person/2097843&detail=0&rtmaxcoll=PRF|다음]] 포털 사이트 프로필 기준] || || '''학력'''[* [[http://portal.kleague.com/common/search/popUpPlayerDetail.do?playerDetailInfo=20170035|K리그 DB 참조]]] ||<-2>두룡초등학교 {{{-2 (전학)}}}[br][[통영초등학교]] {{{-2 (전학)}}}[br][[가야초등학교(함안)|가야초등학교]] {{{-2 (졸업)}}}[br]남해해성중학교 {{{-2 (전학)}}}[br][[연초중학교]] {{{-2 (졸업)}}}[br][[수원공업고등학교]] {{{-2 (졸업)}}}[br][[연세대학교]] {{{-2 (스포츠레저학 / 학사 중퇴)}}}|| || '''종교''' ||<-2>[[개신교]] {{{-2 ([[기독교한국루터회|루터교회]])}}}[* [[http://m.kmib.co.kr/view.asp?arcid=0924001984]]][* 등 뒤에 [[십자가]]를 든 [[예수]] [[문신]]이 그려져 있다.[[https://twitter.com/SerieA_EN/status/1591479046738960384|#]]] || || '''병역''' ||<-2>[[예술체육요원]][*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FFD700 '''금메달'''}}}로 병역특례를 받았다.] || || '''포지션''' ||<-2>[[센터백]] || || '''주발''' ||<-2>오른발[* 나폴리에선 왼쪽 라인에 자주 서는 만큼 왼발도 수준급으로 사용한다.]|| ||<|3> '''등번호''' || ||[[SSC 나폴리]] || '''3'''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대표팀]] || '''4''' || || '''프로 입단''' ||<-2>2017년 [[전북 현대 모터스]] || || '''소속 구단''' ||<-2>[[경주 한국수력원자력]] (2016) '''[[전북 현대 모터스]] (2017~2018)''' '''[[베이징 궈안]] (2019~2021)''' '''[[페네르바흐체 SK]] (2021~2022)''' '''[[SSC 나폴리]] (2022~ )''' || || '''국가대표''' ||<-2>47경기 3골[* 2022년 12월 6일 기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2017~ )^^ || || '''링크''' ||<-2>[[https://www.instagram.com/kiminjae3|[[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8]]]]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가족''' ||<-2>'''아버지''' 김태균 ^^(1970년생)^^[br]'''어머니''' 이유선 ^^(1969년생)^^[br]'''형''' 김경민 ^^(1995년생)^^[* [[http://news.donga.com/3/all/20171001/86615993/4|기사 ]]][br]'''아내''' 안지민 ^^(1996년생, 2020년 5월 2일 결혼)^^[br]'''딸''' 김주아 ^^(2021년생)^^ || || '''후원사''' ||<-2>[[나이키]] || || '''서명''' ||<-2>[[파일:김민재서명.png|height=100]]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국적의 [[SSC 나폴리]]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센터백]]. == [[김민재/클럽 경력|클럽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민재/클럽 경력)] == [[김민재/국가대표 경력|국가대표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민재/국가대표 경력)] == 플레이 스타일 == [Youtube(Kkh8NPUjprA)] [[2022년]] 기준으로 뛰어난 신체 능력과 예측력을 바탕으로 수비수로서 요구되는 다양한 방면에서 우수한 모습을 보여준다. 패스 차단, 스탠딩 태클, 슬라이딩 태클, 헤딩을 비롯한 수비수라면 갖춰야 하는 필수적인 능력들 모두 뛰어난 편이다. 육중한 체격에 비해 발도 순간 최고 35km/h[* 22/23 시즌 소속 팀인 나폴리 내에서 두 번째로 빠르다. 1위는 최고시속 37km/h를 기록한 [[빅터 오시멘]].]로 굉장히 빠르고 최고 시속에 도달하는 가속도도 빠르다. 거기에 순발력도 좋으며 프로 데뷔 이후 2kg 정도 벌크업에 성공해 튼튼한 어깨와 견갑골, 상체근육과 함께 전반적인 피지컬과 몸싸움 능력이 매우 좋아졌다. 그래서 피지컬이 좋은 선수들과의 경합에서도 쉽게 밀리지 않는다. 오히려 [[SSC 나폴리]]로 이적해서는 [[안드레아 페타냐]], [[치로 임모빌레]], [[세르게이 밀린코비치사비치]] 등 건장한 체격을 가진 선수들을 능가하는 등 2022-23 시즌 [[세리에 A]]에서도 탑 클래스의 피지컬을 뽐내는 중이다.[* 한국인 선수가 유럽 선수들과 아프리카 선수들을 상대로 피지컬로 찍어 누르던 게 [[차두리]]와 [[곽태휘]] 이후로 거의 전무했던 것을 생각하면 김민재의 피지컬이 얼마나 사기적인지 알 수 있다.] 게다가 주발은 오른발이지만, 왼발 또한 수준급으로 잘 다뤄 수비라인 어디에나 설 수도 있다. 4백에선 양 쪽을 번갈아 뛰기도 하며, 3백에서도 중앙은 물론 양 측면 스토퍼 모두를 뛸 수 있다. 현대 축구에서 왼발 센터백이 어떤 대우를 받는 지를 생각하면 오른발잡이지만 양쪽 센터백 위치를 모두 소화할 수 있는 김민재의 특징은 좋은 강점이 될 수 있다. 최대 강점이 적극성을 앞세운 수비력이지만, 그것이 김민재의 능력의 전부는 아니다. 