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정무제1장관)]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신한민주당 원내총무)] ---- [include(틀:통일민주당 사무총장)] ---- [include(틀:민주자유당 원내총무)]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cfa547 대한민국 국회}}}]] [[국회운영위원회|{{{#cfa547 운영위원장}}}]]'''}}} || || 제13대 전반기[br][[이한동]] || → || '''제13대 전반기[br]김동영''' || → || 제13대 후반기[br][[김윤환(1932)|김윤환]] || ---- [include(틀:노태우 정부의 국무위원)]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상남도|{{{#cfa547 경남}}}]]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cfa547 제9선거구}}}]])'''}}} || || ''선거구 개편''[br][[민병권(1918)|민병권]][br][[정우식(정치인)|정우식]] || → || '''제9대'''[br][[정우식(정치인)|정우식]][br]'''김동영''' || → || 제10대[br][[노인환]][br]김동영 || || 제9대[br][[정우식(정치인)|정우식]][br]김동영 || → || '''제10대'''[br][[노인환]][br]'''김동영''' || → || 제11대[br][[권익현]][br]임채홍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상남도|{{{#cfa547 경남}}}]]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cfa547 산청군·함양군·거창군}}}]])'''}}} || || 제11대[br][[권익현]][br]임채홍 || → || '''제12대'''[br][[권익현]][br]'''김동영''' || → || ''선거구 개편''[br][[노인환]][* 산청군·함양군 선거구의 [[제13대 국회의원]] 이다.][br]김동영[* 거창군 선거구의 [[제13대 국회의원]] 이다.]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상남도|{{{#cfa547 경남}}}]]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cfa547 거창군}}}]])'''}}} || || ''선거구 개편''[br][[권익현]][*A 산청군·함양군·거창군 선거구의 [[제12대 국회의원]] 이다.][br]김동영[*A] || → || '''제13대[br]김동영'''[* 임기 중 작고, 잔여임기 1년미만으로 재선거 미실시.] || → || 제14대[br][[이강두]]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764, #003764 20%, #003764 80%, #003764)" '''[[행정안전부장관|{{{#fff 대한민국 제12대 정무제1장관}}}]][br]{{{#fff {{{+1 김동영}}}[br]金東英 | Kim Dong-you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동영 전 장관 프로필.jpg|width=100%]]}}} || ||<|2> '''출생''' ||[[1936년]] [[12월 23일]] || ||[[경상남도]] [[거창군]] || ||<|2> '''사망''' ||[[1991년]] [[8월 19일]] (향년 54세) ||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 || || '''본관''' ||[[선산 김씨]] || || '''호''' ||[[민초]](民草) || ||<|2> '''재임기간''' ||제12대 정무제1장관 || ||[[1990년]] [[10월 13일]] ~ [[1991년]] [[7월 18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차길자 || || '''자녀''' ||2남 1녀 || || '''학력''' ||거창중학교 {{{-2 (졸업)}}}[br]거창농림고등학교 {{{-2 (졸업)}}}[br][[동국대학교]] {{{-2 (정치학 / 학사)}}}[br][[서울대학교]] {{{-2 (행정학 / 석사)}}} || || '''의원 선수''' ||'''4''' || || '''의원 대수''' ||[[제9대 국회의원|'''9''']], [[제10대 국회의원|'''10''']], [[제12대 국회의원|'''12''']], [[제13대 국회의원|'''13''']] || || '''경력''' ||[[부산동성고등학교]] 교사[br][[대한민국 국회|국회]] 전문 위원[br][[신민당(1967년)|신민당]] 총재[* [[김영삼]] 총재] 비서관[br][[제9대 국회의원]] {{{-2 ([[경상남도|경남]]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거창군·산청군·함양군]] / [[신민당(1967년)|신민당]])}}}[br][[제10대 국회의원]] {{{-2 ([[경상남도|경남]]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거창군·산청군·함양군]] / [[신민당(1967년)|신민당]])}}}[br][[제12대 국회의원]] {{{-2 ([[경상남도|경남]]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거창군·산청군·함양군]] / [[신한민주당]])}}}[br][[신한민주당]] 원내총무[br][[제13대 국회의원]] {{{-2 ([[경상남도|경남]] [[거창군]] / [[통일민주당]])}}}[br][[통일민주당]] 부총재[br]통일민주당 사무총장[br][[민주자유당]] [[원내대표|원내총무]][br][[제13대 국회]] 전반기 [[국회운영위원회]] 위원장[br]제12대 [[행정안전부장관|정무제1장관]] || || '''별명''' ||'''[[거창군|거창]]의 [[불곰]], [[左|좌]]동영'''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생전의 별명은 '''[[거창군|거창]]의 [[불곰]]''' == 생애 == 1936년 12월 23일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태어났다. [[아림고등학교|거창농림고등학교]], [[동국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한 