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LG 트윈스/간략(코칭스태프))] ---- ||
'''{{{#ffffff 김경태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2023_Champion_LG.png|height=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코치''' || || '''[[2023년 한국시리즈|{{{#ffffff 2023}}}]]''' || ---- || [[KBO 퓨처스리그|[[파일:KBO 퓨처스리그 엠블럼.svg|height=30]]]][br] '''{{{#fff 2004 KBO 퓨처스 북부리그 최우수 평균자책점}}}''' ||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28번}}}''' || || [[신동수(1966)|신동수]][br](1995~1997) || {{{+1 →}}} || '''김경태[br](1998~2001)''' || {{{+1 →}}} || [[최만호]][br](2002~2006) || ||<-5> '''{{{#fff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36번}}}''' || || 강규철[br](2000~2001) || {{{+1 →}}} || '''{{{#000 김경태[br](2002~2003)}}}''' || {{{+1 →}}} || 김만윤[br](2004~2004.4.10.) || ||<-5> '''{{{#fff [[SK 와이번스|{{{#fff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42번}}}''' || || [[정상호]][br](2001~2003) || {{{+1 →}}} || '''{{{#1e3466 김경태[br](2004~2005)}}}''' || {{{+1 →}}} || 김종민[br](2006) || ||<-5> '''{{{#fff [[SK 와이번스|{{{#fff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17번}}}''' || || 김종민[br](2004~2005) || {{{+1 →}}} || '''김경태[br](2006~2008)''' || {{{+1 →}}} || ~~[[박현준]]~~[br](2009~2010.7.27.)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64번}}}''' || || 박영주[br](2006~2007) || {{{+1 →}}} || '''김경태[br](2009)''' || {{{+1 →}}} || [[유경국]][br](2010~2011) || ||<-5> '''{{{#fff [[SK 와이번스|{{{#fff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71번}}}''' || || [[이광길]][br](2007~2011) || {{{+1 →}}} || '''김경태[br](2012~2020)''' || {{{+1 →}}} || [[손지환]][br](2021~2023)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71번}}}''' || || [[최일언]][br](2019~2020) || {{{+1 →}}} || '''김경태[br](2021~)'''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김경태.png|width=100%]]}}} || ||<-2> '''LG 트윈스 No.71''' || ||<-2> '''{{{+2 김경태}}}[br]金京泰 | Kim Kyeongtae''' || ||<|2> '''출생''' ||[[1975년]] [[11월 6일]] ([age(1975-11-06)]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서울구암초등학교|구암초]] - [[성남중학교(서울)|성남중]] - [[성남고등학교 야구부|성남고]] - [[경희대학교 야구부|경희대]][* 1994학번] || || '''신체''' ||178cm, 