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두산 베어스/간략(외야수))] ---- ||
'''{{{#ffffff 김대한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두산 베어스 1차 지명선수)] ---- || '''{{{#ffffff 김대한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BIC 0.412상)]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38번}}}''' || || [[고봉재]][br](2018) || {{{+1 →}}} || '''김대한[br](2019~2020.8.12.)''' || {{{+1 →}}} || [[권휘]][br](2020.8.18.~2022)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37번}}}''' || || [[박건우(1990)|박건우]][br](2015~2021) || {{{+1 →}}} || '''김대한[br](2022~)''' || {{{+1 →}}} || 현역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대한2023.png|width=100%]]}}} || ||<-2> '''두산 베어스 No.37''' || ||<-2> '''{{{+2 김대한}}} [br]金大韓 | Kim Dae-Han''' || ||<|2> '''출생''' ||[[2000년]] [[12월 6일]] ([age(2000-12-06)]세)|| ||[[서울특별시]][* 서울에서 태어나자마자 마산으로 이사를 가고 다시 서울로 돌아왔다 한다.]||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숭인초[* 초3 때 부천 일신초로 전학, 초5 때 숭인초로 전학.] - 덕수중 - [[휘문고등학교 야구부|휘문고]]|| || '''신체''' ||185cm, 83kg, 270mm, [[B형]]|| || '''포지션''' ||'''[[외야수]]'''[* 고교 시절까지 투타 겸업을 했고, 프로 무대에서는 2020년 6월 10일에 2군에서 한 번 정식으로 마운드에 올라 세이브를 기록한 적이 있다.]|| || '''투타''' ||[[우투우타]]|| || '''프로입단''' ||[[KBO 리그/2019년/신인드래프트#s-2.1|2019년 1차 지명]] ([[두산 베어스|두산]])|| || '''소속팀''' ||[[두산 베어스]] (2019~)|| || '''병역''' ||[[대한민국 육군]] [[제60보병사단]] (2020~2022)|| || '''연봉''' ||4,500만원 (50%↑, 2023년)|| ||<|2> '''등장곡''' ||{{{#!folding [ 이전 등장곡 보기 ] [[안예은]] - 《[[안예은/음반#s-3.3|8호 감방의 노래]]》[* 가사 중에 '''대한이 살았다 대한이 살았다''' 부분이 있어서 이 노래를 등장곡으로 사용한 듯하다. 2022 시즌 7월 7일 키움전까지 8호 감방의 노래를 썼는데, 등장곡을 듣고 빵 터진 [[양석환]]이 백미.] [[VINAI]] - 《The Wave》 (Feat. Harrison)}}}|| ||[[잔나비]] - 《[[사랑하긴 했었나요 스쳐가는 인연이었나요 짧지않은 우리 함께했던 시간들이 자꾸 내 마음을 가둬두네|사랑하긴 했었나요 스쳐가는 인연이었나요 짧지않은 우리 함께했던 시간들이 자꾸 내 마음을 가둬두네(Baby I need you)]]》|| || '''응원가''' ||[[https://youtu.be/lceo3FRHPIU|구단 자작곡]][*가사 '''두산의 김대한! 안타! 안타 워~어어어! 두산의 김대한! 안타! 안타 워~어어어 x2''']|| || '''SNS''' ||[[https://www.instagram.com/dae_han____2/|[[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2><^|1>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족''' ||아버지, 어머니 심은정[* 어머니 심은정 씨는 과거 [[배드민턴]] 국가대표였다. 여자 복식 선수로서 [[길영아]] 선수, [[장혜옥]] 선수 등과 파트너를 이루었었다.