뒤 [[부산동성고등학교]]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그 해 일어난 [[4.19 혁명]] 때 학생운동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그 뒤 [[김영삼]]의 비서관으로 정계에 입문하였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 [[신민당(1967년)|신민당]]의 공천으로 경상남도 [[거창군]]-[[산청군]]-[[함양군]] 선거구에서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정우식(정치인)|정우식]]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도 신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노인환]]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그러나 1980년 [[전두환]]의 [[5.17 내란|신군부가 집권하면서]] 그는 국회의원직을 상실하였을 뿐만 아니라 정보기관에 끌려가서 [[고문]]을 당하였다.[*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에 의하면 김영삼이 정계은퇴 선언을 할 때까지 고문했다고. 결국 정계은퇴 선언을 하고 칩거에 들어간 김영삼 앞에 김동영이 나타나서는 '''"정계은퇴를 왜 하십니까? 나 하나 죽는게 뭐 대수라고!"'''라는 말을 하는데, 이에 김영삼은 착잡한 얼굴로 김동영을 포옹한다.] 1981년 김영삼 계열 인사들을 중심으로 하여 민주산악회가 결성될 때 [[이민우(1915)|이민우]] 회장 밑에 [[최형우(정치인)|최형우]]와 함께 그 부회장이 되었다. 1984년 김영삼 계열과 [[김대중]] 계열이 합동하여 '''민주화추진협의회'''를 결성할 때 상임운영위원회 위원으로 활약하였다. 그 해 정치규제에서 해제되었으며, 해금 인사들을 중심으로 [[신한민주당]]을 창당할 때 창당준비위원 및 정무위원으로 활약하였다. 1985년 [[신한민주당]]의 공천으로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권익현]]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6년 신한민주당 원내총무로서 [[국회 국방위원회 회식 난투극 사건]]에 연루되었다. 1987년 김영삼과 김대중 등이 [[통일민주당]]을 창당할 때 그 부총재가 되었으며, 헌법개정을 위한 8인정치회담 통일민주당측 대표(나머지 3인은 [[박용만(1924)|박용만]], [[이중재(1925)|이중재]], [[이용희(1931)|이용희]])로 참여하였다. 1988년에는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남도 거창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89년 [[김정수(1937)|김정수]]의 뒤를 이어 통일민주당 사무총장에 임명되었다. 1990년 [[민주정의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이 합당하여 통합여당인 [[민주자유당]]이 되자 민주계 몫으로 초대 민자당 원내총무가 되었고 [[노태우]] 대통령에 의해 정무제1[[장관]]이 되었다. 세간에서 [[최형우(정치인)|최형우]]와 함께 대표적인 [[상도동계|상도동 가신그룹]]으로 꼽히며 "좌동영 우형우"로 불렸다. [[불곰]]이라는 별명이 보여주듯, 행동으로 말하는 정치인이었으며, 행동력으로는 최형우 못지 않았다.[* 이쪽은 끝까지 살아서 주군의 임종을 지켜 보았다.] 그러나 주군이었던 김영삼의 대통령 당선을 지켜보지 못한 채 1991년 8월 19일, 지병인 암으로 별세했다[* 통일민주당 부총재를 할 때 암선고를 받았으나, 주변의 간곡한 치료권유를 뿌리치고 정무제1장관 자리에 오르는 초인적 의지를 보였었다고.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세상을 떠났고, 그로부터 24년 후 김영삼도 이곳에서 사망하게 된다.][* 비슷한 사례는 김영삼 다음으로 차기 대통령이 된 [[김대중]] 최측근인 [[신기하]] 의원도 정치적 스승이 대통령이 당선되는걸 지켜보지 못한 채 [[제15대 대통령 선거]] 4개월 전인 1997년 8월에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로 세상을 떠났다.]. 그가 세상을 떠나자 김영삼은 빈소로 달려와 영정 앞에서 '''"이 문디 자슥아, [[저승|저 시상]]에 무신 맛있는 떡이 있다꼬 와 이리 빨리 가노!!"'''[* 정치인으로는 한창 나이인 향년 54세에 사망했다.] 라고 고인을 책망하며 통곡했다고 한다. 또한 국회장으로 열린 영결식에서 추도사를 읽다가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8230020920800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91-08-23&officeId=00020&pageNo=8&printNo=21570&publishType=00020|당시 신문 기사]] 뒤에도 김영삼은 김동영에 대해서 회한의 감정을 드러내고는 했는데, 2001년 김동영의 추모 10주기 행사에 참석해서 "김동영 동지는 능력 있는 사람이고 의리의 사나이다."라며 "김동영 동지가 살아있었다면 정권을 놓치지 않았을 것인데 아까운 일이다."라고 말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050822|당시 신문 기사]] 거창에서 나고 자랐고 계속 정치를 해왔기에, [[거창 양민 학살사건]]의 진상조사와 명예회복을 평생의 숙원으로 여겼다. 애초에 정치에 뛰어든 이유가 바로 거창 사건. 하지만 김영삼이 집권한 사후에도 그다지 큰 진척을 보지 못했다. 이후 노무현 정부 때 특별법이 국회에서 통과되었으나 하필 그때 [[노무현 탄핵 사태|탄핵 정국]]인 불운과 국가의 보상액 문제로 인한 거절로 인해 이후 매 국회를 통과해도 대통령 선에서 거절당하고 있는 게 안타깝지만 현실이다. 산청군수 [[이재근(1953)|이재근]]이 그의 비서관으로 정치에 입문했다. 김동영 의원이 김태호 의원의 아버지와 같은 고등학교 출신이었고, 김태호의 서울 유학을 김동영 의원이 지원하였다. == 기타 == [[삼김시대]]에서는 [[정한헌]]이,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에서는 [[최상훈]]이 연기했다.