필요할 때에는 넓은 시야를 활용한 긴 패스와 빌드업도 주저하지 않으며, 모험적인 로빙 패스도 자주 시도한다.[* 벤투호 체제에 들어서서 김민재→[[황의조]]로 이어지는 롱패스 패턴이 간간이 나온다.] 이게 잘 먹히는 날에는 패스로 공격 전개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혹은 과감하게 자신이 기습적으로 공을 몰고 전진하기도 하며, 공이 끊기면 스피드를 활용해 빠르게 수비에 복귀해 공격을 끊기도 하는 등 괴물이라는 별명이 아깝지 않은 플레이를 자주 보여주곤 한다. 국대에서도 기회가 생기면 직접 드리블을 하며 올라가 경우에 따라서는 중앙선까지 넘어가서 패스를 뿌려주는 오버래핑을 자주 시도하는데, 거구에 속도도 빠르고 발밑도 준수한데다가 패스 성공률도 높기 때문에 상대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스러우며, 아군 입장에서는 침체된 경기에 활력을 불어넣어주는 좋은 요소다. 잘못 맛들리면 과거 [[다비드 루이스]]처럼 집 나가서 안돌아와 자주 실점하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지만, 잘할 수 있다면 답답한 상황에서 적절하게 공격 가담을 하다가 수비 시에는 재빠르게 복귀해서 자리를 지키며 팀 경기력 전체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과거에는 전형적인 '파이터형 수비수'로 컷팅 능력과 슬라이딩 태클 능력이 돋보였다. 그러나 점차 성장하면서 공격적으로 오버래핑하거나 뒤쪽에서 기다리면서 커버하는 롤도 수행하는 등 팀과 전술에 맞춰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본인 말로는 대부분 감독의 주문을 많이 따르려고 하며, 그 안에서 자기가 하고 싶은 플레이를 한다고 말했다. 프로 초창기에는 피지컬로 밀어붙이는 투박한 수비를 했으며, 그로 인해 오프사이드 라인을 잘 맞추지 못하는 등 라인 관리 능력이 미숙해 실수가 자주 나왔다. 그러나 김민재를 눈여겨 본 [[최강희]] 전북 감독이 꾸준히 주전으로 출전시키며 경험이 쌓이면서 많이 개선되었다. 하지만 체력이 저하되면 패스 미스가 많아지고, 경기에 따라 패스에서 잔실수를 범한다는 단점은 남아 있었다. 이전보다 라인을 잘 맞추고 무작정 뛰쳐나가는 일은 줄었지만, 그래도 기본적인 활동 범위가 넓은데다 라인을 비우고 마킹을 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뒷공간 노출의 위험이 수반됐다. 그렇기에 옆에서 적절하게 조율하고 공격전개를 해줄 커맨더형 수비수+수비형 미드필더와의 역할 분배가 이뤄져야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었다.[* 현재 국대에서는 스타일이 반대되면서도 상호보완이 가능해 베스트 센터백 조합이라 평가받는 [[김영권]]과 역할을 나눠서 수비를 조율하는 것으로 커버하고 있다.][* 빌드업 리더는 현역 시절에 스위퍼를 맡았던 [[홍명보]]가 국대에서는 사실상 유일했다. 그마저도 1대1 상황에서는 수비력이 떨어진 탓에 쓰리백에서만 제대로 활약했다. 그나마 [[장현수]]의 경우가 패스라던가 기본적인 수비력 면에서는 홍명보보다 못했지만 라인 조절 등 그나마 커맨더형 수비수의 기본 역할을 잘 수행했던 선수지만, 봉사활동 미이행으로 인해 국대 영구제명을 당해 이제는 과거 이야기. ] 그리고 탄성 나오는 롱패스가 나올 때도 있지만, 세밀한 패스나 패스 선택지를 선정하는 과정 등에서는 개선이 필요했다. 하지만 경험 많은 김영권의 약점이던 수비 라인 조절이나 빌드업 능력이 좀 더 발전한 모습을 보면 김민재도 경험이 많아지면 해결이 될 것이라 예견됐고, 현재 소속팀 나폴리에서 수비라인에서의 빌드업과 라인 조절을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기대 이상대로 성장했다고 볼 수 있다. 페네르바흐체에 이적했을 때에도 통곡의 벽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국대에서 보여주던 드리블을 통한 오버래핑과 정확한 롱패스로 공을 공격진에게 배달하고, 웬만한 윙어보다 빠른 속도로 복귀를 하거나 공을 가진 선수를 뒤에서 따라잡아서 커팅을 해내는 것은 물론, 기본적인 수비력마저 뛰어나서 사실상 완전체 센터백의 모습을 보여줬다. 튀르키예 내에서도 반응이 굉장히 좋고 팬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으며, 바이아웃이 낮아서 팬들은 6개월만에 이적해버리는게 아니냐고 불안해하고 있다고 할 정도로 이적 초부터 팀의 핵심선수가 되었다.[* 딱 한 시즌만 뛰었는데도 구단의 레전드 수비수인 '''[[시몬 키예르]], [[디에고 루가노]]'''에 비견될 정도로 위상이 어마어마하다.] 튀르키예에서 한 시즌만을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주간 베스트 수비수에 여러번 선정될 정도로 최고의 활약을 펼쳤고, 이에 유럽 빅리그에서도 김민재에 대한 관심이 폭발하면서 [[스타드 렌 FC]], SSC 나폴리 간의 치열한 영입 경쟁이 펼쳐졌다. 그 외에 PL에서도 여러 팀이 관심이 있다는 소식도 나오는 등 몸값이 크게 상승했다. 이후 김민재는 SSC 나폴리로 이적하였고, 팀을 떠난 레전드 수비수 [[칼리두 쿨리발리]]의 역할을 그대로 이어받았다. 쿨리발리의 빈자리을 채우는 것은 매우 부담이 될 수 있는 상황임에도 프리시즌과 리그 초반 좋은 모습을 보여줬으며, 리그 시작 이후 곧바로 이달의 선수상까지 받을 정도로 성공적으로 쿨리발리의 빈자리를 꽉 채웠다. 일부 이탈리아 현지 언론에서는 쿨리발리보다 빠른 [[조르조 키엘리니]]에 더 가깝다는 평가를 하기도 했다.