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1982년생 프로게이머, rd1=김동우(프로게이머))]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rd1=김동우(1999))] [[파일:external/imgnews.naver.net/201101081006772832_1.jpg|type=w540]] [[https://twitter.com/tino1109|트위터]]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 엔투스]]의 코치, 감독, 프로게이머. 前 [[Griffin/리그 오브 레전드|Griffin]]의 단장. 생년월일은 [[1981년]] [[11월 9일]]이다. == CJ 엔투스 시절 == 2001년, 프로슈머(現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 엔투스]])에 입단하여 잠시 활동하였다. 당시 아이디는 '''TINO'''이며, 종족은 [[저그]]. 그러나 선수 시절에는 별다른 활약을 보이지 못했다. [[https://v.daum.net/v/20130731174232285|#]] 이후 [[대한민국의 병역의무|군대]]를 현역으로 마친 뒤 슈마 GO(現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 엔투스]])의 수습코치를 맡았다. 2010년 8월까지 수석코치로 활동하던 도중 [[조규남]]의 은퇴로 [[감독 대행]]을 맡다가 이후로는 정식으로 감독이 되었다. [[별명]]은 '''오락감독'''. 모 [[스타크래프트 갤러리]] 갤러 [[http://gall.dcinside.com/list.php?id=starcraft_new&no=919903|이런 글]]을 [[꾸준글]]로 밀어서 만들어진 별명이다. 나중에는 [[고소미]]가 두려웠는지 [[http://gall.dcinside.com/list.php?id=starcraft_new&no=1870257&page=1&bbs=|모자이크 버전]]으로 바꿔 달리고 있다. 당시 [[CJ 엔투스/스타크래프트|CJ 엔투스]] [[이재훈(1981)|이재훈]] 코치 결혼식에 참석한 모습이 찍힌 사진이다. 진짜 비난글이 아니라 그냥 꾸준글일 뿐이다. 어쨌든 오랜만에 [[스타크래프트 갤러리|스갤]]에서 크게 흥한 꾸준글이라 나름 흥미도가 높아지자 그 여세를 몰아(?) 다른 스갤러 한명이 [[페이스북]]으로 김동우 감독에게 직접 [[http://gall.dcinside.com/list.php?id=starcraft_new&no=1792532&page=4&recommend=1&recommend=1&bbs=|질문]]한 일까지 벌어졌다. 근데 본인은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다. 이에 스갤러들은 한 술 더떠서 '본인의 행동이 창피해서 아무 말도 못하고 있는거다.' 라는 [[기믹]]을 추가해 즐기고 있다. 표정 변화가 정말, 거의 없이 매의 눈과 진지한 모습으로 경기를 지켜보는 모습하며 [[포모스]] '감독 코멘트' 기사를 보면 한 성격 하는 것이 느껴진다.[* 이겼을 때 코멘트와 졌을 때 코멘트가 확연히 다르다.] 취임 이후 [[하이트 스파키즈]]가 CJ 엔투스에 흡수합병됨에 따라 14연승과 더불어 우승자 [[신동원]]을 배출하는 등의 활약을 보였지만, [[신한은행 위너스 리그 10-11]] 4위, 최종 성적 2위를 거두며 진출한 플레이오프에서 각각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T T1]]과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 롤스터]]에 졌다. 참고로 [[2011년]] [[6월 29일]], [[웅진 스타즈]]와의 경기에서 당시 첫 데뷔하는 [[윤찬희(1992)|윤찬희]] 선수가 4세트 [[박상우(1989)|박상우]]와의 경기에 출전했는데, 당시 게임 중 건물 짓는 소리가 나지 않자 사운드를 조절하려다 실수로 [[PPP#s-2|PP]]나 [[PPP#s-2|PPP]] 입력 없이 퍼즈를 걸어 '''데뷔 첫 경기'''를 '''[[몰수패]]'''로 패배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문제는 후일담으로 [[아프리카TV]]에서 나온 썰에 의하면 당시 몰수패 직후 김동우 감독으로부터 개쌍욕을 먹고 숙소로 가서 짐싸서 팀에서 꺼지라는 명령을 하달받았다고 한다. 