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본명이 김무종인 철권 프로게이머, rd1=김무종(철권))] || '''김무종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4>
[[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1.svg|height=70]][[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2.svg|height=70]][[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3.svg|height=70]][[파일:해태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4.svg|height=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 반지''' || || '''[[1983년 한국시리즈|{{{#ffffff 1983}}}]]''' || '''[[1986년 한국시리즈|{{{#ffffff 1986}}}]]''' || '''[[1987년 한국시리즈|{{{#ffffff 1987}}}]]''' || '''[[1988년 한국시리즈|{{{#ffffff 1988}}}]]''' || ---- || [[KBO 골든글러브 역대 수상자|[[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br] '''{{{#ffffff 1983 KBO 베스트 10}}}''' || ---- [include(틀:KBO 올스타전 역대 미스터 올스타)] ---- ||<-5> '''[[해태 타이거즈|{{{#fff 해태 타이거즈}}}]] {{{#fff 등번호 25번}}}''' || || 결번 || {{{+1 →}}} || '''김무종[br](1983~1988)''' || {{{+1 →}}} || [[정회열]][br](1990~1997)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ojsfile.ohmynews.com/IE001271929_STD.jpg|width=100%]]}}} || ||<-2> [[1983년 한국시리즈]] 우승 후 시상식에서 감격의 눈물을 흘리는 김무종,,(왼쪽),,[* 사진의 오른쪽 인물은 [[장명부]]로 시즌 다승왕 및 베스트10 투수 부문 수상자이기 때문에 같이 나왔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ge/109/2005/05/06/200505061216071100_1.jpg|width=100%]]}}} || ||<-2> [[1983년 한국시리즈]] 4차전에서 홈에 뛰어들다 아웃된 후 허탈해 하는 [[이해창(1953)|이해창]]을 보고 웃고 있는 김무종(왼쪽).[* 이 때 김무종은 이해창에게 '''"아웃이에요, 아웃"'''이라고 말했다. 이 사진은 이듬해 KBO가 발행한 1984년도판 프로야구 연감의 표지를 장식했다.] || ||<-2> '''{{{+2 김무종}}}[br]金茂宗[* 개명 전 김무미(金茂美).] | Kim Mu-Jung''' || || '''일본명''' ||키모토 시게미(木本茂美) → 타키무라 시게미(滝村茂美) || ||<|2> '''출생''' ||[[1954년]] [[4월 7일]] ([age(1954-04-07)]세) || ||[[일본]] [[야마구치현]] [[야마구치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사쿠라가오카 고등학교]] {{{-2 (졸업)}}} || || '''포지션''' ||[[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1972년 드래프트 8라운드 ([[히로시마 도요 카프|히로시마]]) || || '''소속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1973~1982) [br] '''[[해태 타이거즈]] (1983~1988)''' || || '''지도자''' ||[[삼성 라이온즈]] 1군 배터리 코치 (1991~1993) || [목차] [clearfix] == 개요 == [[재일교포]] 출신의 [[KBO 리그|프로야구]] 선수, 지도자. 포지션은 [[포수]]. [[일본]]명은 키모토 시게미(木本茂美)로 원래 한국명은 김무미지만 어감이 안 좋다는 이유로 김무종으로 개명당했다.[* 한자 문화권에서 [[美|아름다울 미(美)]]자가 남자 이름에 쓰이는 곳은 [[일본]] 이외엔 거의 전무한 편이다.] 