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光均 [[1914년]] [[1월 19일]] ~ [[1993년]] [[11월 23일]]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시인(문학)|시인]], [[기업인]]이다. 본관은 [[김(성씨)|웅천]](熊川), 호(號)는 우사(雨社), 우두(雨杜)이다. 종교는 [[개신교]]였다가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세례명]]은 요셉이다. 일제 시대에는 대표적인 모더니즘 시인의 한 사람이었으나, 한국전쟁 이후로는 시 집필을 그만두고 기업인이 되었다. 간송 [[전형필]]과는 사돈이다. == 생애 == 1914년 1월 19일 [[경기도]] [[개성시|개성군]]에서 포목 도매상으로 일하던 아버지 김창훈과 어머니 한순복 사이의 3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송도고등학교|송도상업학교]]를 졸업하고 고무공장 사원으로 근무하면서 어린 시절부터 시를 쓰기 시작하였다. 불과 열세 살의 어린 나이인 1926년 "가신 누님"으로 창작 활동을 시작하여 이후 [[가로등|와사등]], 기항지, [[은수저(김광균)|은수저]] 등의 시를 썼다. 대표적인 모더니즘 작풍의 시인으로 유명해졌다. [[6.25 전쟁]] 중 납북된 동생이 운영하던 건설상회를 대신 운영하며 중견 기업으로 키워내는 등 기업인으로도 활동했다. [[무역협회]] 부회장,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이사를 역임하면서 당시까지 일본어 일색이던 경제용어를 우리말로 바꾸었다.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수표(일본어 小切手), 어음(手形), 환(爲替), 환전(兩替) 등의 용어도 그가 만든 것이다. 1993년 11월 23일 저녁 8시 25분 [[서울특별시]] [[종로구]] [[부암동(종로구)|부암동]] 129-44번지 유원빌라 4동 101호 자택에서 [[숙환]]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3112500209130011&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3-11-25&officeId=00020&pageNo=30&printNo=22354&publishType=00010|별세했다]].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업인]][[분류:개성시 출신 인물]][[분류:웅천 김씨]][[분류:1914년 출생]][[분류:1993년 사망]][[분류:대한민국의 시인]][[분류:실향민]][[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신자]][[분류:송도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