이후 윤찬희는 딸랑 택시비 만원을 받아 숙소로 향하려고 했으나 비가 상당히 오는 날이라 어쩔 줄 모르고 있는데 [[주진철]] 코치가 말없이 와서 어쩔 줄 모르는 윤찬희에게 우산을 건네 주었다고 한다. 숙소로 돌아와 어찌해야 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윤찬희는 [[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에게 "형 저 어떻게 해야돼요? 짐싸서 나가랬는데요?"라고 하자 김정우는 다독여 주며 절대 그럴 필요 없고 기다리라고 하여 윤찬희에게 힘을 준다. 그러나 그 이후로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프로리그]] 경기에서 출전한 경력이 없었고, 결국 앞서 언급한 몰수패 경기가 윤찬희의 '''처음이자 마지막 공식전이 되었다.'''[* 다만 CJ 코치였던 [[전태규]]는 보통 갈구고 나서 코치들에게는 잘챙겨주라고 했다고 따로 옹호하긴 했다. --[[그리핀 사건|이후 행적]]을 보면 의문을 가질 수 있겠지만 비교로 든 대상이 [[이명근|이 인간]]인지라 [[다시보니 선녀 같다|선녀로 보였을지도...]]--] 10-11 시즌 플레이오프 때 팬들로부터 발트리라고 많이 까였으나[* kt 롤스터와의 경기에서 [[장윤철|CJ]][[이경민(프로게이머)|토스]] [[진영화|3대장]]을 전부 [[저그]]에게 붙였다. [[진영화]]야 vs저그전 부동의 2인자니 상관은 없었는데... 어이없는 방심플레이로 [[김성대]]에게 역전승을 헌납하더니 [[고강민]]과의 경기에선 초반 저글링 침투를 자동문 수준으로 허용하는 바람에 또 승리를 헌납.] SK플래닛 프로리그 시즌1 들어 감독들 중 상성을 가장 많이 붙여 이 논란을 불식시켰다. [[http://www.fomos.kr/board/board.php?mode=read&keyno=122320&db=issue&cate=&page=1&field=&kwrd=|#]] 이전까지는 존재감이 [[김은동]]보다 못하다고 할 정도였지만, 자신의 능력을 보여주며 서서히 [[인지도]]를 굳혀갔다. 2012년 1월 31일에는 두터운 선수층을 갖고 있음에도 [[한두열]], [[조병세(프로게이머)|조병세]] 등 B급 카드를 두 명이나 내고 져버리는 바람에 잘나가던 팀이 3연패를 당해버렸고 팬들은 이길 생각이 있냐며 비난했다. 3월 17일에 열린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 준플레이오프 1차전에서 2세트에 저그 [[김준호(프로게이머)|김준호]]를 [[이영호]]에게 붙여 [[논개#s-4]] 역할을 시키고, KT저그에게 저그 카드로 맞대응 시키고, [[김대엽]]에게 상대전적이 앞서던 [[신상문]]을 붙이며 엔트리를 훌륭하게 냈으나[* 그러나 저저전 싸움은 불확실성이 크고, 에이스급인 CJ 선수들이 지는 것은 치명타인 반면 KT저그는 논개의 개념이므로(...) ~~포스트시즌엔 사실 전혀 논개가 아니었다는 문제는 넘기고~~ 손해보는 싸움이라고 볼 수도 있다. 이영호 논개 전략은 뛰어났지만 이 날의 전체 엔트리가 무조건 좋았는지는 의문. 물론 2, 3차전까지 다 보면 그냥 어떻게 붙여도 답이 없었다.], 선수들이 삽질을 하는 바람에 팀이 1:4로 패하고 말았다. 그리고 결국 [[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가 1~3차전 도합 3연패로 역적질을 하고 [[신동원]]이 1~3차전 도합 1승 2패로 [[우스운자]]로 굴러 떨어지는 바람에 팀은 1승 2패로 준플레이오프에서 탈락하고 말았다. 김동우 감독의 본격적인 진가는 스1, 스2 병행시즌으로 치러졌던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시즌 2]]에서 발휘되었다. 정규시즌 2위로 플레이오프까지 직행을 한 뒤 [[제8게임단]]을 준플레이오프에서 이기고 올라온 [[SK텔레콤 T1/스타크래프트|SKT T1]]과 맞붙게 되었는데, 결과는 전반전 스1은 전부 내주고도 스2로 진행된 후반전과 에결에서 한 판도 내주지 않고 모두 이기면서 자기 팀의 포스트시즌 결승 진출을 성공시켰다. 물론 당시 경기 결과는 김동우 감독의 용병술이 좋아서라기보다 상대 [[박용운]] 감독[* 김동우 사퇴 이후 CJ 엔투스의 후임 감독이 된다.]의 발트리의 영향이 더 크긴 했지만. 