또한 현역 생활 은퇴 후 일본으로 돌아간 후 성을 키모토에서 타키무라(滝村)로 바꿨다고. == 선수 경력 == === [[일본프로야구]] 시절 === 일본 [[야마구치현]]의 [[사쿠라가오카 고등학교#s-2]]를 졸업하고 1972년 드래프트 8순위로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 입단했다.[* 나중에 [[장명부]]와 같이 [[삼미 슈퍼스타즈]]에 입단하는 내야수 [[이영구]]와 팀메이트이자 [[룸메이트]] 였다.] 그러나 프로 11시즌 동안 1군 출장이 겨우 15경기에 불과할 정도로 철저히 2군에 묻혀 있었다. === [[KBO 리그|한국프로야구]] 시절 === [[1983년]] [[한국야구위원회]]의 재일교포 선수 영입 계획에 의해 [[한신 타이거즈]]에서 뛰던 투수 [[주동식]]과 함께 [[해태 타이거즈]] 유니폼을 입었다. 원년의 해태는 박전섭[* 1959년생, [[김성한]]의 군산상고-동국대-해태 동기생이다. 1982~1985년 해태에서 뛰었다.]과 김경훈[* 신일고 야구부의 창단멤버이자 주장이었으며 고교 시절 청소년대표로 뽑혔다. 고려대 진학 대신 실업팀 상업은행에서 뛰었으며 1982년 해태에서 한 시즌만 뛰고 선수생활을 마감했다. 해태 팬들에게는 스카우터로 잘 알려져있다.]이 번갈아 가며 마스크를 썼는데 상대팀 주자들이 대놓고 뛰어도 거의 잡지를 못할 정도로 허약한 안방을 자랑(...)하던 팀이었지만, ~~[[김일권]]이 같은 팀이었음을 다행으로 알라~~ 김무종의 입단으로 최강의 배터리를 구축하게 되었다. 비록 2군에만 있었다지만 일본야구를 경험한 김무종은 한 수 앞선 투수리드와 강한 어깨, 견고한 블로킹으로 해태 투수들을 이끌면서, 타율 0.262, 12홈런, 60타점을 올리며 개인타격 최고의 시즌을 보냈다.[* 김종모 김봉연 김성한 다음으로 잘 쳤으며 리그 전체를 봐도 상위권이고 타석도 팀에서 5번째로 많다.] 그리고 해태가 [[MBC 청룡]]을 꺾고 [[1983년 한국시리즈]]를 제패하는 데 큰 공로를 세웠다. [[1984년]] [[MBC 청룡]]의 공격형 포수였던 [[유승안]]이 현금 트레이드를 통해 해태로 왔지만[* [[유승안]]은 MBC 청룡에서 프로 첫 개막전에서 선발 포수이자 4번타자로 중용되는 영광을 누렸으나 개막전 끝내기 찬스에서 과욕을 부리다 득점에 실패했고 결국 [[백인천]] 당시 감독에게 단단히 찍히게 된다. 이후 MBC의 주전 포수는 [[김용운(야구)|김용운]]이 기용됐고 유승안은 그 뒤로 밀려났으며 1983년에도 유승안의 경기 출전 시간은 늘어나지 못했다. 심지어 롯데에서 데려온 차동열까지 MBC 포수 경쟁에 가세하자 결국 팀 내에서 자리를 잃고 해태로 트레이드 된다.] 주전포수는 여전히 김무종이었고 좋은 타격을 보여줬다. 1985년이 되자 리그 평균 이하의 공격력으로 내려갔으나 여전히 주전을 차지하고 포수 치고 타격은 좋은 편이었다. 1986년 유승안이 신생팀 [[빙그레 이글스]]로 떠나고 신예 [[장채근]]이 들어왔지만 아직 김무종이 주전 포수를 지켰다.[* 실제로 장채근은 김무종과 매우 친하게 지냈고 많은 것을 배웠다고 한다. 그러나 김무종의 백업으로 있던 시절 본인이 타석에 자주 들어서지 못하자 출장 기회에 대한 불만이 생겼다. 그러던 중 대구 원정경기를 마치고 고교 선배인 [[이순철]]과 숙소 근처 포장마차에서 술을 먹다가 이순철이 "야! 언제까지 백업으로 있을래? 김무종에게 이겨야 할 것 아니냐? 감독님한테 가서 너 좀 써달라고 따져"라고 말했다. 만취 상태에 이른 장채근은 김응용 감독의 방으로 쳐들어갔다. 이를 두고 장채근의 룸메이트였던 [[김종모]]는 "장채근이 김응용 감독을 위협하려다가 거꾸로 엄청나게 맞았다"고 말한 바 있지만 상황의 당사자인 장채근은 "술김에 김응용 감독 방에 들어간 것은 맞지만 대들지는 않았으며 본인 좀 자주 기용해달라고 무릎 꿇고 빌었다"고 회상했다.] 이 해 올스타전에서는 MVP를 수상했다. 1987년에도 마찬가지로 전해와 마찬가지로 주전으로 활약하며 2년 연속 한국시리즈 우승([[1986년 한국시리즈]], [[1987년 한국시리즈]])을 맛봤다. 그러나 [[1987년]] 시즌 중반부터 엄지손가락이 뒤로 젖혀지는 포수들의 '''직업병'''[* 이로 인해 은퇴한 포수들이 많은 편이며, 2015년 시즌 직전 은퇴한 [[현재윤]]도 이런 케이스.]이 심해지며 조금씩 포수 자리를 [[장채근]]에게 내주었고, 비록 고국이라고는 하지만 타국이나 다름없는 낯선 한국에서의 생활과 [[재일교포]]에 대한 냉대에 지쳐 [[우울증]]까지 도지면서[* 이 당시 김무종은 언론에 '''"내 고향은 현해탄이다"''' 라고 털어놓을 정도로 한국인들의 푸대접에 대해 섭섭함을 토로하기도 했다. 