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단 역명란은 정보만을 전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절대 개드립을 적지 마세요. (https://namu.wiki/thread/ThePlacidAndSincereDirection) ||<-3> {{{+2 '''김량장역'''}}} || ||<-3> [[용인 에버라인|[[파일:EverLine_icon.svg|width=30]]]] || || [[기흥역|{{{-1 {{{#585858,#a7a7a7 기흥 방면}}}}}}]][br][[명지대역|명지대]][br]← 0.8 km || [[용인 에버라인|{{{#ffffff {{{-1 용인 경전철[br](Y119)}}}}}}]] || [[전대·에버랜드역|{{{-3 {{{#585858,#a7a7a7 전대·에버랜드 방면}}}}}}]][br][[운동장·송담대역|운동장·송담대]][br]0.9 km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김량장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Gimnyangjang || || [[한자]] ||<-2> 金良場 || || [[간체자]] ||<-2> 金良场 || || [[가나(문자)|가나]] ||<-2> [ruby(金良場, ruby=キムニャンジャン)] || ||<-3> '''주소''' || ||<-3>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금학로]] 315 ([[김량장동]] 486-21) || ||<-3> '''운영 기관''' || || [[용인 에버라인|{{{#ffffff 용인 경전철}}}]] ||<-2> [[용인에버라인운영]] || ||<-3> '''개업일''' || || [[용인 에버라인|{{{#ffffff 용인 경전철}}}]] ||<-2> 2013년 4월 26일 || ||<-3> '''역사 구조''' || ||<-3> 지상 3층 || ||<-3> '''승강장 구조''' || ||<-3> [[상대식 승강장]] || {{{+1 金良場驛 / Gimnyangjang Station}}} [목차] [clearfix] == 개요 == [[용인 에버라인|용인 경전철]] Y119번.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금학로]] 315 ([[김량장동]] 486-21) 소재. [[김량장동]] 소속이나 실제로는 [[김량장동]]과 [[역북동]]의 경계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 역 정보 == [[파일:attachment/Gimnyangjang-o.jpg|width=500]] 용인 경전철 김량장역사 본래는 "용인역"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용인의 중심지가 이제는 이 지역에만 국한된 건 아니기 때문에 김량장역으로 변경되었다. 이 역의 역명을 용인역으로 하려고 했던 건 '''[[수려선]]'''의 영향 때문이다. 이 역의 위치에서 약간 동쪽에 [[용인역(수려선)|용인역]]이 존재했었다. 수려선 용인역 위치에서 약간 서쪽으로 치우친 쪽에 현재 역이 위치하게 된 이유는 아파트들 때문이다. 그래봐야 200미터 정도. 그리고 '''용인역'''이라는 이름은 2024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GTX-A]]의 [[용인역(GTX)|용인역]]이 가져가게 될 예정이다. 이 용인역은 [[용인역(수려선)|과거 용인역]]과는 전혀 상관 없는 동음이역이다. 다만 같은 용인시에 있는 건 맞다. 김량장은 이 지역에 서는 재래 5일장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간혹 김량장은 누구냐고 묻는 사람도 있는데 사실 ⅔는 맞는 말이다. 김량장이라는 이름이 고려 시대 '김량'이라는 사람이 세웠다고 해서 지어진 것이기 때문. 용인초등학교 안에도 김량의 비석이라고 알려져 있는 석비가 있다.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모란시장]]과 함께 5일장으로서 이름을 떨쳤지만[*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206060009921802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2-06-06&officeId=00009&pageNo=18&printNo=8124&publishType=00020|「경기5일장 56곳서 열린다」, 1992-06-06, 매일경제]]] 이후 --대형--중소형 마트들의 등장으로 위세를 잃었다고 한다. 대형마트인 이마트는 시장에서 좀 멀리 있지만 시장에 바로 붙어 있는 GS슈퍼마켓을 비롯해 크고 작은 중소형 마트들이 그럭저럭 있는 편이다. 그래도 금학천을 따라 매월 5, 10일마다 열리는 용인 5일장은 김량장역 인근부터 운동장∙송담대역까지 장장 1km에 달하는 거리에 걸쳐 노점들이 열리니 결코 작은 규모는 아니다. 다만 전통 5일장치고는 물건의 값이 그렇게까지 저렴한 편은 아니라는 것이 흠. 오히려 수원이나 서울에 있는 상설시장의 농수산물 값이 더 싸다. 북쪽으로 도보 10분 거리에 역북우남퍼스트빌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이용인구가 다소 증가할 것으로 보이고, 역 인근에 역북지역 재개발(옛 교육지원청 터 및 공신빌라 주변), 용인지역 재개발(용인중앙공원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 등 각종 재개발 사업이 예정되어 있어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은 충분히 있는 역이다. 