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주 유나이티드 FC/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1D27 0%, #CD313A 30%, #CD313A 70%, #B71D27)" {{{#ffffff '''김동준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EAFF E-1 풋볼 챔피언십|[[파일:E-1 Football Championship.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41f4a; font-size: 0.9em" [[EAFF E-1 풋볼 챔피언십#s-2.5|{{{-1 {{{#fff '''2022 EAFF E-1 풋볼 챔피언십[br] 최우수 골키퍼'''}}}}}}]]}}}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김동준(1).jpg|width=100%]]}}} || ||<-2> '''{{{#ffffff 제주 유나이티드 FC No. 1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font-size: .8em" {{{#e1002a '''VC'''}}}}}} || ||<-2> '''{{{#ffffff {{{+1 김동준}}}}}}''' [br] '''{{{#ffffff 金東俊 | Kim Dong-Jun}}}''' || ||<|2> '''출생''' ||[[1994년]] [[12월 19일]] ([age(1994-12-19)]세) || ||[[전라남도]] [[순천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신체''' ||189cm, 99kg || || '''포지션''' ||[[골키퍼]] || || '''학력''' ||순천중앙초등학교 [br] [[순천매산중학교]] [br] [[풍생고등학교]] [br] [[연세대학교]] || || '''소속 구단''' ||'''[[성남 FC]] (2016~2019)'''[br][[대전 하나 시티즌]] (2020~2021)[br]'''[[제주 유나이티드 FC]] (2022~ )''' || || '''국가대표''' ||1경기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2022~ ) ^^ || || '''등번호''' ||[[성남 FC]] - 31번, 1번 [br] [[대전 하나 시티즌]] - 23번, 1번 [br] [[제주 유나이티드 FC]] - 1번 [br]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12번, 25번, 1번 || || '''가족''' ||[[아내]], 슬하 1남 1녀 || || '''병역''' ||면제[* 2018년 오른쪽 무릎 전방 [[십자인대]] 파열.] || || '''링크''' ||[[https://www.instagram.com/king1_jun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제주 유나이티드]] 소속 [[골키퍼]]. == 클럽 경력 == === [[성남 FC]] === [[파일:골키퍼김동준.jpg|width=400]] >'''2016-2019''' >'''101경기 98실점 42클린시트''' 성남의 U-18인 [[풍생고등학교]]시절부터 뛰어난 활약을 하며 성남팬들을 기대하게 했고 졸업후 [[연세대학교]]에서 뛰다가 2016년 [[박준혁(축구선수)|박준혁]]을 대체하기 [[성남 FC]]에 정식 입단했다. ==== [[성남 FC/2016년|2016 시즌]] ==== 초반에는 조금 불안한 모습을 보이기는 했지만, 위기 상황에서 좋은 활약을 선보이면서 2-0으로 승리했고 첫 클린시트를 기록했다. 성남 팬들은 [[신의손]] - 김해운, 권찬수 - [[김용대]] - [[정성룡]], [[전상욱(축구선수)|전상욱]] - [[박준혁(축구선수)|박준혁]]으로 이어져 온 전통적인 골키퍼 계보를 이어 나갈 인재로 기대하고 있다. '''2016 시즌: 28경기 36실점 10클린시트''' || '''대회''' || '''경기''' || '''실점''' || '''클린시트''' || || [[K리그1|K리그 클래식]] || 26 || 35 || 9 || ||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 1 || 0 || 1 || || [[FA컵(대한민국)|FA컵]] || 1 || 1 || 0 || || '''합계''' || '''28''' || '''36''' || '''10''' || ==== [[성남 FC/2017년|2017 시즌]] ==== 2016 시즌 종료 후 성남이 강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팀에 남았으며, 2017년에는 등번호 1번을 받았다. 