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광주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85년 출생]][[분류:2008년 데뷔]][[분류:2018년 은퇴]][[분류:광주동성고등학교 출신]][[분류:성균관대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외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경찰 야구단/전역]][[분류:빙그레-한화 이글스/은퇴, 이적]][[분류:해태-KIA 타이거즈/은퇴, 이적]][[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
'''{{{#000 김다원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한화 이글스|'''{{{#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65번}}}''' || || [[정현석]][br](2007) || {{{+1 →}}} || '''{{{#fff 김다원[br](2008~2010.6.7.)}}}''' || {{{+1 →}}} || [[김경언]][br](2010.6.8.~2010) || ||<-5> '''{{{#fff [[KIA 타이거즈|{{{#fff KIA 타이거즈}}}]] 등번호 24번}}}''' || || [[김경언]][br](2008~2010.6.7.) || {{{+1 →}}} || '''{{{#fff 김다원[br](2010.6.8.~2011)}}}''' || {{{+1 →}}} || 전은석[br](2012) || || [[강귀태]][br](2013) || {{{+1 →}}} || '''{{{#fff 김다원[br](2014~2017.7.23.)}}}''' || {{{+1 →}}} || [[유재신]][br](2017.7.31.~2017) || ||<-5> '''{{{#fff [[KIA 타이거즈|{{{#fff KIA 타이거즈}}}]] 등번호 024번}}}''' || || [[조재형]][br](2016) || {{{+1 →}}} || '''{{{#fff 김다원[br](2018)}}}''' || {{{+1 →}}} || 결번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ge/311/2014/06/01/1401612062990_99_20140601174202.jpg|width=100%]]}}} || ||<-2> '''{{{+2 김다원}}}[br]金多元 | Kim Dawon''' || ||<|2> '''출생''' ||[[1985년]] [[9월 17일]] ([age(1985-09-17)]세) || ||[[전라남도]] [[광주광역시|광주시]] (현 [[광주광역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학강초 - [[광주동성중학교|광주동성중]] - [[광주동성고등학교 야구부|광주동성고]] - [[성균관대학교 야구부|성균관대]] || || '''포지션''' ||[[외야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08년 [[육성선수|신고선수]] ([[한화 이글스|한화]]) || || '''소속팀''' ||[[한화 이글스]] (2008~2010) [br] [[KIA 타이거즈]] (2010~2017, 2018)[* 2017년 7월 웨이버 공시 후 2018년 재입단했으나 재방출.] || || '''지도자''' ||[[광주진흥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23~) || || '''병역''' ||[[경찰 야구단]] (2012~2013) || || '''등장곡''' ||[[김영철(코미디언)|김영철]] - [[무도큰잔치|힘을 내요 슈퍼파워]] || || '''응원가''' ||Jedward - Give It Up[* KIA의 김다원 워어어어~ KIA의 김다원 워어어어~ 타이거즈! 