[[http://www.footballi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4216|#]] [[풋볼리스트]]에서도 쿨리발리가 깔끔한 태클에 우아한 드리블을 펼치는 데 비해, 키엘리니는 어깨를 이용한 몸싸움 수비에 능하며 기세 좋게 밀고 올라가는 드리블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동의하는 듯한 의견을 냈다. == 기록 == === 우승 기록 === * [[전북 현대 모터스]] (2017~2018) * [[K리그1]]: 2017, 2018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19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 [[아시안 게임]] 금메달: 2018 === 개인 수상 === * [[AFC 아시안컵]] 토너먼트의 팀: 2019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최우수 수비수: 2019 * [[K리그1]] 베스트 XI: 2017, 2018 * K리그1 영플레이어상: 2017 * [[세리에 A]] 이달의 선수: 2022년 9월[* 아시아 최초 수상] * AIC[* 이탈리아 축구 선수 협회(Associazione Italiana Calciatori)] 이달의 선수: 2022년 10월 === 클럽 기록 === * '''2022년 10월 30일 기준'''[* [[https://www.sscnapoli.it/il-napoli-ufficializza-lacquisto-di-kim-minjae/|출처]]] ||<|2> {{{#c7a36a '''시즌''' }}} ||<|2> {{{#c7a36a '''팀''' }}} ||<|2> {{{#c7a36a '''소속 리그''' }}} ||<-3> {{{#c7a36a '''리그''' }}} ||<-3> {{{#c7a36a '''국내 컵''' }}} ||<-3> {{{#c7a36a '''대륙 대항전''' }}} ||<-3> {{{#c7a36a '''총합''' }}} || || {{{#014130 '''경기''' }}} || {{{#014130 '''골''' }}} || {{{#014130 '''도움''' }}} || {{{#014130 '''경기''' }}} || {{{#014130 '''골''' }}} || {{{#014130 '''도움''' }}} || {{{#014130 '''경기''' }}} || {{{#014130 '''골''' }}} || {{{#014130 '''도움''' }}} || {{{#014130 '''경기''' }}} || {{{#014130 '''골''' }}} || {{{#014130 '''도움''' }}} || || 2016 || [[경주 한국수력원자력]] || [[한국 내셔널리그]] || 15 || 0 || 0 || 2 || 0 || 0 || - || - || - || 17 || 0 || 0 || || 1시즌 ||<-2> '''합계''' || '''15''' || '''0''' || '''0''' || '''2''' || '''0''' || '''0''' || '''-''' || '''-''' || '''-''' || '''17''' || '''0''' || '''0''' || ||<|2> {{{#ffdd00 '''시즌''' }}} ||<|2> {{{#ffdd00 '''팀''' }}} ||<|2> {{{#ffdd00 '''소속 리그''' }}} ||<-3> {{{#ffdd00 '''리그''' }}} ||<-3> {{{#ffdd00 '''국내 컵''' }}} ||<-3> {{{#ffdd00 '''대륙 대항전''' }}} ||<-3> {{{#ffdd00 '''총합''' }}} || || {{{#034f36 '''경기''' }}} || {{{#034f36 '''골''' }}} || {{{#034f36 '''도움''' }}} || {{{#034f36 '''경기''' }}} || {{{#034f36 '''골''' }}} || {{{#034f36 '''도움''' }}} || {{{#034f36 '''경기''' }}} || {{{#034f36 '''골''' }}} || {{{#034f36 '''도움''' }}} || {{{#034f36 '''경기''' }}} || {{{#034f36 '''골''' }}} || {{{#034f36 '''도움''' }}} || || 2017 ||<|2> [[전북 현대 모터스]] || [[K리그1|K리그 클래식]] || 29 || 2 || 0 || 1 || 0 || 0 || - || - || - || 30 || 2 || 0 || || 2018 || [[K리그1]] || 23 || 1 || 0 || 1 || 0 || 0 || 6 || 0 || 1 || 30 || 1 || 1 || || 2시즌 ||<-2> '''합계''' || '''52''' || '''3''' || '''0''' || '''2''' || '''0''' || '''0''' || '''6''' || '''0''' || '''1''' || '''60''' || '''3''' || '''1''' || ||<|2> {{{#FFF200 '''시즌''' }}} ||<|2> {{{#FFF200 '''팀''' }}} ||<|2> {{{#FFF200 '''소속 리그''' }}} ||<-3> {{{#FFF200 '''리그''' }}} ||<-3> {{{#FFF200 '''국내 컵''' }}} ||<-3> {{{#FFF200 '''대륙 대항전''' }}} ||<-3> {{{#FFF200 '''총합''' }}} || || {{{#0B904B '''경기''' }}} || {{{#0B904B '''골''' }}} || {{{#0B904B '''도움''' }}} ||{{{#0B904B '''경기''' }}} || {{{#0B904B '''골''' }}} || {{{#0B904B '''도움''' }}} ||{{{#0B904B '''경기''' }}} || {{{#0B904B '''골''' }}} || {{{#0B904B '''도움''' }}} ||{{{#0B904B '''경기''' }}} || {{{#0B904B '''골''' }}} || {{{#0B904B '''도움''' }}} || || 2019 ||<|3> [[베이징 궈안]] ||<|3> [[중국 슈퍼 리그]] || 26 || 0 || 0 || 2 || 0 || 0 || 6 || 0 || 0 || 34 || 0 || 0 || || 2020 || 17 || 0 || 0 || - || - || - || 6 || 0 || 0 || 23 || 0 || 0 || || 2021 || 2 || 0 || 0 || - || - || - || - || - || - || 2 || 0 || 0 || || 3시즌 ||<-2> '''합계''' || '''45''' || '''0''' || '''0''' || '''2''' || '''0''' || '''0''' || '''12''' || '''0''' || '''0''' || '''59''' || '''0''' || '''0''' || ||<|2> {{{#FFF000 '''시즌''' }}} ||<|2> {{{#FFF000 '''팀''' }}} ||<|2> {{{#FFF000 '''소속 리그''' }}} ||<-3> {{{#FFF000 '''리그''' }}} ||<-3> {{{#FFF000 '''국내 컵''' }}} ||<-3> {{{#FFF000 '''대륙 대항전''' }}} ||<-3> {{{#FFF000 '''총합''' }}} || || {{{#004B8D '''경기''' }}} || {{{#004B8D '''골''' }}} || {{{#004B8D '''도움''' }}} || {{{#004B8D '''경기''' }}} || {{{#004B8D '''골''' }}} || {{{#004B8D '''도움''' }}} || {{{#004B8D '''경기''' }}} || {{{#004B8D '''골''' }}} || {{{#004B8D '''도움''' }}} || {{{#004B8D '''경기''' }}} || {{{#004B8D '''골''' }}} || {{{#004B8D '''도움''' }}} || || 21-22 || [[페네르바흐체 SK]] || [[쉬페르리그]] || 31 || 1 || 0 || 1 || 0 || 0 || 8 || 0 || 0 || 40 || 1 || 0 || || 1시즌 ||<-2> '''합계''' || '''31''' || '''1''' || '''0''' || '''1''' || '''0''' || '''0''' || '''8''' || '''0''' || '''0''' || '''40''' || '''1''' || '''0''' || ||<|2> {{{#FFF '''시즌''' }}} ||<|2> {{{#FFF '''팀''' }}} ||<|2> {{{#FFF '''소속 리그''' }}} ||<-3> {{{#FFF '''리그''' }}} ||<-3> {{{#FFF '''국내 컵''' }}} ||<-3> {{{#FFF '''대륙 대항전''' }}} ||<-3> {{{#FFF '''총합''' }}} || || {{{#1a90cd '''경기''' }}} || {{{#1a90cd '''골''' }}} || {{{#1a90cd '''도움''' }}} || {{{#1a90cd '''경기''' }}} || {{{#1a90cd '''골''' }}} || {{{#1a90cd '''도움''' }}} || {{{#1a90cd '''경기''' }}} || {{{#1a90cd '''골''' }}} || {{{#1a90cd '''도움''' }}} || {{{#1a90cd '''경기''' }}} || {{{#1a90cd '''골''' }}} || {{{#1a90cd '''도움''' }}} || || 22-23 || [[SSC 나폴리]] || [[세리에 A]] || 11 || 2 || 0 || - || - || - || 4 || 0 || 0 || 15 || 2 || 0 || || 1시즌 ||<-2> '''합계''' || '''11''' || '''2''' || '''0''' || '''-''' || '''-''' || '''-''' || '''4''' || '''0''' || '''0''' || '''15''' || '''2''' || '''0''' || ||<-3> '''통산''' || '''154''' || '''6''' || '''0''' || '''7''' || '''0''' || '''0''' || '''30''' || '''0''' || '''1''' || '''191''' || '''6''' || '''1''' || === 국가대표 === * '''2022년 3월 29일 기준.''' * 출전기록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FF2E3C 20%, #FF2E3C 80%, #b71d27)" {{{#ffffff '''소속 대표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FF2E3C 20%, #FF2E3C 80%, #b71d27)" {{{#ffffff '''연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FF2E3C 20%, #FF2E3C 80%, #b71d27)" {{{#ffffff '''경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FF2E3C 20%, #FF2E3C 80%, #b71d27)" {{{#ffffff '''득점''' }}}}}} || ||<|5>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U - 17 || 0 || 0 || || U - 20 || 2 || 0 || || U - 23 || 8 || 0 || || A 대표 || 42 || 3 || || '''통산''' || '''52''' || '''3''' || * 골 기록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FF2E3C 20%, #FF2E3C 80%, #b71d27)" {{{#ffffff '''날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FF2E3C 20%, #FF2E3C 80%, #b71d27)" {{{#ffffff '''장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FF2E3C 20%, #FF2E3C 80%, #b71d27)" {{{#ffffff '''상대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FF2E3C 20%, #FF2E3C 80%, #b71d27)" {{{#ffffff '''결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9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FF2E3C 20%, #FF2E3C 80%, #b71d27)" {{{#ffffff '''대회명''' }}}}}} || || 2019.1.11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5]] [[알 아인]] ||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width=25]] [[키르기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키르기스스탄]] || 1:0 승 ||<|2> [[2019 AFC 아시안컵 아랍에미리트|2019 AFC 아시안컵]] || || 2019.1.16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5]] [[아부다비]]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중국]] || 2:0 승 || || 2019.12.15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부산광역시|부산]]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중국]] || 1:0 승 || [[2019 EAFF E-1 풋볼 챔피언십|2019 동아시안컵]] || == [[김민재/논란|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민재/논란)] == [[김민재/관련 언사|김민재에 대한 언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피파 공식 SNS 김민재.jpg|width=10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김민재/관련 언사)] == 홍보대사 == [youtube(8GrvrZpXXgM)] * [[2021년]] 1월 [[https://purme.org/ambassadors|푸르메재단 홍보대사]]로 위촉, 장애어린이의 재활과 장애청년의 자립에 힘을 보태기로 하고 기부금 5천만 원을 쾌척했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10&aid=0000755781|#]] * [[2022년]] 5월 지난해 5천만 원에 이어 올해 5천만 원을 추가 기부하며 총 1억 원을 기부, 푸르메재단 고액기부자모임 '더미라클스'의 35번째 회원이 되었다. [[http://www.stoo.com/article.php?aid=80096014294|#1]] [[https://youtu.be/rRNlLZq4ZwI?t=490|#2]] == [[WAGs]] == 2020년 5월 3일에 업로드된 [[박문성]] 해설위원 유튜브 채널 영상에 김민재가 출연하여 2020년 5월 2일 결혼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배우자는 일반인이며 김민재는 자신이 대학생때 축구보다 연애를 더 열심히 했어서 빨리 결혼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2021년 딸이 태어나자 혼전임신설 등이 불거져 비난이 쏟아지기도 했다. 팬들의 발언 수위가 점점 높아지자 2021년 8월 31일 김민재 본인이 인스타그램 게시물을 통해 아내가 힘들어하고 있다며 자제해줄 것을 부탁했다. 사실 결혼식보다 혼인신고가 빨랐고 아이는 혼인신고 후에 생겼다고 직접 밝혀 논란이 사그라들었다. 2022년 10월에는 아내와 함께 축구신문 칼치오 나폴리에 나왔는데 나폴리 시내의 일식 전문점에 가서 초밥을 먹는 사진이 실렸다. 같은 해 11월, 나폴리 현지 강도들에게 차량을 도난당하는 피해를 입었다. 얼마 뛰지않은 김민재에게 아직도 깊은 사랑을 주고 있는 페네르바체 팬들이 심지어는 아내의 인스타그램에까지 와서 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 여담 == * 정말 특이하게 [[딩굴 키보드]]를 사용한다. * 가족이 모두 체육인 집안이다. 아버지가 유도선수, 어머니가 육상선수 출신이다. 그러니 지금의 운동신경은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라고 봐도 된다. 형도 [[명지대학교]]에서 [[골키퍼]]로 활약 중이라고 한다. * [[축구]]를 시작한 계기가 [[공부]]가 하기 싫어서였다고 한다. * 본래 프로 입단 이전에 [[포지션]]은 지금처럼 [[센터백]]이 아니라, 초등학교 시절에는 [[공격수]] 출신이었다고 한다. * 한때 SNS를 매우 활발히 했다. 안 끼는 곳이 없다 싶을 정도로 다른 선수들 글에 댓글도 열심히 남기는 편이었다. 상당히 재치있는 글도 많이 올렸는데 시비거는 팬과 키배를 벌이거나 도발해오는 [[이란]] 팬에게 노빠꾸로 극딜을 먹인 일이 유명하다. 