문제는 팀이 폭망이라 골키퍼 혼자서는 실점을 줄이는 것만도 일. FA컵 8강전 [[목포시청 축구단]]과의 경기 0:3 대패 '''2017 시즌: 39경기 32실점 17클린시트''' || '''대회''' || '''경기''' || '''실점''' || '''클린시트''' || || [[K리그2|K리그 챌린지]] || 35 || 28 || 15 || || [[K리그2|K리그 챌린지]] 승격 PO || 1 || 1 || 0 || || [[FA컵(대한민국)|FA컵]] || 3 || 3 || 2 || || '''합계''' || '''39''' || '''32''' || '''17''' || ==== [[성남 FC/2018년|2018 시즌]] ==== 4월 8일 6라운드 [[서울 이랜드 FC]] 원정 경기에서 무릎을 크게 다치면서 십자인대가 파열되어 사실상 시즌 아웃 판정을 받았고, 기나긴 재활 시간동안 주전 골키퍼는 [[김근배]]와 [[전종혁]]이 맡았다. '''2018 시즌: 6경기 3실점 3클린시트''' || '''대회''' || '''경기''' || '''실점''' || '''클린시트''' || || [[K리그2]] || 6 || 3 || 3 || ==== [[성남 FC/2019년|2019 시즌]] ==== 2019 시즌에서는 성남이 1부로 승격했고, 다시 주전 골키퍼로 돌아왔다. 그러나 개막 후 2경기에서 연패를 당하면서 험난한 시즌이. 3라운드 [[수원 삼성 블루윙즈]]전에서 2:1 승리를 이끌며 첫 승을 따냈고, 4라운드 [[강원 FC]]전에서는 [[제리치]]의 결정적인 헤딩을 다리로 막아 등을 보였으나 1:2로 패배했다. 두 절된 것이라 막아내이 따랐다. 아직까지 2019 시즌 클린골퍼들에 비해 특별히 눈에 띄는 활약도 보이지 못해 분발이 요구된다. 7라운드 [[포항 스틸러스]]전에서 [[정재용(축구선수)|정재용]]의 문전 앞 결정적인 헤딩슛을 슈퍼 세이브로 저지하는 등 좋은 활약을 했고, 올 시즌 첫 번째 클린시트를 기록하였다. 팀은 2:0으로 승리했다. 8라운드 [[울산 현대]]전에서는 [[김보경(축구선수)|김보경]]의 슈팅을 처리하려다 실수를 해서 어이없게 실점할 뻔했으나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던 [[주니오]]가 공을 건드려서 위기를 넘겼다. 이 외에는 안정적인 모습으로 울산의 파상공세를 잘 막아냈고, 클린시트를 기록하였으며 팀은 [[공민현]]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9라운드 [[인천 유나이티드]]전에서도 후반전에 상대의 결정적인 슈팅 2개를 선방하면서 승점 1점을 지켜냈고, 3연속 클린시트를 기록하였다. 12라운드 [[강원 FC]]전에서는 거의 혼자서 수비를 캐리하며 엄청난 선방쇼를 펼쳤다. 전반 7분 박스 안 혼전 상황에서 [[제리치]]의 슈팅을 선방했고, 이후 양 팀은 [[최병찬(축구선수)|최병찬]]과 [[제리치]]의 득점으로 한 골씩 주고받았다. 이후 23분에 나온 제리치의 날카로운 슈팅 역시 슈퍼세이브로 쳐냈다. 이후 후반전부터 김동준의 본격적인 선방쇼가 시작되었다.[* 이 날 스코어는 2:1이었지만 실제로는 더 크게 깨져도 할 말이 없었을 만큼 경기력 면에서는 완벽하게 밀렸다. 강원의 공격 패턴과 전술은 다양했고, 효율적이었으며 위협적이었던 반면 성남의 플레이는 투박했고, 홈 팬들에게 볼거리를 선사하기는커녕 수비 축구로 실망만 안겼다. 그나마 김동준의 선방으로 1점 차로 질 수 있었다.] 후반전 초반 수비가 정신줄 놓은 사이에 기습적으로 진행된 공격 상황에서 [[정조국]]의 1:1 찬스를 막아냈고, 1분 사이에 나온 김현욱의 중거리 슛과 제리치의 결정적인 찬스까지 모두 막아냈다.[* 이 때 제리치를 온몸으로 막는 과정에서 팔에 부상을 입은 듯 보였으나 다행히 이후 경기를 정상적으로 소화하였다.] 그러나 경기 종료 직전 강원의 마지막 공격을 버티지 못하고 끝내 실점하며 패배를 막지 못했다. 본인도 막판에 다소 집중력이 떨어져서 충분히 처리할 수 있었던 볼을 그대로 흘려 보내면서 실점을 허용했기에 더욱 아쉬웠다. 주전 키퍼로 활약하며 리그 28경기에 나와 27실점을 기록. '''2019 시즌: 28경기 27실점 12클린시트''' || '''대회''' || '''경기''' || '''실점''' || '''클린시트''' || || [[K리그1]] || 28 || 27 || 12 || || '''합계''' || '''28''' || '''27''' || '''12''' || === [[대전 하나 시티즌]] === >'''2020-2021''' >'''35경기 52실점 4클린시트''' >{{{+1 '''"신들린 선방, 신들린 슈퍼세이브, 내 뒤에 공은 없다, 골키퍼 김동준"'''}}}[* 장내 아나운서 멘트.] 2020시즌을 앞둔 겨울 선수이적시장에서 최대어로 손꼽혔는데, 2부 리그 팀인 [[대전 하나 시티즌]] 이적설이 보도되며 큰 충격을 주었었다. 