오! 김다원!][* [[수원 한국전력 빅스톰]]의 [[서재덕]] 선수와 응원가가 같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야구선수. 전 KIA 타이거즈 소속 [[외야수]]. 별명으로는 다원선생, 다원(茶園)에서 유래한 듯한 녹차갑, 별다른 강점이 보이지 않는다 하여 [[무툴 플레이어]] 등이 있다.[* 의외로 겉보기와는 다르게 발이 빠르지 않은 편이다. 기아 외야수들의 실책이나 병살이 나오면 '김다원도 거기선 잡았겠다 or 김다원도 거기선 안타 쳤겠다'라며 2군에선 날아다니는 김다원을 그리워하며 무려 '''무툴갓'''이라는 칭호를 붙여준다.]잘하면 잘한만큼 1툴, 2툴 추가...바로 인정해준다. 잘치고 잘달리면 그 순간 바로 2툴 선생. 아주 잘할 때는 이름을 변형한 '''킹더원(King the one)'''이 된다. 그 외에 못할때는 [[다운 증후군|다원증후군]]이라는 별명도 있다. 현역 시절에는 이처럼 특별히 눈에 띄는 것은 없는 2군급 외야수였지만, 그래도 성실한 훈련태도를 지녔으며 훈련태도가 성실한 만큼 몸관리도 철저해 내구성도 좋아 커리어 내내 큰 부상이 한번도 없었다. 덕분에 팀에서 부상선수가 생기면 종종 불려 올라와서 백업을 맡았기에 가늘고 길게 10년씩이나 커리어를 이어갈 수 있었다. 재능은 뛰어났지만 몇년만에 져버린 선수도 많은 것을 생각하면 비록 재능은 없었지만 항상 성실하게 노력하는 태도를 잃지 않으면 그래도 10년이나 프로생활을 할 수 있다는, 성실성의 중요함을 일깨워준 선수. [[MC이슈]]의 장내 소개문구가 [[철인 28호|철인 24호]]였는데, 김다원의 이미지를 생각하면 꽤 잘 어울리는 별명이다. == 선수 경력 == [[한국프로야구/2008년/신인드래프트|2008년 한국프로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에서 프로 지명을 받지 못하고, [[한화 이글스]]의 신고선수로 입단하였다. 이후, 2년여간을 2군에 머물러 있다가 2010년 6월 1일, 정식으로 1군에 등록되어 6월 3일 [[문학 야구장]] [[SK 와이번스]] 3연전 마지막 경기에서 1군 무대에 공식 데뷔하게 되었다. 1군에 등록된지 1주일만에 KIA 타이거즈와 한화 이글스간의 3:3 트레이드로 KIA 타이거즈로 이적하게 되었다. ([[장성호]], [[김경언]], [[이동현(1979)|이동현]] ↔ [[안영명]], '''김다원''', [[박성호(야구선수)|박성호]]) === 2010 시즌 === 9월 8일 군산 [[월명야구장]] 한화전에서 6회초에 우익수 [[대수비]]로 투입된 뒤, 6회말 2사 상황에서 [[김재현(1979)|김재현]]을 상대로 우익수 앞에 빗맞은 안타를 뽑아냈다. 단타로 그칠 수 있는 타구였으나 우익수 [[이양기]]가 바운드 계산을 잘못하여 공을 뒤로 빠지고, 이를 쫓아가려고 뒤쪽으로 몸을 틀고 뛰어 가려다가 넘어지는 바람에 2루수 [[오선진]]이 무려 우측 펜스까지 공을 주우러 뛰어갔다. 그 사이, 김다원은 계속 달려서 홈까지 들어왔고 이것이 [[인사이드 파크 홈런]]으로 선언되어 데뷔 홈런을 인사이드 파크 홈런으로 신고하게 되었다. 이것으로 김다원은 한국 야구에서 프로 첫 홈런을 인사이드 파크 홈런으로 장식한 5번째 선수가 되었다.[* 가장 최근에 프로 첫 홈런을 인사이드 파크 홈런으로 기록했던 선수는 1996년 5월 14일 대구 삼성전에 나왔던 현대 안명성 선수. 이후 [[노진혁]]이 2013년 4월 27일 통산 첫 홈런을 인사이드 파크 홈런으로 장식하면서 뒤를 이었다.] [[http://www.youtube.com/watch?v=ZdByFxW0t54|김다원의 인사이드 파크 홈런]] 이후, 9월 18일 [[잠실야구장]] [[LG 트윈스]]전에서 솔로 홈런으로 제대로 된 홈런을 신고하였다. 