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복식 동메달 리스트, [[1994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게임]] 금메달 리스트다. [[https://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477&aid=0000128790|관련 기사]]], 여동생 || || '''MBTI''' ||[[ESFP]][* [[https://youtu.be/aafqjV_s2DI?t=25|#]]] ||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킹대한.png|width=100%]]}}} || [[두산 베어스]] 소속 [[우투우타]] [[외야수]]. == [[김대한(타자)/선수 경력|선수 경력]] == ||<-5> '''통합 선수 경력 : [[김대한(타자)/선수 경력]]''' || ||<-5>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10]] || || [[김대한(타자)/선수 경력/2019년|'''{{{#ffffff 2019년}}}''']] || [[김대한(타자)/선수 경력#s-3.2|'''{{{#ffffff 2020년}}}''']] || [[김대한(타자)/선수 경력#s-3.3|'''{{{#ffffff 군 복무}}}''']] || [[김대한(타자)/선수 경력/2022년|'''{{{#ffffff 2022년}}}''']] || [[김대한(타자)/선수 경력/2023년|'''{{{#ffffff 2023년}}}''']] || ||<-5> [[김대한(타자)/선수 경력#s-2|'''{{{#white 아마추어 시절}}}''']] || == 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대한 타격폼.gif|width=100%]]}}} || || '''김대한의 타격폼'''[* 2022년 9월 16일 삼성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대한3호.gif|width=100%]]}}} || || '''김대한의 120m 홈런'''[* 2022년 9월 16일 삼성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머하이햄 슈파캐치.gif|width=100%]]}}} || || '''김대한의 호수비'''[* 2022년 7월 10일 LG전] || 우선 배트스피드가 상당히 빠르다. 그의 타격을 지켜본 관계자 및 여러 코칭스태프들도 배트스피드 하나만큼은 엄지를 치켜 세웠다. 좋은 체격에 걸맞는 파워와 장타력도 겸비하고 있으며 잠실에서 뛰어야 할 외야수답게 빠른 발과 투수 출신다운 좋은 어깨를 탑재했다. 다만 리그 정상급 어깨와 송구 능력을 지닌 것에 비해 수비 스텝은 아직 약간 부족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대다수의 신인 외야수들이 첫 발 시작점을 끊는 과정에서 겪는 현상임을 생각하면 발전의 여지는 있다. === 타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돡대한타격11.jpg|width=100%]]}}}|| || {{{#fff '''2019 시즌 한화와의 시범경기에서 김대한 특유의 타격 후 팔로스루 동작'''}}} || 타석에서 기본적으로 적극적인 스윙을 한다. 볼 카운트와 상관없이 들어온다 싶으면 거침없이 자기 스윙을 가져간다.[* 다만 프로에 와서는 이게 독이 되고 있다. 원래부터 스윙이 적극적인 타자였으나, 유인구에까지 스윙이 딸려나오면서 삼진도 많아지고 범타도 많아졌다. 결국 19시즌에 어려움을 겪은 이유도 이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래서 휘문고 시절부터 김대한을 유심히 지켜본 두산 팬들은 "잘 하기도 잘 하는데, 딱 [[김태형(1967)|김태형]] 감독이 좋아할 스타일"이라는 의견을 많이 냈다. 참고로 이 예언은 시범경기 때부터 [[http://m.sport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477&aid=0000169471|제대로 적중했다.]] 본인에게 가장 잘 맞는 공 위주로 노려서 집중적으로 컨택하는 모습이나, 빠른 배트스피드와 큰 스윙에 따른 높은 스윙률, 다양하게 퍼져있는 히팅포인트나 타구 분포도 등에서 [[호세 피렐라]]를 떠오르게 하는 부분이 있다. 또한 낮은 방망이 위치에서 배트 로브를 감아돌리는 모습에서는 [[닉 에반스]]와의 연관성도 엿보인다. === 수비 === 2022년부터는 주로 우익수와 중견수로 나서고 있다. 등번호도 37번을 사용하게 되면서 전임 주전 우익수였던 [[박건우(1990)|박건우]]와 플레이 스타일에서 비교가 되고 있는데, 사실 둘의 플레이 스타일은 호타준족 우타 외야수라는 점을 제외하면 많이 다르다. 기본적으로 중장거리 컨택형 타자로 비교적 낮은 타출갭에도 높은 출루율을 기록하는 박건우와 달리, 김대한은 파워툴이 더 많이 부각되는 편이다. 