이적료에 대해서 성남은 최소 13억 원 이상을 부른 반면, 대전은 10억 원대를 희망하면서 일단 10억~13억 원 사이에서 양 측의 줄다리기가 끝날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http://naver.me/5KSGwwaN|#]] 대전은 1월 13일 김동준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200113_0000886981&cID=10503&pID=10500|#]] 한편 이번 김동준의 대전 이적은 2020년 K리그 최고 이적료를 기록했다고 하는데, 원래는 일본 진출을 원했지만 이적료 문제 때문에 잘 안 됐는데 대전 구단이 이적료를 지불하고 영입했다고 한다. ==== [[대전 하나 시티즌/2020년|2020 시즌]] ==== 이후 주장 황재훈이 주전 경쟁에 밀려 출전 기회를 못잡으면서 주장 완장을 달고 경기에 출전했으며, 제주와의 리그 3라운드를 통해 프로 통산 100경기 출장을 달성하였고, 이날 경기 비록 2실점을 허용했지만 경기 내내 여러 차례 위협적인 슈팅을 선방해냈다. 6월 6일 [[춘천시민축구단]]과의 FA컵 경기에서도 선발 출장했으나 전반 초반 부상으로 교체되었다. 결국 FA컵에서 입은 부상때문에 수술대 위에 오르게됐고, 최소 한 달여 간의 치료가 필요한 어깨 부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자칫 시즌 아웃될 수도 있다는 소문까지 나돌았으며, 결국 2020시즌 리그 단 5경기 출장으로 시즌을 마감했다. '''2020 시즌: 6경기 7실점 1클린시트''' || '''대회''' || '''경기''' || '''실점''' || '''클린시트''' || || [[K리그2]] || 5 || 7 || 1 || || [[FA컵(대한민국)|FA컵]] || 1 || 0 || 0 || || '''합계''' || '''6''' || '''7''' || '''1''' || ==== [[대전 하나 시티즌/2021년|2021 시즌]] ==== [[파일:60efd251d4ee1.jpg|width=600]] 2021시즌에도 팀에 잔류했으며 [[박주원(축구선수)|박주원]]의 등번호 1번을 부여받았다. 하지만 펀칭 과정에서 약간 손목에 무리가 왔다는 이유로 4라운드 [[FC 안양]]전에는 결장했다. 4월 11일 [[경남 FC]] 6라운드에 선발 출장하였으며, 연이은 4월 17일 [[서울 이랜드 FC]] 7라운드에 선발 출장하였고, 선방을 보여주며 1위를 굳혔다. 이후 몇경기를 제외하고는 주전으로 기용되었으며, 5월 29일 [[서울 이랜드]]전에서는 간만에 클린시트를 기록하였다. 6월 6일 [[FC 안양]]전에서는 2골을 헌납하며 1:2 패했는데, 이날 경기 종료 후 후술할 논란으로 징계를 받게 되었다. 6월 19일 [[안산 그리너스]]전은 [[코로나19]] 백신을 맞고 근육통이 있어서 간만에 선발에서 제외되었다. 이후에도 쭉 주전으로 출전하다가 훈련 도중 슈팅 막다가 부상이 생기면서 7월 18일 [[FC 안양]]전은 간만에 결장했으며, 김동준이 결장한 사이 [[이준서(축구선수)|이준서]]가 좋은 활약을 펼치면서 한동안 이준서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었으나, 8월 28일 [[부천 FC 1995]]전에서 이준서가 4골을 헌납하자 바로 다음 경기인 9월 4일 [[부산 아이파크]]전에서 간만에 선발 출장, 한골을 헌납하였다. 9월 13일의 리그 29라운드 [[전남 드래곤즈]] 전에서는 비록 한골을 헌납하기는 했지만 전반 35분 [[김현욱(축구선수)|김현욱]]의 골대 위쪽 구석을 노리는 프리킥을 선방해내는 등의 대활약을 펼치며 팀의 2:1 승리를 이끌어냈다. 이후 쭉 주전으로 출장하며 대전의 플레이오프 진출을 이끌었으며, 2021시즌 총 25경기에 출장하며 지난 시즌 부상으로 많은 경기에 출장하지 못한 아쉬움을 덜어냈다. [[전남 드래곤즈]]와의 준플레이오프전에 선발 출장해 클린시트를 기록하며 대전의 플레이오프행을 이끌었으며, [[FC 안양]]과의 플레이오프에서도 한골 실점하긴 했지만 안정적으로 골문을 지키며 대전의 3:1 승리를 이끌었다. [[강원 FC]]와의 승강 플레이오프 1차전에서는 클린시트를 기록하며 1:0 승리를 이끌었으내, 2차전에서는 아쉽게 4골을 헌납하며 4:1로 패했고, 대전은 아쉽게 승격에 실패했다. 21시즌 FA컵 합산 기록은 총 28경기 출전 41실점 클린시트 3회로 시즌을 마무리했다. 