한때, 타율이 7푼대까지 추락했을 정도로 타격이 매우 부진했지만 후반에 그나마 만회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다음 해를 기대하게 하였다. === 2011 시즌 === 전지훈련 기간 동안 코칭 스태프들도 인정할 정도로 매우 성실한 훈련 태도로 팬들에게 기대감을 주었다. 하지만, 작년과 달라진게 없이 매우 부진한 타격을 보여주면서 대차게 까였다. 결국 1군에 몇 경기 출전하지도 못했고, 시즌 대부분을 2군에 머물렀다. 1군에 머물러 있는 동안 안타를 하나도 치지 못했다. 시즌이 끝나고 병역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찰 야구단]]에 입단하였다. === 2012~2013 시즌 === 2012 시즌부터 2013 시즌까지 2년 동안 [[경찰 야구단]]에서 경기를 뛰었다. 2013 시즌 [[퓨처스리그]] 최종 성적은 86경기 280타수 타율 0.325 10홈런 43타점 44득점 3도루 36볼넷으로 나름대로 좋은 활약을 보여주어 KIA 팬들은 군대가기 전보다는 나은 모습을 보여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 2013년 9월 28일에 전역하여 팀에 복귀하였다. === 2014 시즌 === 전역 후 시범경기부터 계속 백업요원으로써 종용되었다. 그러나 별반 나아지지 않은 수비와 타격능력으로 여전한 2군 급 클래스임을 보여주면서 팬들의 실망감을 안겨주었다. 경찰청 시절 홈런을 많이 기록하는 등 기대할 만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선동열]] 감독이 많이 기용했지만 성적이 좋지 않아 2군에서 시즌을 시작하게 되었다. 그러던 와중 [[김주찬]]의 손가락 틈 부상으로 인해 반대급부로 1군에 올라오게 되었다. 5월 30일 기준으로 타율 0.357, 28타수 10안타 1홈런 2타점 2볼넷을 기록. 5월 3주차 부터 출전하여 4주차부터 성적을 쌓기 시작했다. 이전까지는 별다른 특징이 없는 선수라는 인식이 많았으나 그간 경기에서 쏠쏠한 장타능력을 보여준 것으로 미루어보아 5툴중 파워 부분이 많이 강화된 듯하다. 병역 해결후 복귀하여 부진했던 모습을, 5월 후반부 부터 씻어내고 본격적으로 주전경쟁에 뛰어들었다. 5월 31일 NC와의 경기에서는 3타수 1안타를 기록하였다. 4회 내야 뜬공으로 아웃될 뻔 했으나 유격수가 그것을 잡지 못하였고, 이후 3루에 있던 나지완을 마크하는 틈을 타 살아나갔다. 5회에는 중전 안타, 7회에는 볼을 잘 골라내어 볼넷을 얻어내며 출루했지만, 런앤히트 작전의 실패로 2루 도루중 아웃되었다. 6월 1일 선발 출장한 김다원은 4타수 2안타 1홈런을 기록했다. 2회 첫타석에 들어서 상대 투수 [[웨버]]를 상대로 3구만에 좌중간을 가르는 홈런을 날렸다. 5회에는 초구를 잡아채 2루타를 치며 이범호를 3루까지 보냈다. 6월 5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경기에서 7회말 2점차 2아웃 주자 2 3루라는 절호의 찬스에 [[대타]]로 출장하였으나 찬스를 살리지 못하고 아쉽게 [[안지만]]에게 삼진을 당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7월 8일 SK 와이번스전에서 [[여건욱]]을 상대로 팀의 승리를 굳히는 4호 좌월 솔로 홈런을 기록하였다. 후반기에는 삽을 들고 있는 이대형을 대신해 가끔씩 중견수도 보았다. 하지만, 9월 14일 한화전에서 1회 타구판단 미스로 2점을 내주는 듯, 타구판단 부분에서는 아직 미숙한 점이 많았다. 그래도 이대형과는 달리, 어깨가 좋은 편이라는 평가였다. 다만 이대형이 가을 들어 살아난 이후에는 주로 좌익을 봤다. 어느 자리에 가도 1군 외야 레귤러 중에서 제일 어깨가 강했던 선수였다. 