그리고 결승전에서는 정규시즌 1위팀인 [[삼성전자 칸]]을 상대로 전반전 스1에서 2:0 완승을 거두고 그 기세를 몰아 후반전에서도 2:1 승리를 해서 마침내 자신의 팀을 '''창단 이후 최초로 프로리그 우승으로 이끌어주는데 성공했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12-13]]에서는 자신의 팀을 정규시즌 6위라는 저조한 성적으로 이끌게 되었고[* 훗날 [[장윤철]]에 의하면 스타크래프트 선수들은 전 대회 우승에도 불구하고 [[리그 오브 레전드]] 팀 창단([[MiG]]-[[Azubu]] 팀 인수)으로 인해 연봉이 깎였고, 이로 인해 선수들이 많이 은퇴했다고 밝했다.], 직후 재계약 협상에서 박시현 코치[* 개명 이전 이름은 박효종. 원래는 [[Incredible Miracle|IM]]에서 활동했던 선수였으며, 종족은 [[프로토스]]이다.]와 함께 재계약 포기를 결정했다. == 이후 == 2015년 1월 미국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Team Dragon Knights (약칭 [[TDK]])의 다만 소속 선수들 중에 탑라이너와 미드라이너의 멘탈이 썩 좋은편이 아니라 관리하는데 좀 힘들듯. 스프링 이후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으로 가게 되었다. 2015년 10월 HOT6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슈퍼리그에서 DK의 감독을 맡은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DK 본사측에서 히오스팀 감독직을 제안해서 받아들였다고 한다. 하지만 DK가 게임단을 전부 정리하면서 다시 무직상태가 되었다. 이후에는 [[중국]]의 [[OMG(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OMG]]에서 육성군 지도를 하면서 리그 오브 레전드쪽에서 활동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2018년 5월 [[Griffin/리그 오브 레전드|Griffin]]의 단장으로 전격 선임되었다. === [[그리핀 사건]] === [[cvMax|씨맥]]의 발언에 의하면 Griffin의 대표인 [[조규남]]과 함께 악인이라고 했다. 다만, 조규남보다 밑에 있는데다 조규남의 임팩트가 하도 어마어마하다 보니 상대적으로 덜 거론되고 있다. 여기까지는 팬들이 당장은 좀 더 지켜보자는 분위기였으나... 이후 [[서진혁]] 선수의 에이전시 계약서를 단순한 '임대 계약 서류'라고 속인 장본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선수진 및 변영섭 코치 4인의 인터뷰를 직접 주도하여 당시 씨맥을 [[타노스]]로 비유하며 이간질을 벌이며 인터뷰에 나서기를 꺼리는 선수들을 계속 비난하였고, 씨맥의 피드백에 대해 선수들에게 조사할 당시 [[최현준(프로게이머)|최현준]] 선수가 씨맥이 폭력/폭언을 휘두르지 아니었으며 별개로 그의 조언들은 오히려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는 의견을 피력하자 팀 분위기를 해친다는 명분으로 숙소에서 내쫓은 것까지 밝혀졌다. 2019년 12월 26일, 스틸에잇 홈페이지의 공식 입장문을 통해 [[서경종]] 대표[* [[Griffin/리그 오브 레전드|롤 팀]] 해체 이후 대표로 다시 복귀하였다.]를 비롯한 경영진의 사임이 발표되며 자연스럽게 그리핀 단장직에서 물러났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347&aid=0000138672|관련 기사]]. 사실 행적으로만 보면 애초에 조규남이 사임할 때 같이 알아서 나갔어야 할 자였긴 하다. 조규남의 악행과 관련해 철저히 조규남의 오른팔 역할을 했던 인간이니만큼, 아마도 e스포츠판에서는 본인과 같은 악인인 조규남[* 이재균도 문제가 있지만 문제의 종류와 책임이 다르며, [[한국e스포츠협회]]에 계속 있기 때문에 내쫒긴 상황 자체가 아니다.]과 마찬가지로 다시는 볼 일이 없을 것이다. 사실 CJ 출신 스타 전 프로들의 썰을 종합해보면, 감독 시절 감독방에서 롤 경기를 관람하거나 게임을 했으며, 프로리그에서 성적이 안 나올때마다 선수들에게 폭언을 퍼붓고 선수들보다 본인의 멘탈이 더 심하게 나가서 선수들이 위로를 해주는 등, 여러모로 프로팀 감독으로서의 성실성과 프로의식, 자질 면에서 엉망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규남의 경우 그리핀 사건에서 심각한 문제를 보여줬지만 적어도 스타 시절에는 상대적으로 분명히 괜찮은 감독이었던 반면, 이 사람은 스타 시절을 기준으로 삼아도 [[이명근]]과 동급인 듯 하다. 