21시즌 종료 후 [[이지솔]]과 같이 [[제주 유나이티드]]로 트레이드된다고 보도되었다.[[http://naver.me/5FlEUs1G|#]] '''2020 시즌: 29경기 45실점 3클린시트''' || '''대회''' || '''경기''' || '''실점''' || '''클린시트''' || || [[K리그2]] || 25 || 40 || 1 || ||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 4 || 5 || 2 || || '''합계''' || '''29''' || '''45''' || '''3''' || === [[제주 유나이티드 FC]] === 2022년 1월 11일 제주와 대전 간 3:2 트레이드 형식으로 [[이지솔]]과 함께 제주로 이적하며 3년 만에 [[K리그1]] 무대로 복귀했고 성남 시절 연을 맺던 [[남기일]] 감독과도 3년 만에 다시 만나게 됐다. 등번호는 성남, 대전에서 달았던 1번. ==== [[제주 유나이티드 FC/2022년|2022 시즌]] ==== 2월 20일 [[포항 스틸러스]]와의 홈 개막전에 선발출전하였다. 특별히 위험한 상황없이 경기를 이어가던 중에 팀이 PK를 내주게 되었고 이 PK 상황에서 1차적인 선방을 해냈으나 세컨볼을 따내기 위해 태클을 한 [[임상협]]과 충돌하며 통증을 호소했고 설상가상으로 키커가 차기 전 라인에서 발이 떨어졌다는 판정이 나오며 임상협이 다시 찬 PK를 막지 못하였고 결국 실점을 내주게 되었다. 하지만 이때의 충돌 영향이 컸는지 후반전 시작 전에 [[유연수]]와 교체되며 제주에서의 데뷔전이자 개막 첫 경기를 마무리했다. 이후 유연수가 좋은 모습을 보였지만 2실점을 추가로 하면서 팀은 홈 개막전에서 충격적인 3대0 대패를 당하였다. 다행히 부상이 크게 심하지 않았는지 2월 26일 [[강원 FC]]와의 2라운드 경기에 선발출전하였고 무실점으로 경기를 마쳤다. 팀은 0대0 무승부. 이후 경기에서 단 1골도 내주지 않으면서 꾸준히 좋은모습을 보여주다가 6라운드 [[FC 서울]] 원정에서 1실점을 내주며 무실점 기록을 마감했다. 7라운드 [[대구 FC]]와의 경기에서는 전반막판 [[정태욱]]과의 1대1 위기를 멋진 선방으로 막아냈고 후반 시작과 동시에 빠르게 제주의 수비진을 뚫고 들어온 [[정치인(축구선수)|정치인]]의 슈팅을 안정적으로 막아냈다. 이후에도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제주의 골문을 지켰으나 팀은 이상하리 만큼 슛 정확도가 떨어지는 모습을 보이며 무승부로 경기를 마무리했다. 10라운드 성남FC전에 선발출전했다 전반18분 [[조나탄 링]]의 선제골로 앞서나갔고 이후 9분뒤 [[주민규(축구선수)|주민규]]의 추가골로 달아났으나 12분 뒤 제주의 파울로 인하여 PK를 허용했고 [[김민혁(1992년 2월)|김민혁]]에게 실점하였으나 이후에는 성남의 거센맹공을 잘 막아내면서 팀의 승리를 지켜냈다. 11라운드 김천과의 경기에서 선발로 출전했다 전반전에는 안정적으로 팀의 골문을 지켰고 팀도 [[주민규(축구선수)|주민규]]의 해트트릭과 함께 후반45분 [[김명순(축구선수)|김명순]]의 자책골로 실점 하긴했지만 이후 그대로 경기가 종료되면서 3대1로 승리하였다. 12라운드 수원FC전에 선발출전했다 그러나 전반30분 [[김오규]]의 자책골로 인하여 끌려가기 시작했으나 후반부터 제주의 반격을 시작으로 후반27분 [[주민규(축구선수)|주민규]]의 동점골이 터지면서 승부가 원점으로 돌아갔고 이후 후반44분 [[김주공]]의 역전골이 터지면서 2대1로 앞서갔고 이후 1분뒤 [[이창민(1994)|이창민]]의 쐐기골까지 터지면서 3대1로 승리하였다. 시즌이 어느정도 진행된 현재까지의 모습을 보면 올시즌 제주의 최고의 영입 중 하나라고 해도 될 정도로 뛰어난 활약을 펼쳐주고 있다. 수원 삼성과의 홈경기에서는 무난했지만 오현규의 슈팅을 막을 때 정면으로 쳐내는 통에 세컨볼에 실점했고 류승우에게 연달아 실점하며 패했다.[* 물론 둘 다 수비가 문제였고 류승우의 슛은 누가 와도 막기 어려운 슛이였다.] 37라운드 전북현대전에 선발출전 하였다 그러나 전반 36분 [[조규성]]에게 실점하면서 끌려가기 시작했고 후반8분 [[김진규(1997)|김진규]]에게 추가실점을 허용하였고 이후 후반 42분 [[주민규(축구선수)|주민규]]의 만회골이 터젔으나 이후 경기가 종료되면서 2대1로 패배하였다. 