75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98년/신인드래프트#s-3.2|1998년 2차 1라운드]] (전체 7번, [[LG 트윈스|LG]]) || || '''소속팀''' ||[[LG 트윈스]] (1998~2001)[br][[두산 베어스]] (2002~2003)[br][[디미디어 티렉스|청타이 타이양]] (2003) [br] [[SK 와이번스]] (2004~2008)[br][[LG 트윈스]] (2009)[br][[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s-3.2|카가와 올리브 가이너스]][* [[일본]] 독립리그 팀] (2010) || || '''지도자''' ||[[SSG 랜더스/2군|SK 와이번스 2군]] 재활코치 (2012~2014)[br][[SK 와이번스]] 루키군 투수코치 (2015)[* ~8월 14일][br][[SK 와이번스]] 1군 불펜코치 (2015)[* 8월 15일~][br][[SK 와이번스]] 루키군 투수코치 (2016)[br][[SSG 랜더스/2군|SK 와이번스 2군]] 투수코치 (2017~2020) [br][[LG 트윈스/2군|LG 트윈스 2군]] 투수코치 (2021~2022) [br]'''[[LG 트윈스]] 1군 투수코치 (2023~)''' || || '''등장곡''' ||[[다이나믹 듀오]] - 고백 || || '''종교''' ||[[개신교]]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야구인. 前 [[LG 트윈스]], [[두산 베어스]], [[SK 와이번스]] 소속 좌완 투수. [[대한민국]]에서 [[마일영]]과 같이 [[너클볼]]을 던졌던 선수였다. 현역 시절은 좋지 못한 커리어에 방출, 부상의 신화로 기억된다. 위의 소속 팀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참 이것저것 많다. LG에 입단했다가 4시즌 만에 방출, 두산에서 방출, SK 신고선수 불합격, SK 방출, LG 재입단 후 방출로 같은 팀에서 2번 방출당한 선수이기도 하다. 그 정도면 아무도 기억하지 않을 평범하게 지나갈 [[중간계투]] 투수였지만, 그나마 기억되는 이유가 바로 그 [[너클볼]] 때문이다.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성남고등학교 야구부|성남고등학교]]와 [[경희대학교 야구부|경희대학교]] 시절에는 팀의 에이스로 성남고를 2개 대회 준우승으로 이끈 선수이고, 그와 같이 경희대 때도 상당한 좌완투수로 이름을 날렸다. 하지만 '''좋은 건 그걸로 끝'''. === [[LG 트윈스]] 1기 === 1998년 2차 1순위 지명을 받아 계약금 2억 원을 받고 LG에 입단하여 투수 유망주가 되었으나, 성적은 [[평균자책점]] 7점대-6점대-10점대로 좋지 못했고 결국 2001년을 끝으로 '''방출되었다'''. === [[두산 베어스]] === 이렇게 흘러 간 투수가 되는가 했지만, 그는 [[두산 베어스]]에 [[육성선수|신고선수]]로 이적했다. 그리고 또 망했다. 10경기에 등판하여 8이닝 '''[[평균자책점]] 15.75'''에 4피홈런 2패에 그쳤다. === [[디미디어 티렉스|청타이 타이양]] === 그리고 시원하게 '''방출되어''' 해외 진출을 타진, 대만 프로리그 [[디미디어 티렉스|청타이 타이양]]에서 1년 간 단 한 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13.50의 평균자책점만을 남기며 [[대한민국]]으로 돌아와서 잠정 '''은퇴했다.''' 사실 애초에 최고 구속이 140km/h 언저리에 불과했고, 구위가 좋지 못하다 보니 한 번 맞으면 정말 시원하게 쳐맞을 수밖에 없는 투수 유형이었다. === [[SK 와이번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sksports.net/2006061311353463926_3617.jpg|width=100%]]}}} || 하지만 [[김태한]]이 망한 뒤 은퇴하고, [[이상훈(좌완투수)|이상훈]]은 마음이 떠나 에이스 [[이승호(1981)|이승호]] 말고는 쓸 만한 좌완투수가 없다시피했던 [[SK 와이번스]]에서 그를 2004년 5월에 데리고 간다. 