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민주당(1955년))] || 1960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1960 || 탈당[*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신민당(1960년))] || 1960 - 1961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1961 - 1963 || 정당 해산[* [[5·16 군사정변|{{{#0275d8 5·16 군사정변}}}]]로 인한 정당 해산] || || [include(틀:민정당)] || 1963 - 1965 || 입당[br]정계 입문 || || [include(틀:민중당(1965년))] || 1965 - 1967 || 합당[* [[민주당(1963년)|{{{#0275d8 민주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1967 - 1969 || 합당[* [[신한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1969 || 자진 정당 해산 ||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1969 - 1980 || 정당 재등록 || || [include(틀:무소속)] || 1980 - 1985 || 정당 해산 || || [include(틀:신한민주당)] || 1985 - 1987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1987 || 탈당[*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1987 - 1990 || 창당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1990 - 1991 || 합당[* [[민주정의당]], [[신민주공화당]]과 신설 합당, 이른바 [[3당 합당]]][br]별세 || == 선거 이력 ==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 연도}}}''' || '''{{{#fff 선거 종류}}}''' || '''{{{#fff 선거구}}}''' || '''{{{#fff 소속 정당}}}''' || '''{{{#fff 득표수 (득표율)}}}''' || '''{{{#fff 당선 여부}}}''' || '''{{{#fff 비고}}}''' || || 1973 || [[제9대 국회의원 선거]] ||<|2> 경남 9[* 거창군, 산청군, 함양군] ||<|2> [include(틀:신민당(1967년))] ||'''28,595 (22.34%)''' ||<|3> '''당선 (2위)''' || '''초선'''[* [[민주공화당]] [[정우식(정치인)|정우식]] 후보와 동반 당선] || || 1978 ||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 '''39,766 (32.16%)''' || '''재선'''[* 민주공화당 [[노인환]] 후보와 동반 당선][* 80.8.27: 의원직 사퇴] || || 1985 ||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10[* 거창군, 산청군, 함양군] || [include(틀:신한민주당)] || '''32,839 (25.38%)''' || '''3선'''[* [[민주정의당]] [[권익현]] 후보와 동반 당선][* 1987년 탈당([[통일민주당]] 합류)] || || 1988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거창 || [include(틀:통일민주당)] || '''27,513 (59.82%)''' || '''당선 (1위)''' || '''4선'''[* 1991.8.19 임기 중 사망]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동영 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동영 2.jpg|width=100%]]}}} || || [[제9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9대 총선}}}]] (경남 9[* 거창군, 산청군, 함양군]) || [[제10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10대 총선}}}]] (경남 9[* 거창군, 산청군, 함양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동영 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동영 4.jpg|width=100%]]}}} || || [[제12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12대 총선}}}]] (경남 10[* 거창군, 산청군, 함양군])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13대 총선}}}]] (경남 거창군) ||}}}}}}}}} || * 정치적인 중량감이나 명성과 달리 중대선거구제였던 9, 10, 12대 총선에서는 계속 2위로 당선되었는데 김동영 의원이 [[거창군|거창]]에서 표를 받고 경쟁자들이 [[산청군|산청]]과 [[함양군|함양]] 표를 주로 쓸어담다보니 생긴 소지역주의의 결과물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제9대 국회의원/경상남도)] [include(틀:제10대 국회의원/경상남도)] [include(틀:제12대 국회의원/경상남도)] [include(틀:제12대 국회의원/통일민주당)]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박준선, version=110)]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분류:1936년 출생]][[분류:1991년 사망]][[분류:거창군 출신 인물]][[분류:제9대 국회의원]][[분류:제10대 국회의원]][[분류:제12대 국회의원]][[분류:제13대 국회의원]][[분류:신민당(1967년) 국회의원]][[분류:원내대표]][[분류:신한민주당 국회의원]][[분류:통일민주당 국회의원]][[분류:아림고등학교 출신]][[분류:동국대학교 출신]][[분류:노태우 정부/인사]][[분류:정무장관]][[분류:선산 김씨]][[분류:교육인 출신 정치인]][[분류:국회의원 보좌관 출신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