전북전 이후 음주운전 차량으로 인해 교통사고를 당하는 바람에 타박상을 입어 마지막 경기는 결장할 예정이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001&aid=0013515944|#]] 다른 골키퍼들도 함께 차를 타고 가다가 다쳐서 이 때 동행하지 않았던 [[김근배]]가 최종전에 장갑을 꼈고, 벤치에는 임준섭이 이름을 올리면서 김동준은 명단에서 빠졌다. [[K리그 대상]] 베스트 11 골키퍼 부문 후보에 올랐으나 조현우에 밀려 수상하진 못했다. ==== [[제주 유나이티드 FC/2023년|2023 시즌]] ==== 시즌을 앞두고 제주에 합류한 지 2년 만에 부주장에 선임됐다. 주장 [[최영준(축구선수)|최영준]]을 필두고 [[구자철]], [[김오규]], [[정운(축구선수)|정운]], 등 무려 5명의 공동 부주장 중 하나가 됐다. 9라운드 [[광주 FC]] 원정에선 야신이라도 들린듯이 미친 선방을 끊임없이 보여줘 홈팬들의 머리를 쥐어뜯게 만들며 승리에 공헌했다. 이 활약으로 9라운드 베스트11에도 선정됐다. 11라운드 [[포항 스틸러스]]와의 홈경기에서도 미친 선방을 연이어 보여주며 2:1 승리로 팀의 시즌 첫 홈경기 승리에 기여했다. 13라운드 [[수원 FC]] 원정에서 시즌 6번째 클린시트를 기록하며 이 부분 단독 1위에 올랐다. 5월까지 리그 전경기에 출장한 GK 중 가장 적은 실점을 기록하고 있다. 11월 1일 [[대한축구협회 FA컵]] 4강 [[포항 스틸러스]]와의 홈경기에서 승부차기에서 [[제카(축구선수)|제카]]의 PK를 한번만 막아냈고 팀 동료들이 2번 막히면서 끝내 결승진출에 못올라갔다. == 국가대표 경력 == [[파일:국대김동준.jpg]] *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U-20 대표팀]] 기록 (2013): 3경기 1실점 2클린시트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U-23 대표팀]] 기록 (2014~2016): 20경기 19실점 9클린시트 * 올림픽 1회 출전: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2016 리우]] (5위) * U-23 AFC 챔피언십 1회 출전: [[2016 AFC U-23 챔피언십 카타르|2016 카타르]] (2위)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A 대표팀]] 기록 (2022~): 1경기 무실점 1클린시트 (진행중)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1회 출전: 2022 일본 ===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 2013 툴롱컵에 참가하여 5월 28일 콜롬비아전에서 국가대표 데뷔전을 치뤘다. 이후 프랑스, 미국전에서도 선발로 출전했다.[* 미국, 프랑스, 콜롬비아가 참가하였고 대한민국은 1승 1무 1패의 성적을 거두었다.]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 ==== [[2016 AFC U-23 챔피언십 카타르]] ==== [[2015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 주전 골키퍼로 골문을 지켰으며, [[2016 리우 올림픽]] 아시아지역 최종예선을 겸한 [[2016 AFC U-23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도 주전 골키퍼로 맹활약하였다.[* [[구성윤]], [[이창근]]이 함께 발탁되었다.] 대회에서 치른 6경기 중 5경기에서 골문을 지켰다.[* 8강전에서만 [[구성윤]]이 출장하였다.] 하지만, 결승전에서 [[연제민]]과 함께이 빙의한 듯한 심한 모습을 보이며 [[도하 참사(축구)|팀의 대역전패]]에 일조해 큰 비난을 받았다. 그렇지만 결승전과 [[구성윤]]이 출전했던 요르단전을 제외하면 4경기에서 3실점을 기록했고, 수없이 많은 선방으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차기 수문장의 자리를 노릴만한 실력을 보여줬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하필이면 결승전에서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지지 말아야 할 상대]]에게 14분 만에 3골을 허용하는 역사에 남을 역전패를 당했다.''' 결과적으로는 다 잘해놓고도 결승전+[[한일전]]이라는 부담이 막중한 경기에서 패배한 것 때문에 도가 지나친 비난을 받았던 셈이다. '''2016 AFC U-23 챔피언십 카타르: 5경기 6실점 1클린시트''' ====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 [[파일:1L027TB859_1.jpg]] 이후 [[신태용호/U-23/2016년|신태용 감독]]이 이끄는 2016 리우 올림픽 대표팀에도 최종 승선하였으며, 대회 4경기 중 독일과의 조별리그 2차전에만 출전하였다. 