준수한 파워를 보유하고 있지만 컨택이 정교하고 선구안도 좋아[* 박건우가 볼넷이 적어서 선구안이 그닥 좋은 편은 아니라는 오해를 사기도 하지만, 이러한 견해는 [[선구안]] 항목에도 나와있듯 선구안의 의미를 오해한 것에 가깝다. 박건우는 타석 접근법이 배트를 적극적으로 내는 성향이라 볼넷이 적은 것이고, 오히려 선구안 자체는 좋은 편이라 본인이 치기 좋다고 판단하는 공을 정확하게 캐치해서 때려낼 수 있는 선수다.] 리드오프 자리에 더 어울린다는 평가를 받는 박건우와 달리, 김대한은 특유의 타격폼에서 따라오는 큰 스윙 궤적으로 인해 파워 포텐셜은 더욱 높은 평가를 받으나 컨택과 선구안의 기복이 심하다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다만 김대한은 이런 독특한 타격폼으로도 의외로 본인에게 불리한 카운트에서는 박건우처럼 적극적으로 커트를 치며 기회를 노린다. 2022년에는 이렇게 종종 볼넷도 얻어내고 장타도 치면서 발전 가능성을 엿보였다.] 컨택과 선구안에서의 발전으로 출루율을 더 끌어올린다면 오히려 좋은 호타준족 타점 머신인 [[박재홍(야구)|박재홍]]과 비슷한 유형으로 성장할 것 같다는 전망도 받는 중. === 기타 === 의외로 부상이 잦은 편이라 좋은 기회가 찾아와도 이를 잘 살리지 못하는 모습이 자주 나온다. 거기다 본인이 연습량 많은 연습벌레인 것도 오버 트레이닝에 따라 많아지는 잔부상에 기여한다. 부상만 조금 덜 겪어도 분명 기대치 이상의 포텐을 보여줄만 한데 유리몸 기질+오버 트레이닝 및 오버 페이스로 인해 발생하는 후유증들 때문에 성장이 지체되고 있어 아쉬운 부분이다. 때문에 두산 팬들에겐 우타 [[유재웅]], 안 터지는 툴가이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 별명 == * [[야민정음]]으로 '''김머한'''이라는 별명이 있다.[* 본인은 팀 선배들이 유튜브 댓글 등을 통해 알려주면서 처음 접하게 됐다고 한다.] * 전직 프로야구 출신이자 현재 BJ로 활동중인 [[위대한]]과 이름이 같다고 해 [[대하이햄]]이라는 별명이 있다.[* 김대한이 활약상을 보여준 날에는 머하이햄 씨다씨가 댓글로 하나씩 나오는 것은 물론, ‘위대한보다 위대한 김대한’같은 드립도 나온다.] * 7월 22일 당일 퓨처스리그 상무팀과 원정 경기(문경)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당일 새벽에 2군 동료 [[전민재]]와 잠실에서 술을 마시며 “좋았어 영차”를 외친 동영상 덕에 '''영차지명''' 이라는 별명이 생겼다. == 여담 == * 2019년 신인드래프트 1차 지명을 받으면서 휘문고는 [[이정후]]와 [[안우진]]에 이어 3년 연속으로 1차 지명 선수를 배출하게 됐다. 또한 1차 지명 부활 이후 첫 서울권 1순위 야수 지명자가 되었다. 두산으로서도 2004년 '''[[김재호]] 이후 15년 만에 뽑은 야수 1차 지명자'''다. * 어머니 심은정 씨는 과거 [[배드민턴]] 국가대표였다. 여자 복식 선수로서 [[길영아]] 선수, [[장혜옥]] 선수 등과 파트너를 이루었었다.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복식 동메달 리스트, [[1994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게임]] 금메달 리스트다. [[https://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477&aid=0000128790|관련 기사]] * 투수와 타자 중 뭐가 더 하고 싶냐는 질문에 "팀에서 하라는 대로 하겠다. 팀의 뜻이 나의 뜻이다" 라고 밝혔다. 하지만 롤 모델로는 야수인 [[오재원]]과 [[박건우(1990)|박건우]], 프로에서 맞붙어보고 싶은 상대로는 투수인 [[함덕주]]를 꼽았다.[* 그리고 [[함덕주]]는 2021년 [[LG 트윈스]]로 트레이드되면서 진짜로 프로에서 김대한과 [[함덕주]]의 투타 맞대결이 가능할 수 있게 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한사람 대한으로 대한이 살았다.gif|width=100%]]}}} || * 2018년 10월 13일 [[시구(야구)|시구]]를 맡았는데 [[반어법|엄청난 투구]]를 보여주었다. [[https://youtu.be/m8dAEHlbo8w|영상 링크]] [[홍상삼]]의 고의사구 폭투를 연상하게 할 정도. 그 장면을 지켜보며 뭘 마시다 컵에 다시 뱉어내며 어이없어하는 [[김태형(1967)|김태형]] 감독의 반응이 백미. 