이 때 좌완 스페셜리스트 불펜으로 활약하며 커리어 하이를 기록한다. 의외로 생각 이상으로 대활약하며, 후반기에는 SK의 불펜을 이끈다. 21경기에 등판해 연승을 기록하여 무려 5승을 가져가는 등 승승장구했다. 하지만 SK에서 김경태의 활약은 그것뿐이었고, 2005년과 2006년에는 다시 [[평균자책점]] 5점대로 리셋되는 등 영 좋지 않았다. 그러다가 [[김성근]] 감독이 부임한 2007년 다시 뭔가 되기 시작해, [[평균자책점]] 2점대를 찍으며 원포인트로 활약했다. 하지만 부상으로 말아먹고 '''또 방출되었다'''. 그가 또 부상을 당하지 않았으면 좌완 왕국인 SK에 또다른 좌완으로 기억되었을 것이나, SK와 프로야구가 팬이 늘기 바로 전에 방출되어 그저 아쉬울 뿐이다. === [[LG 트윈스]] 2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jiVkhVZuS4)]}}}|| 커리어의 황혼에 이른 그에게 [[너클볼]]이 찾아온다. 사실 커리어의 대부분은 [[너클볼]]을 던지지 않았지만, 2009년 LG에 2번째 입단을 하기 전에 불완전한 [[너클볼]]을 습득했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도 기삿거리가 되고 기억이 되었으며 이 항목이 작성될 이유가 되었다. 하지만 단순히 던졌다 뿐이지, 그 [[너클볼]]로 똑딱이 [[이종욱]]에게 홈런을 맞았고, 역시 똑딱이인 [[이인구(야구선수)|이인구]]에게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대형 홈런을 허용하는''' 등, 성적은 좋지 않아 '''또 방출되었다'''. === 일본 독립리그 시절 === 그는 기를 쓰고 [[일본]]으로 건너가서 [[독립리그]] 팀에 입단하여 활동했다. 이 때 찍은 기록은 '''31경기에 등판해 1승 2패 3세이브 14홀드, [[평균자책점]] 1.09'''. 하지만 그걸 끝으로 [[독립 리그]]를 나와 또 한국프로야구 팀 입단을 재시도했으나 '''실패'''했고, 이후 [[멕시코]]로 이동하여 무려 7번째 입단을 타진한다. 하지만 레퍼런스에 별다른 자료가 없는 걸로 보아(KBO 때 자료 뿐이다)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결국 선수 생활에서 완전히 '''은퇴했다.''' 저렇게 파란만장한 생활을 했음에도 나이는 [[김재현(1975)|김재현]]보다 적어서,[* 김재현은 프로필상 1975년생으로 김경태와 동갑이지만, [[김재현(1975)|김재현]] 문서에도 나와 있듯이 [[김재현(1975)|김재현]]의 실제 나이는 1974년생으로 김경태보다 1살이 많다.] 조금 일찍 은퇴했다는 생각이 들 만하다. == 지도자 경력 == === SK 와이번스 === 한 때 몸담았던 팀이자 코치진이 초토화된[* 2011 시즌이 끝나자마자 [[김정준]]부터 시작하여 [[김성근]] 감독과 인연이 있는 [[박상열]], [[이홍범]], [[계형철]], [[가토 하지메]], [[김태균(1971)|김태균]], [[이철성(야구)|이철성]] 등의 코치들이 줄줄이 SK에 사표를 내고 만다.] [[SK 와이번스]]의 2군 재활코치로 영입되어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였다. 그의 재활코치 영입에 대하여 SK 팬들은 대부분 호의적인 반응이었다. [[정영일(야구선수)|정영일]]이 [[SK 와이번스]]에 입단한 후 병역 문제로 인해 [[상무 피닉스 야구단|상무]]행을 결정하자, [[괌]]에 차린 SK의 재활 캠프에서 [[정영일(야구선수)|정영일]]이 입소를 위해 조기 귀국할 때까지 투구 밸런스를 잡아 주기도 했다. 2015년 8월 15일 부로 [[김상진(1970)|김상진]] 1군 투수코치가 재활군으로 내려가면서 [[김원형]]이 1군 투수코치로 이동하자, 1군 불펜 투수코치로 승격되었다. 2015 시즌 후 3군 투수코치로 이동했고 2017시즌부터는 2군 투수코치를 맡고 있다. 2020 시즌 후 재계약이 불발되며 팀을 떠났다. SK 팬들은 대체로 아쉬워하는 분위기다. 