이 경기에서 3골을 실점하였고, 나머지 3경기는 [[구성윤]]이 출전하였다.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1경기 3실점'''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 [[슈틸리케호]] ==== 2015년 8월 [[울리 슈틸리케]]는 2018 러시아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전에 나설 대표팀 23인 명단을 발표하면서 3명의 골키퍼 자원에 김동준을 처음으로 발탁하였다. 그렇게 김동준은 2010년 1월 27일 동아시안컵 명단에서 당시 홍익대 소속의 김보경이 태극마크를 단 이후 5년 7개월 만에 '대학생 태극전사'가 되는 영광을 맛봤다. ==== [[신태용호]] ==== 이후 한동안 대표팀에 소집되지 못하였으나 [[EAFF E-1 챔피언십/2017년|2017년 EAFF E-1 챔피언십]][* 2017년 동아시안컵에서 EAFF E-1 챔피언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을 앞두고 예비 명단에 승선하였고, 원래 선발되었던 김승규가 [[https://twitter.com/Jleague_Bot/status/933969170311421952|왼쪽 다리에 각종 부상을 입으면서]] 김승규를 대신해 발탁되었다. [[http://m.kfa.or.kr/news/news_view.asp?BoardNo=14739&Query=Gubun%3D11301|#]] ==== [[벤투호]] ==== 2022년 3월, [[구성윤]]이 부상인 가운데 카타르 월드컵 최종예선 명단에 발탁되었다. 2018년 1월 [[러시아 월드컵]] 대비 전지훈련 명단에 발탁된 이후로 무려 약 4년 2개월만의 발탁이다! [[송범근]]과 사이좋게 한 경기씩 나눠 벤치에 앉았다. 6월 국내 4연전 대비 명단에도 포함되었고, 경쟁자 송범근보다 많은 경기 엔트리에 포함되며 써드 키퍼 경쟁에서 우위를 보였다. 그러나 월드컵 전 마지막 모의고사인 9월 A매치 기간에 써드 키퍼 자리를 놔누고 경쟁하던 [[송범근]]에게 밀려 발탁되지 못하면서 그렇게 월드컵행이 무산되는가 싶었으나, 기존 멤버인 [[조현우]]의 부상으로 대체발탁이 되어 다시 한번 희망을 살릴수 있게 되었다. 10월 말 월드컵 직전 발표 명단에 교통사고 후유증으로 누락되면서 첫 월드컵 출전의 꿈은 무산되고 말았다. ===== [[2022 EAFF E-1 풋볼 챔피언십]] ===== 7월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명단에도 포함되며 월드컵까지 써드 키퍼 자리를 두고 [[구성윤]], [[송범근]]과 경쟁할 것으로 보인다. 7월 20일 중국전을 앞두고 스타팅 라인업에 포함되며 7년만에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다만 상대인 중국의 경기력이 형편없어서 딱히 활약할 기회는 없었지만 이따금 날아오는 공중볼이나 수비진과의 빌드업 연결은 안정적으로 처리하긴 했다. 어쨌든 A매치 데뷔를 치뤘다는 것 자체에 큰 의의를 둘 수 있다. 한일전에서는 벤치에 앉았으나 경기가 끝나고 동아시안컵 베스트 골키퍼 상을 받았다. '''2022 동아시안컵: 1경기 무실점 1클린시트''' == 논란 == === 성남 FC 구단 저격 논란 === [[파일:FB_IMG_1578503230359.jpg|width=500]] >'''[[일어탁수]]''' 2020년 1월 8일 [[대전 하나 시티즌]] 이적설 이후 본인의 SNS에 성남 구단과 [[이재하#s-1.3]] 사장을 저격하는 것으로 추측되는 의미심장한 글을 게시하면서 논란이 일었고, 이재하 사장과의 관계가 썩 좋지 못했고, 그로 인해 대전 이적을 택한 것으로 추측되었다.[[https://www.tfmedia.co.kr/mobile/article.html?no=78643|#]] [youtube(q4SIrDLKgKs)] 이후 [[스포츠니어스]]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 게시물에 대해 언급했는데, 19시즌 중반 [[남기일]] 감독에게 성남에서 4년간 열심히 했기에 본인에게 더 좋은 대우를 해주는 더 큰 팀으로 가고 싶다고 말했다고 하며, 당시 성남의 안좋은 재정을 알았던 남감독은 김동준 본인의 선택에 맡긴다고 대답했다고 한다. 이후 이적에 있어서 다 얘기가 됐고, 나가는 과정에서 딱히 구단 측과 이견은 없었다고 한다. 