동료인 [[주동식]]의 증언에 따르면 [[삼성 라이온즈]]와의 대구 원정경기 후 술을 잔뜩 마시고 만취한 김무종이 호텔 로비에서 "(반쪽바리라고) 차별하지 말라"며 울부짖은 적도 있다고 한다.] 결국 [[1988년]] 잠재력이 폭발한 장채근이 주전을 꿰차게 되었고 김무종은 고작 9경기 9타석만 나오며 이 시즌을 마무리했다.[* 그러나 [[정회열]]의 등장으로 [[1993년 한국시리즈]]에서도 주전 자리를 내준 장채근은 결국 1994년 [[최해식]]과의 맞트레이드로 [[쌍방울 레이더스]]로 트레이드됐다. 그리고 1995년 시즌을 끝으로 선수생활을 마감한다.] 그리고 [[해태 타이거즈]] 유니폼을 벗고 [[일본]]으로 돌아가고 말았다. 프로 6시즌 통산 타율 0.240, 41홈런, 192타점을 기록하였다. 통산 wRC+가 약 92정도 되는 공격이 되는 포수였으며, 노련한 [[포수 리드]], S급이라 평가받은 수비능력으로 해태 안방을 든든하게 지키며 초창기 해태의 전성시대를 이끌었다는 평을 받는다. == 은퇴 이후 == 1991년 [[삼성 라이온즈]] 감독에 취임한 [[김성근]]의 부름을 받고 삼성의 배터리 코치로 한국 프로야구에 복귀하였다. 이듬해 말 김성근이 감독직에서 물러난 가운데에서도 코치직을 유지했지만 [[1993년 한국시리즈]]를 패퇴로 끝난 뒤 재계약을 포기하고 다시 [[일본]]으로 떠나야 했다.[* 삼성은 그를 대신해 미국 연수 중이었던 [[김경문]]을 영입했다. 그리고 [[삼성 라이온즈|삼성]]의 [[556|1차 암흑기]]를 김경문과 함께 했다. ~~망해쓰요~~] 이후 일본에서 운수업, 정확히는 트럭 운전을 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2011년 2월 6일 [[NHK]]에서 방영된 재일교포 야구인을 소재로 한 다큐멘터리 '''"백구(白球), 선수들은 바다를 건넜다"'''에 출연했다.[[https://youtu.be/4BOId6f3mY8|#]] == 여담 == 과거 프로야구 매니지먼트 게임인 [[프로야구매니저]]에서 연도에 상관없이 사용가능한 클래식 카드로 출연하여 다시 관심을 받았었다. 이유가 뭔고 하니 [[KIA 타이거즈|기아 타이거즈]], [[해태 타이거즈]]의 포수 카드들 중에 타격과 수비가 동시에 되는 유일무이한 옵션이기 때문이다. 수비 SS등급 달성이 가능하고 교정과 육성에 따라 교타 110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마구마구]]에서는 성명권 문제로 인하여 김이종이라는 이름의 선수카드에 그의 기록과 능력치가 수록되어 있다. 성격이 좋기로 소문나있다. 제구력 난조로 프로 초기 어려움을 겪던 김정수에게 맘 놓고 세게 던지기만 하면 된다고 격려했다고 한다. 선동열이 주전포수인 본인 말고 신예포수인 장채근과 배터리를 짜겠다고 해도 별 불만이 없었다고 한다. 2021년 김성한과 김종모가 유튜브 채널 [[전설의 타이거즈]]에 출연하여 밝힌 일화로 어느 날 게임에서 패하여 화가 난 김응용 감독이 선수단을 모두 차에 태워 [[전라남도]] [[장성군]]에 내리게 하고 광주광역시까지 뛰어서 돌아올 것을 지시했는데 같은 재일교포 출신인 [[주동식]]과 같이 한국말이 서툴러서 "이건 프로야구 아니야!" "[[빠가야로|빠가xx]]"를 연발하며 불만을 내뱉었다고.[* 광주까지 돌아간 방법들이 다양한데 [[김성한]]은 택시를 불러서 탔고, [[김일권]], [[김준환]], [[김종모]], [[장진범]], [[송일섭]]은 뛰어서, 일부 선수들은 지나가던 차를 붙잡고, [[송유석]]은 '''[[경운기]]'''를 타고 돌아갔다고 한다.] 같은 해 [[전설의 타이거즈]]에 출연한 송유석은 가장 보고 싶어하는 선배로 김무종을 뽑았다. 파랑새 존[* [[무등야구장]] 외야펜스의 일부분으로 홈런 타구가 이 쪽 펜스를 넘기면 특별 상금을 주었다.] 상금 50만원 중 20만원을 봉투에 담아 그 당시 연습생이던 [[송유석]]에게 주었으며 20만원은 송유석의 한 달 월급에 해당하는 금액이었다. 일본프로야구계에서 많은 고생을 했기 때문에 송유석의 고생을 누구보다도 잘 알아서 챙겨준 것이고 송유석은 '훗날 내가 스타가 되면 나도 꼭 후배들을 챙겨줘야겠다'고 마음 먹었다고 한다. 현재 일본 연락처를 알지 못해 아쉽다고 말하면서 꼭 전설의 타이거즈 방송을 보면 연락해달라는 부탁의 말도 남겼다. 다행히 옛 해태 선수들 일부와 연락이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성한]]이 2023년 8월 방영된 전설의 타이거즈에 [[주동식]]과 함께 출연했을 때 짤막하게 전화 인터뷰를 했고 김무종도 "광주에 가보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전화 인터뷰에서는 한국을 떠난 지 오래 됐지만 한국프로야구에서 6시즌을 보냈고 코치 생활도 했던 만큼 유창하지는 않아도 간단한 한국어를 구사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https://youtu.be/hW_DGBsBXeQ?si=_oKQWVPC6jWerM_9|*]] == 연도별 성적 == ||<-13>