스파키즈나 CJ 모두 막장 감독 아래에서 우승을 거둔 공통점이 있다. == 여담 == * 과거 [[삼성전자 칸]] 소속으로 활동했던 게이머 중에도 [[김동우(프로게이머)|김동우]][* 이쪽은 ID가 '''KIMDONGWOO'''이다. 본 항목의 김동우가 게이머였던 시절에는 이쪽이 더 유명했다.]가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본 항목의 김동우와 혼동하는 일이 많았다. 이러다보니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B%8F%99%EC%9A%B0_(1981%EB%85%84)|본 항목의 김동우]]. 현재는 수정되었으며,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B%8F%99%EC%9A%B0_(1982%EB%85%84)|삼성전자 칸의 김동우]] 문서도 따로 생성되었다.], [[리퀴피디아]][* [[https://liquipedia.net/starcraft/KIMDONGWOO|삼성전자 칸의 김동우]]. 은퇴 후 코치를 했다고 잘못 나왔다.], [[와이고수]][* [[https://ygosu.com/reports/?m2=person&idx=249&newwindow=Y&search=YTo1OntzOjExOiJzX2tleXdvcmRfdCI7czo0OiJuYW1lIjtzOjY6ImFzc29ydCI7czowOiIiO3M6NDoic3RhdCI7czo4OiJnZXRtb25leSI7czo2OiJoZWlnaHQiO3M6MDoiIjtzOjk6InNfa2V5d29yZCI7czo5OiLquYDrj5nsmrAiO30%3D|삼성전자 칸의 김동우]]. 사진과 현 소속(2012년 기준) 등이 본 항목의 김동우로 나왔다.] 등은 물론, [[게임메카]] [[https://www.gamemeca.com/view.php?gid=1591018|기사]]에서도 혼동했을 정도였다. * 전 스타 프로게이머 [[김봉준]]의 회상에 의하면 꼬우면 내쫓고 거짓말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정확히는 위의 윤찬희의 사례로도 알 수 있지만 그냥 소속 선수들이 지면 짐 싸서 나가라는 소리를 입에 달고 살았다고.]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 사건]] 이후 소속팀이었던 [[하이트 스파키즈]]의 [[해체]]가 결정되고, [[이재균(e스포츠)|이재균]] 감독에게 가고 싶은 데 없으면 우리 팀으로 와라라는 말을 듣는다. 하지만 이후 해체하는 스파키즈는 CJ와 합병이 결정난다. 팀에 회의를 느껴 --인사 안 하는 이상한 문화가 싫어서-- 얼마 후 '''김동우 감독'''에게 웅진 팀으로 이적시켜달라는 의사를 표하자 숙소에서 짐싸서 꺼지고 내가 이적할 수 있게 잘 말해줄테니 집으로 내려가라고 했다. 하지만 집에 내려가고 '''두 달동안 연락이 없었고''' 개인리그 대회에 나가 결승 때 우연찮게 웅진의 이재균 감독을 만났으나 '''"? 너 왜 여깄어? 봉준아 너 게임접은 거 아니었어?"'''라는 말을 듣고, 지금까지 이재균 감독은 이적에 관해 아무 얘기도 듣지 못했고, 김봉준이 스타를 접었다고 알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한다. 이후 김봉준은 이재균 감독의 손에 의해 즉석에서(...) [[웅진 스타즈]]로 합류하나 거기서는 내내 벤치에만 있다가 은퇴했다. --별개로 그 결승전 경기는 패하였다고...-- [[https://youtu.be/Ix0je15aVb4?t=2363|#]][* 김봉준은 이런건 다 얘기하려면 다 얘기할 수 있고, 그 중에는 '''말하면 모가지 잘릴 사람들 많을만한 얘기도 많지만''' 알던 사람들이라 말을 안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리핀 사건|이번에 터진 것]]도 스타 프로들은 다 알고 있다고 했다.][* 2015년 초 [[김창희(1989)|김창희]]와의 합방에서도 비슷한 썰을 풀었다. 다만 그 때는 직접적인 언급은 아예 없었고 웃자고 푼 썰이라서 그냥 넘어간 것이였다.] [[분류:e스포츠 관련 인물]][[분류:1981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