네티즌들 사이에는 타자로 키워 달라고 본인이 시위하고 있다는 드립이 흥하고 있다. [[https://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477&aid=0000141951|관련 기사]] 그리고 타자로 육성하겠다는 구단의 입장이 발표되었다. [[https://youtu.be/IoymJOPDxZ8|영상 링크]] 참고로 이 때 등번호는 17번.[* 2018~2019년 당시에는 [[변시원]]과 [[류지혁]]이 사용했던 등번호였다. 현재 두산의 17번은 [[홍건희]].] *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소속 레프트 [[정지석]]과 닮았다는 얘기가 많다. 특히 처진 눈매가 복붙 수준이다. * 투수 전향 이야기도 많이 나오지만 우측 팔이 좋지 않고, 애초에 타자를 하기로 마음 먹어서 투수로 전향할 생각은 없다고 한다. 다만 2020 시즌 퓨처스 리그에서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77&aid=0000247409|9회에 투수로 등판해 세이브를 기록한 적은 있다.]] * [[두산 베어스]] 역사상 최초로 신인 첫 해에 응원가를 받게 된 주인공이 되었다. 구단 내에서도 기대가 크고 팬들도 기대가 매우 크다. 특히 두산 팬들은 '머한이는 터진다'는 말을 하며 김대한이 무조건 터질 거라고 믿는 중.[* 실제로 김대한이 첫 안타를 기록한 날, [[https://m.dcinside.com/board/doosanbears_new1/5572834|안타 짤]]에 800개가 넘는 추천과 100개가 넘는 댓글이 달렸으며, [[https://m.dcinside.com/board/doosanbears_new1/5607437|첫 홈런 짤]]에는 1000개가 넘는 추천을 받는 등 팬들의 반응이 폭발적이었다.] 처음엔 [[두산 베어스 갤러리]]에서 하던 말인데 인스타, 유튜브 등으로 '머한이는 터진다'는 말이 퍼져나가며 선수 본인까지 알게 되었다. * 마인드가 상당히 좋은 편이다. 야구장에 처음 출근한 동갑인 볼보이가 계속 존댓말을 하자 "야구 선수도 똑같은 사람인데 편하게 반말해."라고 했다고 한다. * 2022년 2월 9일 전역 예정이었지만 미복귀 전역 형태로 예정일보다 일찍 전역했다. 베어스포티비 영상에도 모습을 드러냈다. * 2022 시즌부터는 [[2021년]]까지 두산 베어스 소속이었던 [[박건우(1990)|박건우]]의 37번을 사용하게 되었는데, “이제 37번 하면 김대한이 떠오르게 하겠다”라고 말하면서 열의를 불태웠다. [[https://youtu.be/9VzWa3qIc9U|#]] * [[키움 히어로즈]] 소속 김동은이 [[김대한(투수)|김대한]]으로 개명을 하면서 두산의 김대한과 동명이인이 되었다.[* 투수 김대한은 개명하고 번호를 38번으로 썼는데, 이 번호는 두산의 김대한이 데뷔 시즌에 사용한 번호이다.] * [[대구 지하철 참사]]의 범인 [[김대한(범죄자)|김대한]]과 이름이 같기 때문에 야갤에서 지역드립이 나올 것이 우려되기도 했다. 그나마 김대한이 2군에서 담금질을 하던 사이 통구이드립을 즐겨 쓰던 야갤이 완전히 자유게시판화되었기 때문에[* 팀갤, 해야갤, 퓨처스리그 마갤 등에서는 통구이드립에 거부감을 표하는 유저가 많으며, [[삼성 라이온즈]]를 칩성으로 부른다.] 그런 저급한 지역드립이 나올 가능성은 낮아졌다. 실제로 2022년 김대한이 데뷔 첫 홈런을 쳤을 때도 [[대하이햄]] 드립 정도만 나왔다. * 2022 시즌 도중에 리코스포츠에이전시에서 선물을 받은 것이 밝혀졌는데, 그동안 리코 소속 [[김현수(1988)|김현수]], [[오재일]], [[박건우(1990)|박건우]]를 잃었던[* 그러나 [[양의지]]는 NC와의 4년 계약이 종료된 후 두산에 돌아왔고, 또 다른 리코 선수인 [[박세혁]]은 모두가 이적을 간절히 바라고 있었던지라 별 타격이 없었다.] 경험이 있는 두산 팬들은 이미 김대한의 에이전시가 리코인 것이 아니냐며 벌써부터 팀의 프랜차이즈 스타 한 명을 얻자마자 잃게 생겼다고 씁쓸해하고 있다.[* 다만 아직 김대한의 에이전시가 어딘지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 '김머한'이라는 자신의 별명에 애정이 큰지 [[https://m.youtube.com/watch?v=aafqjV_s2DI&t=12s?t=115|강아지의 이름을 '머한이'로 지어주고 싶다]]는 말을 하거나, 팔꿈치 보호대에 '''Muhhan'''이라고 이니셜을 새기기도 했다.[[https://m.dcinside.com/board/doosanbears_new1/5721447|#]]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두산 베어스/선수단]] [각주] [[분류:김대한(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