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고등법원장)] ----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대전고등법원장)]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596 0%, #005596 20%, #005596 80%, #005596)" '''[[법관|{{{#fff 대한민국 법관}}}]][br]{{{#fff {{{+1 김광태}}}[br]金光泰 | Kim Gwangta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광태.jpg|width=100%]]}}} || ||<|2> '''출생''' ||[[1961년]] [[11월 8일]] ([age(1961-11-08)]세) || ||[[광주광역시]] || ||<|4> '''재임기간''' ||제25대 [[대전고등법원|대전고등법원장]]|| ||[[2020년]] [[2월 13일]] ~ [[2021년]] [[2월 8일]]|| ||제49대 [[서울고등법원|서울고등법원장]]|| ||[[2021년]] [[2월 9일]] ~ [[2023년]] [[2월 19일]]|| || '''현직'''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광주시법원 원로법관|| || '''가족''' ||아내 양미경, 슬하 1남 1녀 || || '''학력''' ||[[전주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법과대학]] {{{-2 (법학 / [[학사]])}}}[br][[하버드 대학교#s-4.2.2.3|하버드 대학교 로스쿨]] {{{-2 (석사)}}} || || '''약력''' ||제25회 [[사법시험]] 합격[br]제15기 [[사법연수원]] 수료[br]서울민사지방법원 판사[br][[대전고등법원]] 판사[br][[법원행정처]] 법무담당관[br][[서울고등법원]] 판사[br][[제주지방법원]] 부장판사[br][[재판연구관|대법원 재판연구관]](부장판사)[br][[서울중앙지방법원]] 부장판사[br][[부산고등법원]] 부장판사[br][[양형위원회]] 상임위원[br]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br][[광주지방법원]]장[br]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br]대전고등법원장[br]서울고등법원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법관]]. == 생애 == [[광주광역시]]에서 태어났다. [[전주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했다. 1983년 제25회 [[사법시험]]에 수석으로 합격하여, 1986년에 [[사법연수원]]을 수료하였다. [[사법연수원 기수]]는 15기. 이후 1989년 서울민사지방법원[* 현 서울중앙지방법원] 판사로 임관한 이래 각급법원에서 민사, 형사, 행정 등 다양한 재판업무를 담당했다. [[법원행정처]] 파견 근무, 미국 하버드 대학교, 영국 캠브리지대학교에 교육파견, 부장 시절 [[재판연구관]] 역임 등 엘리트코스를 밟아 왔다. 고등법원 부장판사로 승진한 이후, 대법원 [[양형위원회]] 출범 시기에, 1기ㆍ2기 상임위원을 맡아 양형기준제도의 정착에 기여했다. 평생 법관제 시행에 따라, 광주지방법원장 2년 임기 이후, 2018년 고등법원 재판부로 복귀하여 재판 업무를 보다가, 2020년 대전고등법원장으로 전보되었다. 1년 만에 서울고등법원장으로 전보되었다. 2023년 인사에서 원로법관으로 지명돼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광주시법원에서 소액사건을 담당할 예정이다. 서울고등법원은 45대 법원장 조병현부터 46대 심상철, 47대 [[최완주]], 48대 [[김창보]], 그리고 49대 김광태에 이르기까지 법원장이 전부 원로법관에 지원하는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광주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61년 출생]][[분류:전주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