크게 문제가 된 적은 없었지만 본인이 이런저런 일로 많이 데이다 보니 지금은 예전보다 자제하고 있다. * [[최강희(축구인)|최강희]] 감독을 영입한 텐진 취안젠에서 [[김신욱]]과 함께 영입 대상이 되었다.[[http://news.donga.com/Top/3/05/20181119/92927732/1|#]] 이에 팬들은 당연히 김신욱이라면 모를까, 김민재의 중국 진출은 절대 반대하고 있었고, 이 와중에 유망주 중국화 시킬 셈이냐며 최강희 감독 또한 비난을 받았다. 그러나 취안젠이 망했고[* 취안젠 그룹이 불법 행위를 저지르다 망했다. 그래서 이름이 톈진 톈하이로 변경.], 최강희도 계약 해지를 당해서 김민재 영입전은 그렇게 흐지부지됐다. * 여배우 [[신도현]]과 친한 것으로 보인다. 김민재가 드라마 [[땐뽀걸즈]] 촬영 현장에 신도현을 위해 커피차를 보냈고 인스타그램에서도 댓글을 남기는 등 매우 친밀한 사이다. * 인터뷰에 의하면 베이징 생활은 대체로 만족했지만, 음식에 들어가는 [[고수]]에 적응하는 것은 좀 힘들었다고 한다. * [[베이징 궈안]] 이적 후 ACL에서 유독 K리그 팀들만 만나면 실수를 하는 [[애국자]] 기믹이 제대로 생겼다. 2019년 친정팀 전북과의 조별예선에서는 김민재답지 않은 빌드업 미스로 전북에게 선취골을 내주고, 2020년 조별예선 FC 서울전과 8강전 울산 현대 전에서는 핸드볼 파울을 저질러 PK를 내줬다. * [[베이징 궈안]]에서 같은 동료였던 [[헤나투 아우구스투]]에게 수비하는 방법을 보면서 많이 배웠다고 한다.[[https://m.fmkorea.com/best/4864118692|#]] * 예전에 머리스타일을 짧게 잘라 축구유튜버 채널에 출연했다. 당시 헤어 스타일이 군대 입영하는 병사처럼 짧아진 이유에 대해 밝히길 중국리그 시절 현지에서 커트를 했을때 엉망이 돼서 차라리 잘됐다 생각하고 그냥 밀어버렸다고 한다. * [[박주호]]와 [[장현수]]에게 수비수에 대한 지능적 플레이를 많이 배웠다고 한다. [[김영권]]에게도 많이 배우긴 했지만 그는 즉석에서 물어볼 수 있기 때문에 많이 따라다니진 않았다고 말했다. * [[완벽주의자]]라 한번이라도 수비를 실수하면 정말 화가 많이 나며 용납이 안된다고 한다. * 중국리그로 이적하면서 한창 까이던 시절 그의 이름을 중국식으로 로컬라이징한 김민짜이, 진민짜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당사자는 이 별명이 정말 싫은 모양인지 여러 번 민감한 반응을 보였고, 심지어 본 항목 탐방 도중 진민짜이 별명을 보더니 이제 진민짜이 그만 써달라고 부탁까지 했다. * 진민짜이와는 반대 의미의 별명은 반다이크와 플레이스타일이 비슷하다고 반다이크를 변형시킨 것들이 많다. Ex) 한반다이크, 반도다이크, 반의 반다이크, 민자이크 등 * 자신이 축구선수가 안 됐으면 뭘 했을거라 생각하냐는 질문에 집이 통영이라서 수산업을 했을 것 같다고 말했다. * 대표팀에선 주로 [[황희찬]], [[나상호]], [[황인범]]과 함께 96라인으로 불린다. * 롤모델은 처음엔 [[세르히오 라모스]]와 [[페페]]였지만 최근에는 [[다요 우파메카노]]로 바꼈다고 한다. 둘의 플레이스타일도 꽤 비슷한데 뇌지컬과 피지컬이 동시에 된다는 점과 센터백치고 발재간이 좋다는 점이 공통점 * [[프리미어 리그]] 무대에선 언젠가는 꼭 뛰어보고 싶다고 밝혔다. * 유튜브에서는 주로 자신의 스폐셜영상을 많이 본다고 한다. * 닮은꼴로는 [[김신영]]이 주로 언급되는데 옛날부터 김신영을 닮았다는 말을 많이 들었다고 한다. 최근에는 [[허각]], 그리고 가수 [[양다일]]을 닮았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는다. 그래서 양다일이 노래하는 유투브 영상에 '''"김민재 선수 앞으로 [[SSC 나폴리|나폴리]]에서도 좋은 활약 보여주세요!", "김민재 노래도 잘하네?"''' 같은 개드립스러운 댓글이 있었을 정도였다.[[https://youtu.be/k02azAGf5ew|#]] 그리고, 김민재 본인도 고알레 유투브 채널에서 이 댓글을 실제로 봤다고 한다.[[https://youtu.be/rRNlLZq4ZwI|#]] * 거대한 몸집과 큰 키에 상반되는 귀여운 얼굴을 가져 은근히 여성팬들이 많다. * 강해보이는 각진 얼굴 골격을 가졌는데도 불구하고 앞머리를 덮는 더벅머리를 하는 등 강한 이미지와는 맞지 않는 스타일링으로 피지컬에 비해 순해보이는 이미지가 있었는데 유럽 이적 후 머리를 짧게 자르면서 갖고있던 얼굴 골격 특유의 세보이는 이미지와 매력이 드러난다는 평가가 있다. 실제로 실력에 대한 평가에 외모가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입증되면서 정치계나 스포츠계에서는 전략적으로 외모나 스타일링에 대한 디자인을 받는다. [[파일:김민재 근육팔.jpg]] * 국내 커뮤니티에서는 김민재 특유의 여덟 팔자 모양으로 끝이 쳐지고 길이가 짧은 눈썹이 인상을 흐려보이고 피지컬에 비해 약하게 보이게 한다는 의견이 있어 위와 같은 눈썹 교정 염원 짤이 돌아다니기도 한다. 실제로 눈썹교정은 문신이나 제모 등으로 외모를 드라마틱하게 바꿀 수 있어 최근 한국에서 면접 등을 앞두고 광범위하게 받는 기본적인 외모 관리에 속한다. [[파일:kimin1.jpg]][[파일:kimmin2.jpg]] * 대한민국 축구 선수 중 근육량이 가장 좋다는 평이 있는데, 매일 [[벌크업]]을 위해 운동한다고 한다. * 몸에 [[기독교]] 관련 문신이 많다. 가슴에는 커다랗게 레터링을 했고 등판에는 아마겟돈을 형상화한 그림과 가운데에는 십자가를 쥐고 있는 예수 문신이 있다. 왼팔 안쪽면에도 레터링과 성 야고보 십자가 문신이 있다. 그래서 가톨릭 신자가 대부분인 나폴리 팬들도[* 참고로 [[마라도나]]의 사망 이전 나폴리의 홈 경기장 이름은 [[바울로]]의 이름을 딴 [[스타디오 산 파올로]]였다.] 