시즌 종료 후 대전에서 오퍼가 오면서 김동준은 대전행을 결정하고 이적료 조율까지 잘 마무리지면서 일주일안에 이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상황이었는데, 갑자기 구단이 말을 바꿔서 이적료를 더 요구했다고 하며, 이에 과거 어려운 상황 속에도 팀을 위해 헌신을 본인의 노고와 성과를 비롯해서 앞뒤 맥락을 모두 구단이 무시했다고 생각되면서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한다. 특히 구단에서 '''개인의 수당이나 돈 같은 부분을 김동준 본인에게 직접 알려주지 않고 팀의 주장에게 통보해서 그 주장이 김동준에게 다시 전달하는 방식'''으로 알려주면서 김동준은 본인은 단지 물건이나 소모품으로 여긴다고 느끼며 크게 분노했다고 하며, 이후 문제를 바로 잡아야겠다고 판단, 에이전트와 상의없이 자신의 심정을 일어탁수에 빗대어 SNS에 올린 것이라고 한다. 이후 이 게시물을 올린 후 일주일만에 이적 상황이 해결되면서 이 게시물이 없었다면 아마 대전에 있지 못했을 것이라고 하며 이 게시물을 올린 것에 대해 후회는 없다고 언급했다. === 심판 판정 비난 논란 === [[파일:1627873378.jpg|width=400]] 2021년 6월 6일 [[FC 안양]]전에서 전반에 조나탄에게 파울을 범하며 패널티킥을 헌납했는데, 이에 대하여 벌금 낼 것까지 각오하고 SNS에 게시물로 이번 패널티킥 판정에 대해 강하게 억울함을 표출하기도 했으나 곧바로 게시물을 삭제했다. 한국프로축구연맹 상벌규정 2조에 따르면, 공식인터뷰나 SNS 등 어떠한 경로를 통해서도 경기의 판정이나 심판에 대한 부정적인 언급 또는 표현을 할 수 없다고 명시 되어있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aejeoncitizen&no=14037&page=1|#]][* 2021년 들어 [[수원 FC]]의 [[박지수(축구선수)|박지수]]와 [[수원 삼성]]의 니콜라오가 SNS에 심판 판정을 비난하는 글을 게재해 논란이 되어 제재금 300만원 징계를 받있다.] 결국 이날 게시물로 김동준은 상벌위를 통해 제재금 800만원의 다소 무거운 징계를 받았다.[[https://www.kleague.com/contents/news/18717|#]] 하지만 상당수의 대전 팬들은 이번 김동준의 징계가 과하다고 생각하며 불만을 가졌으며,이에 김동준 벌금 모금을 추진하기도 했지만, 최종 실행하지는 않았다.[[https://9720.kr/board/90266?_filter=search&search_target=title_content&search_keyword=%EA%B9%80%EB%8F%99%EC%A4%80|#]] == 플레이 스타일 == 187㎝, 88㎏의 건장한 체격 조건을 갖춘 김동준은 공중볼 처리에 능하며 반사신경, 안정감, 빌드업 능력을 모두 겸비한 정상급 골키퍼이다. 안정감을 무기로 하는 클래식한 골키퍼라 볼수 있지만 어린 시절 필드 플레이어 출신답게 양발을 자유자재로 사용하며 발기술도 뛰어나며 뒷공간 커버도 제법 잘해 스위퍼 골키퍼역할도 잘 소화해낸다. 또다른 장점은 [[이운재]] 처럼 리더십있게 수비진들한테 소리치며 적극적으로 수비조율 하는것도 큰 장점이다. 다만 평소에 차분한것과 다르게 의외로 맨탈이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주거나 수비진을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다그치는 면이 있다. 이런 점이 팀 워크에 악영향을 줄수있는 여지가 있어서 그런지 [[파울루 벤투]] 감독이 선호하는 스타일인데도 불구하고 [[구성윤]], [[송범근]]에 밀려 [* [[송범근]]은 발기술에 약하고 커버 범위는 페널티 박스에서 잘 안 벗어나고 안정적인 선방을 무기로 삼는 클래식한 골키퍼로 벤투 감독이 원하는 스타일과 오히려 정반대이다.] 오히려 벤투 감독이 원하는 스타일과 국가대표에 승선하지 못함은 물론 언론의 주목조차 받지 못하고 있다.[* 꼼꼼하게 자원들을 관찰하는 벤투 감독 본인이 원하는 플레이스타일과 유사한 김동준도 안 보고 그냥 지나쳤을리는 없다. k리그 탑급인 실력과 별도로 비판 및 논란 문단에 자세히 나온다. 원래 자기 주장과 소신이 강한 성격이지만 이것이 좀 지나쳐 가끔 신중하지 못하고 경솔한 발언들을 한 행동을 보였는데 이에 벤투는 반대로 보수적이고 팀의 규율과 원리원칙을 강조하는 감독인지라 팀의 분위기를 해치는 행동에 대해 용납을 못하는 성격이다. 그래서 팀의 분위기를 고려하여 오히려 벤투 감독이 김동준을 배제한 부분이 없지 않다.] 