{{{#ffffff 역대 기록}}} || || {{{#ff0000,#ff0000 연도}}} || {{{#ff0000,#ff0000 소속팀}}} || {{{#ff0000,#ff0000 경기수}}} || {{{#ff0000,#ff0000 타수}}} || {{{#ff0000,#ff0000 타율}}} || {{{#ff0000,#ff0000 안타}}} || {{{#ff0000,#ff0000 2루타}}} || {{{#ff0000,#ff0000 3루타}}} || {{{#ff0000,#ff0000 홈런}}} || {{{#ff0000,#ff0000 타점}}} || {{{#ff0000,#ff0000 득점}}} || {{{#ff0000,#ff0000 도루}}} || {{{#ff0000,#ff0000 사사구}}} || || 1974 ||<|8> [[히로시마 도요 카프|히로시마]] || 2 || 2 || 0.000 || 0 || 0 || 0 || 0 || 0 || 0 || 0 || 0 || || 1975 || 3 || 2 || 0.000 || 0 || 0 || 0 || 0 || 0 || 0 || 0 || 0 || || 1976 ||<-11><|4> 1군 기록 없음 || || 1977 || || 1978 || || 1979 || || 1980 || 2 || 1 || 0.000 || 0 || 0 || 0 || 0 || 0 || 0 || 0 || 0 || || 1982 || 8 || 15 || 0.200 || 3 || 0 || 0 || 1 || 2 || 1 || 0 || 0 || || {{{#ffff00 연도}}} || {{{#ffff00 소속팀}}} || {{{#ffff00 경기수}}} || {{{#ffff00 타수}}} || {{{#ffff00 타율}}} || {{{#ffff00 안타}}} || {{{#ffff00 2루타}}} || {{{#ffff00 3루타}}} || {{{#ffff00 홈런}}} || {{{#ffff00 타점}}} || {{{#ffff00 득점}}} || {{{#ffff00 도루}}} || {{{#ffff00 사사구}}} || || 1983 ||<|6> [[해태 타이거즈|해태]] || 93 || 309 || 0.262 || 81 || 19 || 2 || 12 || 60 || 43 || 2 || 20 || || 1984 || 66 || 217 || 0.244 || 53 || 14 || 1 || 7 || 22 || 22 || 0 || 22 || || 1985 || 87 || 263 || 0.247 || 65 || 14 || 0 || 7 || 35 || 28 || 1 || 26 || || 1986 || 101 || 317 || 0.224 || 71 || 6 || 2 || 8 || 44 || 19 || 0 || 25 || || 1987 || 89 || 243 || 0.226 || 55 || 8 || 1 || 7 || 31 || 25 || 1 || 22 || || 1988 || 9 || 8 || 0.125 || 1 || 1 || 0 || 0 || 0 || 0 || 0 || 0 || ||<-2> '''[[일본프로야구|NPB]] 통산'''(4시즌) || 15 || 20 || .150 || 3 || 0 || 0 || 1 || 2 || 1 || 0 || 0 || ||<-2> '''[[KBO 리그|KBO]] 통산'''(6시즌) || 445 || 1357 || .240 || 326 || 62 || 6 || 41 || 192 || 137 || 4 || 115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1953년 출생]][[분류:1974년 데뷔]][[분류:1988년 은퇴]][[분류:일본의 야구 선수]][[분류:야마구치시 출신 인물]][[분류:포수]][[분류:우투우타]][[분류:히로시마 도요 카프/은퇴, 이적]][[분류:해태-KIA 타이거즈/은퇴, 이적]][[분류:재일교포]][[분류:KBO 미스터 올스타]][[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사쿠라가오카 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