신기하게 바라본다고 한다.[[https://m.fmkorea.com/best/5210512977|#]] * [[파주 NFC]]에서 음식을 가장 잘 먹는 선수라고 한다. * [[통영시]] 출신이라서 그런지 사투리를 쓴다. 인터뷰를 할때는 사투리를 안쓰지만 평소 훈련을 하거나 자신과 친숙한 사람하고는 사투리를 쓰는 것으로 보인다. * 친화력이 굉장히 좋다. * [[풋볼매니저]] 시리즈에서 별로 좋지않은 능력치의 소유자였으나 [* 잘해봤자 베이징 잔류나 심지어 주전 경쟁에 밀려 덴마크 리그로 가는게 빈번했다.] 풋볼매니저 22에는 능력치가 상당히 좋아지며 epl 중상위권 구단은 물론 심지어 [[레알 마드리드]]가 노리는 자원으로 까지 능력치가 조정됐다. 실제로도 노리고 있는 중이다.[[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221205000680|#]]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공식 페이스북의 [[2022 수능]] 응원 게시물[[https://www.facebook.com/KoreaFootballTeam/posts/10160594581183836|#]]에서 뜬금없이 수능 준비물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정확히는 시간이 부족할 때는 4번으로 찍으라는 뜻이라고. * 국가대표 훈련장에서 후배들에게 서로 의사소통을 많이 해야 한다면서 잔소리를 했을 때 '''[[https://youtu.be/HxTjn7Td7PI|"운동장 와 이리 조용하노?"]]''' 발언이 축구 커뮤니티에서 여러가지로 밈이 되었다.[[https://m.fmkorea.com/4076804693|#]] * 동명이인 배우 [[김민재(배우)|김민재]]에게 영상편지를 보냈다.[[https://youtu.be/q3ppmhQW6gw|#]] * 김민재가 [[SSC 나폴리]]로 이적하고 선수들이 모여있는 입단 신고식에서 [[싸이]]의 '[[강남스타일]]' 을 노래해서 소소한 화제가 되었다.[[https://twitter.com/sscnapoli/status/1552413853077671938|#]] 그리고, 나중에 주장 [[디로렌초]]의 생일파티에서 강남스타일을 한 번 더 불렀다고 한다.[[https://m.fmkorea.com/best/4888846523|#]] 이에 네티즌들은 '''"오락부장 김민재", "축구하러 간게 아니라 구단 전속 가수로 행사뛰러 간거 아니냐? ㅋㅋㅋ", "보컬형 센터백이냐? ㅋㅋㅋ"''' 같은 농담을 하기도 했다. * 나폴리 이적 직전 [[고알레]] 채널에서 본인의 나무위키 문서를 다시 읽어봤다.[[https://youtu.be/rRNlLZq4ZwI|#]] * 나폴리 이적 후 기자회견에서 김민재의 통역을 맡은 통역사가 유창한 한국어로 화제가 되었다. 이 통역사는 나폴리동양학대 한국학과 책임교수인 [[안드레아 데 베네디티스]]인데, 한국에서 교환학생으로 지내면서 한국어를 배웠다고 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2835205?sid=104%29|#]] * 2022년 들어 [[K리그]]의 정동식 주심이 김민재와 닮은 꼴 외모로 축구팬들에게 크게 이슈가 되었다. * [[메가공무원]]의 한국사 강사 [[전한길]]과 닮은 꼴이다. 또한, 연예인 [[조세호]]와도 닮았다. * 김민재가 세리에 A 데뷔골을 넣고 알려진 사실인데 나폴리 이적설이 보도될 당시 스카우터들이 만장일치로 아우성을 쳤고 데라우렌티스 회장과 내기까지 하려고 했다고 한다. * [[2022년]] [[9월 6일]],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카타르 월드컵]] 특집으로 [[MBC]]에서 그를 다룬 다큐멘터리인 김민재 더 몬스터가 방송되었다. * [[페네르바흐체 SK|페네르바체]]에서의 활약 덕에 이적 이후에도 [[튀르키예]] 팬들이 상당히 많아진 것으로 보인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109&aid=0004694990|#]] 특히 페네르바체 팬들은 여전히 김민재를 그리워해하고 있다. 카타르 월드컵 조별리그 우루과이 전에 관중석에 페네르바흐체 SK 유니폼을 입고 응원하는 팬이 찍히기도 했다. * 최근 연이은 활약으로 인해 팬들이 많아지면서 "김민재 굉장하다"가 밈처럼 많이 쓰이고 있다. 변형버전도 많이 쓰이고 있다. * 나폴리 시내에 자신의 벽화가 그려졌다. [[https://naver.me/GwEKzR85|기사]] 놀라운 것은 나폴리로 이적한지 한 시즌도 지나지 않았다는 것. 참고로 22-23 스쿼드 선수 전부가 그려진 것은 아니고 현재 가장 활약이 좋은 선수들로 그려졌다고 한다. * 세리에 A 2022-23시즌 10라운드 볼로냐전에는 나폴리 팬들이 한글로 철기둥[* [[주세페 브루스콜로티]]의 별명이었다.]이라는 현수막을 들고 응원했다. [[https://n.news.naver.com/sports/wfootball/article/025/0003231123|#]] * 2022년 10월 축구전문매체 442가 선정한 세계 최고의 센터백 10위에 랭크되었다. ||<-2> {{{#e5b827 '''442 선정 세계 최고의 센터백 Top 10 (2022.10.24 기준) [[https://www.fourfourtwo.com/features/best-centre-backs-defenders-in-the-world|링크]] '''}}} || || {{{#e5b827 ''' 1위 '''}}} ||[[데이비드 알라바]] ([[레알 마드리드 CF]]) || || {{{#e5b827 '''2위'''}}} ||[[마르키뉴스]] ([[파리 생제르맹 FC]]) || || {{{#e5b827 '''3위'''}}} ||[[후벵 디아스]] ([[맨체스터 시티 FC]]) || || {{{#e5b827 '''4위'''}}} ||[[버질 판데이크]] ([[리버풀 FC]]) || || {{{#e5b827 '''5위'''}}} ||[[안토니오 뤼디거]] ([[레알 마드리드 CF]]) || || {{{#e5b827 ''' 6위'''}}} ||[[다요 우파메카노]] ([[FC 바이에른 뮌헨]]) || || {{{#e5b827 ''' 7위'''}}} ||[[에데르 밀리탕]] ([[레알 마드리드 CF]]) || || {{{#e5b827 '''8위'''}}} ||[[윌리엄 살리바]] ([[아스날 FC]]) || || {{{#e5b827 '''9위'''}}} ||[[크리스티안 로메로]] ([[토트넘 홋스퍼 FC]]) || || {{{#e5b827 '''10위'''}}} ||[[김민재]] ([[SSC 나폴리]]) || * 카타르 월드컵 공식 인스타그램에 [[https://www.instagram.com/p/CkGF4fuqIH2/?utm_source=ig_embed&ig_rid=346ff3a8-dc77-4415-b48f-ef90a4e2f045|단독 사진 게시물]]이 올라오면서 월드컵에서도 주목할만한 선수라는 완벽한 인증을 받았다. * 김민재는 카타르 월드컵 무대를 밟는 이탈리아 세리에A 선수들 중 주목할 선수로 꼽혔다.미국의 CBS 스포츠에서 "주목할 10명을 선정했다"며 발표했는데, 그 명단 속에 김민재도 포함됐다. [[https://www.news1.kr/articles/?4863655|관련 기사]] || ''' {{{#060606 2022 CBS 스포츠 선정 카타르 월드컵에서 주목할 이탈리아 세리에 A 소속 선수 10인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11px" ||
[[김민재]]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KR]]) [br] [[SSC 나폴리|나폴리]] No.3 || [[세르게이 밀린코비치사비치|밀코사]]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SR]]) [br] [[SS 라치오|라치오]] No.21 || [[하파엘 레앙|레앙]]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PT]]) [br] [[AC 밀란|밀라노]] No.17 || [[웨스턴 맥케니|맥케니]]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US]]) [br] [[유벤투스 FC|유벤투스]] No.8 || [[라우타로 마르티네스|라우타로]]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AR]]) [br] [[인테르 밀라노|인테르]] No.10 || || [[이르빙 로사노|로사노]]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MX]]) [br][[SSC 나폴리|나폴리]] No.11 || [[테오 에르난데스|테오]]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FR]]) [br] [[AC 밀란|밀라노]] No.19 || [[두샨 블라호비치|블라호비치]]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SR]]) [br] [[유벤투스 FC|유벤투스]] No.9 || [[파울로 디발라|디발라]]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AR]]) [br] [[AS 로마|로마]] No.21 || [[압델하미드 사비리|사비리]] ([[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MA]]) [br] [[UC 삼프도리아|삼프도리아]] No.11 || }}}}}}}}} || * 나폴리에서 홈 데뷔전 골, 라치오전 동점 골 같은 임팩트 있는 득점을 하다 보니 현 포지션이 센터백임에도 김민재 관련영상 댓글에 골실점이 아닌 '''골득점'''과 관련된 이야기가 종종 나오고 있다. * 경기[* 2022-23 13R [[아탈란타 BC]]전]가 끝난 이후 "[[맘마미아]]!"라고 말하며 승리를 만끽하는 장면이 [[https://twitter.com/SerieA_EN/status/1589433705424109569?s=20&t=ExI7uuv7ECM1CcE6efJ-AA|세리에 A 공식 트위터]]에 올라왔다. 이 때 세리에 A 공트에서 [[K리그]] 공식 트위터를 언급하며 한국에서는 맘마미아를 어떻게 말하는지 물어봤고 K리그 공트는 '대박', '맙소사'로 말한다고 [[https://twitter.com/kleague/status/1589517418938138625?s=20&t=ExI7uuv7ECM1CcE6efJ-AA|답변했다.]] * [[청와대]] 만찬 자리에서 행사 사회자가 [[조규성]]에게 “국가 대표팀에서 자신이 가장 잘 생겼다고 생각하느냐”고 묻자 조규성이 [[손흥민]]을 지목하고 손흥민이 김민재를 지목했는데, 이에 대해 김민재는 “저에게 잘생겼다고 말하는 사람을 믿지 않는다”고 말해 현장을 웃음바다로 만들었다.[[https://n.news.naver.com/sports/qatar2022/article/014/0004939892|#]] * 2022-23 시즌 전반기를 마치고 세리에 A에서 누구를 막기가 제일 힘들었냐고 질문받자 [[올리비에 지루]]라고 답했다. == 관련 문서 == * [[축구 해외파 선수들]] == 둘러보기 == [include(틀:SSC 나폴리)] [include(틀: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각주] [[분류:김민재]] [include(틀:포크됨2, title=김민재, d=2023-01-27 07: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