시즌 최종 성적은 86경기 210타석 189타수 51안타 5홈런 17타점 21득점 2도루 타율 0.270 출루율 0.328 장타율 0.429 OPS 0.757로 마무리하였다. === 2015 시즌 === [[이대형]]이 kt로 이적하면서 [[박준태(1991)|박준태]]와 함께 차세대 중견수 후보로 떠올랐다. 일단 시즌 초에는 [[김원섭]]의 몸상태가 생각보다 괜찮은지라 백업 롤을 맡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다만 [[신종길]]이 시범경기 말미에 어깨뼈 골절로 두 달 정도 이탈하게 되면서 김다원에게도 기회가 어느 정도 갈 가능성이 높아졌다. 3월 28일 [[김주찬]]의 장딴지 통증으로 인한 선발 제외로 3월 29일부터 우익수 선발로 출전, 이후로도 외야에서 계속 선발로 나서며 4월 3일 8타수 3안타 0.375로 비교적 준수한 성적을 남기고 있고 안정된 우익수 수비를 보여주고 있다. 4월 5일 6번타자 좌익수로 선발출전. [[kt wiz]]선발 [[크리스 옥스프링|옥스프링]]의 경기를 보기위해 먼 [[오스트레일리아|호주]]에서 찾아온 옥스프링 가족이 지켜보는 가운데 1회초때 2타점 적시타 2루타로 기아의 선취점을 만들어냈다. 전날 [[이범호]]의 활약에 연이은 4타수 3안타 2타점으로 이 날만큼은 김다원의 날이었다. 4월까지만 보면 팀내 득점 2위에 타율도 브렛필 김주찬을 제외하면 1위였다. 기대이상의 성과. 5월 2일 [[이범호]]와 백투백 홈런을 합작했다. [[http://m.sports.naver.com/video.nhn?id=124374|간지나는 빠던]]은 덤. 1분 20초 경에 나온다. 그러나 이후 타격 슬럼프에 빠져 부진한 성적을 기록하고 있던 중 5월 6일 [[나지완]], [[차일목]]과 아름다운 [[기아 챌린저스 필드|함평행]] 2군버스를 타게되었다. 그 후 1군에 올라와서 대타로 자주 나오는데 타격감이 바닥인것만 확인했다. 팬들은 1군 백업이라도 쓰지 괜히 2군 보내서 감각만 망쳤다고 아쉬워하고 있다. === 2016 시즌 === 시범경기에서 4할대의 맹타를 휘두르며 [[김주형]]과 함께 타격에서 맹활약을 보이는 중. 3월 26일 한화전에서 3타수 무안타로 부진해 내려간 타율이 저 정도다. 정규시즌 개막에서도 이 감을 유지할 수 있을 진 지켜봐야 할 듯. 4월 17일 넥센전에서 대타자로 나와 솔로홈런 기록. 그러나 팀은 2대1로 패배. 4월 26일, 28일 모두 찬스때 대타로 나와서 무뇌 타격을 선보이며 패배로 이끌었다. 9월 7일 타격과 수비에서 모두 팀에게 민폐만되는 플레이를 보여주며 팀을 패배로 이끌었다. 특히 수비에서 김호령과 충돌하며 글러브만 날려버리는 플레이는...... === 2017 시즌 === 줄곧 2군에 있다가 7월 24일 [[웨이버 공시]]되었다.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311&aid=0000757729&redirect=true|#]] 그러나 웨이버 공시 이후 새로운 팀을 구할 수 있는 기간인 일주일동안 새 팀을 찾지 못하면서 잔여 경기는 뛸 수 없게 되었다. 한편 [[등번호]]였던 24번은 [[넥센 히어로즈]]에서 넘어온 [[유재신]]이 물려받았다. 이후 9월 12일 제주도에서 봤다는 글이 올라와 사실상 은퇴한 것으로 보였으나... === 2018 시즌 === 2018년 1월 [[육성선수]]로 재입단했다. [[http://www.kwangju.co.kr/article.asp?aid=1515423600621413011|#]] 사실상 2군 뎁스용 계약. 시즌 후 군입대 자원이 13명이나 되고 방출도 여럿 시키다보니 2군 외야 자원이 부족해졌기 때문에 다시 불러들인 듯하다. 고향이 광주인 로컬 보이고, 평소 훈련 태도가 성실한 것을 감안해 고향 출신 선수의 퇴직금이라도 몇 천만원 챙겨주고 겸사겸사 어린 선수들의 모범도 되면서 마침 2군에 우타 외야수가 없으니 보험용 2군 외야수를 확보하는 등 여러가지 복합적인 이유가 겹쳐 한 해 더 선수 생활을 연장할 수 있게 되었다. 