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배우, rd1=김대곤(배우))] [include(틀:국무총리비서실장)] ||<-5> {{{+1 [[전라북도|[[파일:전라북도 휘장.svg|height=40]]]] [[전라북도|{{{#76b624 '''전라북도'''}}}]] [[전라북도 부지사|{{{#76b624 '''정무부지사'''}}}]]}}} || ||<-2> [[유종근|{{{#ffffff ''' 유종근 도정 ''' }}}]] ||<-3> [[강현욱|{{{#ffffff ''' 강현욱 도정 ''' }}}]] || || 5대[br][[강재수]] || → || ''' 6대[br]김대곤 ''' || → || 7대[br][[한계수]]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AC78AD9-C699-4D0C-96DF-C393662D9B90.jpg|width=100%]]}}} || || '''이름''' ||김대곤(金大坤) || ||<|2> '''출생''' ||[[1948년]] || ||[[전라북도]] [[전주시]] || ||<|2> '''사망''' ||[[2022년]] [[6월 21일]] || ||[[서울특별시]] || || '''학력''' ||[[전주고등학교]] {{{-1 ([[졸업]])}}}[br][[성균관대학교]] {{{-1 (법학 / [[학사]])}}} || || '''경력''' ||[[동아일보]] 기자[br]동아일보 차장[br]동아일보 부장[br][[대통령비서실]] 국내언론비서관[br]청와대 춘추관장[br][[전라북도 정무부지사]][br][[국무총리비서실장]][br][[우석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초빙교수[br][[원광대학교]] 대외협력부총장[br]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기자 출신 정치인 == 생애 == 1948년, 전북 전주에 태어났고 전주고등학교, 성균관대 법학과를 졸업한 뒤 1976년 동아일보에 신동아 기자로 입사했다. 1979년 [[10·26 사건|10·26 사태]]에 관심을 갖던 중 [[김재규]]의 변호를 맡은 [[강신옥]] 변호사와 친분을 계기로 '10·26과 김재규', '김재규 X-파일 : 유신의 심장 박정희를 쏘다', '김재규의 혁명 : 역사가 감추려 한 진실을 쫓다' 등 저서를 집필했다. 이러한 책들을 집필을 하여 10·26 사태 재판기록, 김재규의 개인적 삶을 취재한 내용을 바탕으로 10·26 사태를 다각도로 조명했다. 1999년 청와대 공보비서관을 시작으로 공직에 입문한 뒤 2002년 전라북도 정무부지사, 2003년 고건 국무총리 비서실장을 지냈다. 2011년에는 원광대 부총장을 맡았다. 또한 2013년에는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와 이사장을 맡아서 동학농민혁명 기념일을 5월 11일로 정하는데 기여하였다. 2022년 6월 21일 오전 5시, [[폐렴]]으로 별세했다. 항년 74세.[[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928341|#]] [[분류:전주시 출신 인물]][[분류:1948년 출생]][[분류:2022년 사망]][[분류:폐렴으로 죽은 인물]][[분류:전라북도 부지사]] [[분류:국무총리비서실장]][[분류:성균관대학교 출신]][[분류:사회과학 교수]][[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국민의 정부/인사]][[분류:기자 출신 정치인]][[분류:전주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