다만 그 재개발 정비 계획이 자금 사정에 의해 지지부진하다는 것이 문제일 뿐. [[6.25 전쟁|한국전쟁]] 1951년 1월 25~27일 기간 용인 금양장리 일대에서 터키여단이 중국군을 격퇴한 [[금양장리 전투]]가 있었던 지역이기도 하다. === 승강장 === [[파일:attachment/Gimnyangjangy.jpg|width=500]] 스크린도어 설치 전 [[수도권 전철]] [[용인 에버라인|용인 경전철]] 승강장 [[https://attachment.namu.wiki/Gimnyangjangy.jpg|크게 보기]] [[파일:attachment/Gimnyangjangi.jpg|width=500]] 역안내도 [[https://attachment.namu.wiki/Gimnyangjangi.jpg|크게 보기]] ||<-4> [[명지대역|명지대]]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운동장·송담대역|운동장·송담대]] || || {{{#ffffff 상}}} || [[용인 에버라인|용인 경전철]] ||[[시청·용인대역|시청·용인대]] · [[초당역|초당]] · [[동백역(용인)|동백]] · [[기흥역|기흥]] 방면|| || {{{#ffffff 하}}} || [[용인 에버라인|용인 경전철]] ||[[운동장·송담대역|운동장·송담대]] · [[고진역|고진]] · [[보평역|보평]] · [[전대·에버랜드역|전대·에버랜드]] 방면|| 2021년 2월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어 가동중이다. == 역 주변 정보 == 주변은 오래된 단독주택들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주택가이며, 역이 위치한 길목은 서룡초등학교 학군 지역인 역북동에서 유일하게 용인초등학교 학군 지역에 속했던 '움터골' 및 '낙은' 부락의 입구이기도 하다. 역이 위치한 동네의 이름이 문화촌이었기 때문에 역 앞에 놓인 다리의 이름도 문화교라고 불린다. 일대가 역북1주택 재개발지구로 지정되었는데 언제 공사가 시작될지는 미지수인 상태. 역 근방에는 야산을 새롭게 조성하여 만든 능말근린공원과 번암공원이 있다. 역 북측으로는 과거에 신주공이라고 불리던 신원 아침도시 단지가 있고, 금학천 건너편인 김량장동에는 과거 구주공이라고 불리던 금호 어울림 아파트 단지와 이 단지 주민들을 주 수요층으로 삼는 상점들이 있다. 역 남동쪽으로 GS슈퍼마켓과 옛날 [[용인시청]]이던 [[처인구청]]이 있다. 거리는 좀 멀다. === 연계 교통(버스 환승) === || {{{#fff,#1f2023 {{{+1 '''김량장역 경유 버스 노선'''}}} }}} || || {{{#!wiki style="text-align: left" *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용인 버스 5(경남여객)|{{{#ffffff 5}}}]]}}}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고림동 - 용인시장 - '''명지대역''' - 문화복지행정타운 - 용인세브란스병원 *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용인 버스 13|{{{#ffffff 13}}}]]}}}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처인구청 - 김량장역 - '''명지대역''' - 역북지구 - 명지대기숙사 - 명지엘펜하임 *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용인 버스 84|{{{#ffffff 84}}}]]}}}: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처인구청 - 역북신원아침도시('''김량장역''') - 중간동 - 문화복지행정타운 *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용인 버스 970|{{{#ffffff 970}}}]]}}} 용인공용버스터미널 - 문화복지행정타운 - '''명지대역''' - 용인시장 - 신평리 - 양지면사무소 - 추계2리 * 기타 노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용인 버스 5(경남여객)|{{{#ffffff 5-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용인 버스 5(경남여객)|{{{#ffffff 5-4}}}]]}}},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95em" [[용인 버스 84|{{{#ffffff 84-2}}}]]}}} }}}|| || [[#이미지클릭방지용앵커링크|[[파일:버스정류장 아이콘.svg|height=3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김량장역 정류소 확인하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3>