실제로 2군에서도 거의 시합에 나오지 않았고, 5경기 타율 7푼 7리로 의미있는 성적은 기록하지 못했다. 그리고 시즌 종료 후 10월 19일 재계약 불가 통보를 받았다. == 여담 == * 2007년 [[전국대학야구선수권대회]]에서 결승 1타점 적시타로 성균관대를 44년 만에 정상에 올리는데 공헌한 바 있다. 성대 시절의 절친으로는 [[이희근]]과 [[모창민]]이 있다. * 2008년, 한화 이경재 사장과 윤종화 단장 앞에 새로 입단한 신인들이 나란히 섰을 때, 김정무 운영팀장은 김다원을 “이 친구는 24시간 동안 티배팅을 시켜도 쓰러지지 않을 만큼 체력이 강하다.”고 소개하였다. 순간, 주변에서 폭소가 터졌다고.. * 같은 팀의 [[김주형]]과는 초-중-고 동창이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5> {{{#fff 역대 기록}}} || || {{{#fff 연도}}} || {{{#fff 소속팀}}} || {{{#fff 경기수}}} || {{{#fff 타수}}} || {{{#fff 타율}}} || {{{#fff 안타}}} || {{{#fff 2루타}}} || {{{#fff 3루타}}} || {{{#fff 홈런}}} || {{{#fff 타점}}} || {{{#fff 득점}}} || {{{#fff 도루}}} || {{{#fff 4사구}}} || {{{#fff 장타율}}} || {{{#fff 출루율}}} || || 2008 ||<|2> [[한화 이글스|한화]] ||<-13><|2> 1군 기록 없음 || || 2009 || || {{{#fff 연도}}} || {{{#fff 소속팀}}} || {{{#fff 경기수}}} || {{{#fff 타수}}} || {{{#fff 타율}}} || {{{#fff 안타}}} || {{{#fff 2루타}}} || {{{#fff 3루타}}} || {{{#fff 홈런}}} || {{{#fff 타점}}} || {{{#fff 득점}}} || {{{#fff 도루}}} || {{{#fff 4사구}}} || {{{#fff 장타율}}} || {{{#fff 출루율}}} || || 2010 || [[한화 이글스|한화]]/[[KIA 타이거즈|KIA]] || 45 || 56 || .143 || 8 || 0 || 0 || 2 || 2 || 9 || 1 || 4 || .250 || .200 || || 2011 ||<|8> [[KIA 타이거즈|KIA]] || 19 || 9 || .000 || 0 || 0 || 0 || 0 || 0 || 3 || 0 || 1 || .000 || .100 || || 2012 ||<-13><|2> 군 복무 ([[경찰 야구단]]) || || 2013 || || 2014 || 86 || 189 || .270 || 51 || 13 || 1 || 5 || 17 || 21 || 2 || 17 || .429 || .329 || || 2015 || 108 || 245 || .245 || 60 || 9 || 0 || 5 || 30 || 31 || 1 || 27 || .343 || .318 || || 2016 || 25 || 43 || .302 || 13 || 2 || 0 || 1 || 6 || 3 || 0 || 4 || .419 || .362 || || 2017 ||<-13><|2> 1군 기록 없음 || || 2018 || ||<-2> '''[[KBO 리그|KBO]] 통산'''[br](5시즌) || 283 || 542 || .244 || 132 || 24 || 1 || 13 || 55 || 67 || 4 || 53 || .363 || .309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한화 이글스/선수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