하지만 같은 연령대와 다르게 대담한 성격과 노련함 그리고 베테랑 못지않는 안정감으로 2016년 성남 입단 이래, 바로 주전을 꿔차면서[* 골키퍼라는 자리는 다른 포지션과 다르게 프로 입단후 주전으로 기회받기 훨씬 어려우며 거기에 당시 성남fc의 감독인 김학범은 보수적이고 외골수 감독의 대명사로 왠만한 유망주에게 기회를 잘 주지 않으며 완성된 선수자원으로 발맞춰 단기간에 성적 내는데 특화된 감독임에도 대학 졸업후 프로에 갓 입단한 김동준에게 곧바로 주전 자리를 줄정도로 그만큼 안정감과 뛰어난 실력으로 인정받은 선수다. ] 현재까지 꾸준히 주전 골키퍼로 활약하며 97경기 동안 94실점을 기록했다. 1994년생으로 비교적 어린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K리그1, K리그2에서 풍부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결국, 2022년 3월 14일 카타르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평소 [[정우재]], [[주민규]]등 제주 자원에 차가운 시선을 보냈던 [[벤투]]감독인데, 그럼에도 김동준의 능력을 높이 산 듯. 상술되어있듯 팀의 규율을 중시하는 벤투호에서 상성이 어떻게 맞물릴 수 있을지가 주목된다. == 여담 == * 2021년 7월 10일 [[서울 이랜드]]와의 홈경기에서 대전이 2:0으로 무기력하게 패배하자 경기 종료 후 관중석의 콜리더가 확성기를 들고 투지 없는 무기력한 플레이를 보이는 선수단을 향해 강하게 불만을 토로하였는데, 이후 자신의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좋은 말씀, 채찍질 감사하다고 글을 올렸었다.[[https://m.fmkorea.com/3743320985|#]], [[https://9720.kr/board/105215?_filter=search&search_target=title_content&search_keyword=%EA%B9%80%EB%8F%99%EC%A4%80|#]] * 2017년 가을, 성남 팬인 음악가와 성남 열혈 팬들과 협업하여 [[https://www.youtube.com/watch?v=MfeSPMYHnBI|My Hands]]라는 노래를 불렀다. 타 버전과 함께 김동준 버전이 동시 제공된다. * [[농구인]] [[전태풍]]과 친하다고 하며, [[하승진]]의 [[유튜브]] 채널을 즐겨보는 등 [[농구]] 매니아이다. * [[강원 FC 볼보이 시간 지연 논란|2021년 강원과의 플레이오프 때 있었던 볼보이 경기 지연 사건]]과 훈련장 대관 문제에 대해 노골적으로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는데, 인터뷰에서 그는 순간적으로 해당 볼보이를 때릴까하는 생각도 했다고 하며, 이를 옹호한 [[이영표]]에 대해서도 한국 축구의 레전드로서 그런 말을 한 것에 대해 크게 실망이라고 언급했다. 특히 결정적으로 이러한 말을 한 것에 대해 꼭 기사로 써달라는 당부도 했다고 한다.[[http://naver.me/FtY1OvTm|#]].[* 하지만 이번 발언에 대해서 미성년자를 상대로 폭력을 행사하고 싶었다고 언급한 것은 너무 경솔했다는 비판 역시 존재한다. 어찌됐든 해당 볼보이는 아직 생각이나 판단력이 미숙한 미성년자이지만 김동준은 어느정도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분별할 수 있는 성인이기 때문이다.] * 현재까지 소속된 모든 구단인 성남, 대전, 제주에서 [[김근배]] 골키퍼와 동료로 지냈다. * 2023년 4월 [[대전 하나 시티즌]] 원정 경기 종료 후 [[김승섭(축구선수)|김승섭]]과 같이 대전 응원석을 향해 인사를 하러 왔고 이에 대전 팬들이 응원가를 불러주며 환영해 줬다.[[https://naver.me/xqoqDJ22|#]] == 둘러보기 == [include(틀:제주 유나이티드 FC)] [[분류:1994년 출생]][[분류:순천시 출신 인물]][[분류:순천중앙초등학교 출신]][[분류:순천매산중학교 출신]][[분류:풍생고등학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골키퍼]][[분류:2016년 데뷔]][[분류:성남 FC/은퇴, 이적]][[분류:대전 하나 시티즌/은퇴, 이적]][[분류:제주 유나이티드 FC/현역]][[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FIFA U-20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3 FIFA U-20 월드컵 터키 참가 선수]][[분류:2016 AFC U-23 챔피언십 카타르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