최근 SK의 주축 투수로 성장한 대부분 선수들의 신인 시절에는 김경태 코치의 지도력이 큰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특히 시즌 중에는 아예 서울의 집을 떠나 [[강화 SSG 퓨처스필드|강화도 퓨처스 파크]]에서 숙식을 해결하며 선수들의 육성에 매달렸다. SK 구단에서도 그의 성실성과 지도력에 매우 높은 점수를 줬다고 한다. 그랬던 그가 SK를 떠난다고 하자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77&aid=0000271929|퓨처스 파크에서 일하던 분들이 아쉬움의 눈물을 흘렸을 정도]].] SK의 고위 관계자도 능력 문제 때문에 재계약이 불발된게 아니라 팀 분위기 쇄신 차원이라고 밝혔다. === LG 트윈스 === SK와 결별한 후 친정팀인 LG 트윈스로 12년 만에 코치로서 다시 돌아왔다. SK에서 맡았던 보직과 그동안의 성과를 고려할 때 [[LG 트윈스/2군|2군]] 투수코치를 맡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예상대로 2군 투수코치로서 지도 업무를 맡게 됐다. 커리어 내내 제구가 말썽이었던 [[이우찬]]의 밸런스를 잡아 2022년부터 1군에서 없어서는 안될 투수로 만든 점으로 호평을 받았다. [[https://m.news.nate.com/view/20220503n15144|142→149㎞…'구속 혁명' LG 이우찬에게 무슨 일이 있었나]] 2023년부터는 LG의 1군 불펜코치를 맡는다. 그러나 1군 투수코치인 [[경헌호]] 코치가 건강 문제로 휴식을 취하게 되면서 경 코치의 복귀 전까지 메인 투수코치를 맡게 되었다. 메인 투수코치로서의 평가는 안 좋은 편이다. WBC의 여파인진 몰라도 [[고우석]]이 부상, [[정우영(야구선수)|정우영]], [[김윤식(야구선수)|김윤식]]이 심각하게 부진한 데다 투수들이 죄다 전년과 달리 구속도 떨어진 모습을[* [[이민호(2001)|이민호]]와 [[이정용(야구선수)|이정용]]은 150 가까이 나오던 직구가 141 수준으로 추락했으며 정우영은 평속이 150을 찍던 괴물 사이드암이었는데 최고 구속이 150을 넘지가 않고 있으며 김윤식은 평속이 140초반은 나왔었는데 최고 구속이 딱 140이 나오는 폐급 투수가 되었다.] 보이고 있으며 투수 교체도 영 신통치 않아 작년 철벽 불펜 왕국을 구축했던 경헌호와 비교돼서 까이고 있다. 더 나아가 [[염경엽]] 감독이 같이 데려온 허수아비 수석코치 [[김정준]], 작년 수비 1위 팀을 실책 1위 팀으로 만들어버린 수비코치 [[김일경(야구)|김일경]]과 묶여 삼김이라고 까이며 아예 당장 감독이랑 손잡고 나가라는 극단적인 말까지 나오는 판이다. 그나마 긍정적인 평가가 있다면 [[박명근]], [[유영찬]] 등 신예들의 발굴과 [[서건창]]과 함께 까임 순위 1위였던 [[함덕주]]의 부활, [[백승현]]의 투수 정착이 완벽히 이루어지며 부진에 빠진 작년 필승조의 구멍을 메우고 있어 아주 답이 없는 수준은 아니란 것 정도이다. 하지만 이마저도 이 신흥 필승조를 이기든 지든 점수차만 적으면 등판시키는 백정짓을 하고 있는지라 알아서 욕을 수집하고 있다.[* 이건 일장일단이 있다. 신흥 필승조가 지는 상황에서도 점수차가 벌어지지 않게 잘 막아준 덕에 리그 1위에 빛나는 LG 타선이 역전을 만들어 역전승 1위라는 기록을 달성했기 때문이다.] 여러모로 전임 투수코치인 경헌호에 비하면 운용보다는 육성쪽이 어울리는 듯 하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경태, version=38)]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75년 출생]][[분류:1998년 데뷔]][[분류:2010년 은퇴]][[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성남고등학교(서울) 출신]][[분류:경희대학교 출신]][[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분류:SK 와이번스-SSG 랜더스/은퇴, 이적]][[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 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