{{{+1 {{{#373A3C,#dddddd '''김량장역(47354)'''}}}}}} {{{#!wiki style="text-align: left" 1번 출입구에서 곧바로 직진해서 횡단보도 건너면 있는 버스 정류장}}} || || 유형 || 노선번호 || 행선지 || ||<|2>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 [[용인 버스 13|{{{#ffffff 13}}}]] ||용인등기소, 역북지구, 명지대기숙사, 명지엘펜하임아파트 || || [[용인 버스 970|{{{#ffffff 970}}}]] ||행정타운, 용인터미널 || ||<|2> [[마을버스|{{{#ffffff 마을}}}]] || [[용인 버스 5(경남여객)|{{{#ffffff 5}}}]] ||행정타운, 용인미르스타디움, 초당역, 용인세브란스병원 || || [[용인 버스 5(경남여객)|{{{#ffffff 5-4}}}]] ||행정타운, 지장실, 마성3리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3>
{{{+1 {{{#373A3C,#dddddd '''김량장역(47359)'''}}}}}} {{{#!wiki style="text-align: left" 금학천 쪽 버스 정류장}}} || || 유형 || 노선번호 || 행선지 || ||<|2>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 [[용인 버스 13|{{{#ffffff 13}}}]] ||용인중앙시장, 용인터미널 || || [[용인 버스 970|{{{#ffffff 970}}}]] ||용인중앙시장, 신평리, 양지면사무소, 양지3리, 제일2리, 추계리 || ||<|3> [[마을버스|{{{#ffffff 마을}}}]] || [[용인 버스 5(경남여객)|{{{#ffffff 5}}}]] ||용인중앙시장, 고림지구, 용인예술과학대, 용인터미널 || || [[용인 버스 5(경남여객)|{{{#ffffff 5-3}}}]] ||운동장.송담대역, 용인터미널 ||}}} }}}}}}}}} || || [[#이미지클릭방지용앵커링크|[[파일:버스정류장 아이콘.svg|height=3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역북신원아침도시 정류소 확인하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3>
{{{+1 {{{#373A3C,#dddddd '''역북신원아침도시(47200)'''}}}}}} {{{#!wiki style="text-align: left" 신원아침도시 건너편 버스 정류장 }}} || || 유형 || 노선번호 || 행선지 || ||<|2>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 [[용인 버스 84|{{{#ffffff 84}}}]] ||중간동, 관곡, 행정타운 || || [[용인 버스 84|{{{#ffffff 84-2}}}]] ||중간동, 관곡, 명지대입구, 용인중앙시장, 용인터미널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3>
{{{+1 {{{#373A3C,#dddddd '''역북신원아침도시(47901)'''}}}}}} {{{#!wiki style="text-align: left" 신원아침도시 정문 옆 버스 정류장 }}} || || 유형 || 노선번호 || 행선지 || ||<|2>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 [[용인 버스 84|{{{#ffffff 84}}}]] ||용인중앙시장, 용인터미널 ||}}} }}}}}}}}} ||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용인 에버라인|[[파일:EverLine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13년 ||<|3> 미공개 || || || 2014년 || || || 2015년 || || || 2016년 || 2,599명 || || || 2017년 || 3,058명 || || || 2018년 || 3,206명 || || || 2019년 || {{{#56ad2d 3,512명}}} || || || 2020년 || 2,583명 || || || 2021년 || 2,965명 || || || 2022년 || 3,443명 || || ||<-3> {{{#ffffff '''출처'''}}} || ||<-3> [[http://www.kric.go.kr/jsp/industry/rss/citystapassList.jsp?q_org_cd=A010010042&q_fdate=2021|국토교통부 철도통계]] || }}} * 역 북쪽 낙은로 연선 지역에 역북[[우남퍼스트빌]] 대단지 아파트가 있지만 거리가 멀어 도보접근할 거리가 아닌데다가 버스 접근성 마저도 좋지 않다. [[용인 버스 84|84번 버스]]가 다니지만, 농어촌버스 수준의 처참한 배차 간격이다. 때문에 자차로 많이 빠진다. 우남 - 김량장역 간 도로가 불법주정차로 몸살을 앓을 정도. * 역 남쪽으로 처인구 최대의 중심지인 김량장동 상권이 있다. 다만 바로 다음 역인 [[운동장·송담대역]]이 실질적인 상권의 중심지이다. * 역 남쪽 아파트들은 버스 교통이용이 편리한 [[중부대로]]를 끼고 있어 역 인근에 바로 붙은 아파트를 제외한다면 이용률이 높은 편은 아니다. 김량장동 상권 이용객을 제외한 이용객 수를 볼 때, 역세권 거주민들의 철도 분담률은 저조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각주] == 둘러보기 == [include(틀:용인 에버라인의 역 목록)] [[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2013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용인 경전철]][[분류:용인시의 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