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김경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두산 베어스 1차 지명선수)] ---- ||
'''{{{#000 김경원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oeiwjnFKre1sqk8veo7_r1_540_2.jpg|width=70]] '''1989 [[청룡기 전국고교야구 선수권대회#s-2]] MVP''' || ---- ||<-2>
[br][[파일:external/s20.postimg.org/OB1995.png|width=50]][[파일:Eagles_Champion_v1.png|width=50]][br]'''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 || '''[[1995년 한국시리즈|{{{#ffffff 1995}}}]]''' || '''[[1999년 한국시리즈|{{{#ffffff 1999}}}]]''' || ---- ||<-5> '''{{{#FFD700 [[OB 베어스|'''{{{#FFD700 OB}}}''']]{{{/}}}[[두산 베어스|{{{#FFD700 두산 베어스}}}]] 등번호 19번}}}''' || || 정효형[br](1991~1992) || {{{+1 →}}} || '''{{{#ffffff 김경원[br](1993~1999.5.14.)}}}''' || {{{+1 →}}} || [[이상훈(우완투수)|이상훈]][br](1999.8.1.~2003)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23번}}}''' || || [[홍원기]][br](1996~1999.5.14.) || {{{+1 →}}} || '''{{{#fff 김경원[br](1999.5.15.~1999)}}}''' || {{{+1 →}}} || 조윤채[br](2000)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37번}}}''' || || [[박정진]][br](1999) || {{{+1 →}}} || '''{{{#fff 김경원[br](2000~2001)}}}''' || {{{+1 →}}} || 허진석[br](2003~2003.7.17.) || ||<-5> '''{{{#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70번}}}''' || || [[윤석환]][br](2004~2011) || {{{+1 →}}} || '''{{{#fff 김경원[br](2012)}}}''' || {{{+1 →}}} || [[가득염]][br](2013~2015)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경원 코치.webp|width=100%]]}}} || ||<-2> '''{{{+1 김경원}}} [br] 金敬遠 | Kim Kyeong-Won''' || ||<|2> '''출생''' ||[[1971년]] [[8월 18일]] ([age(1971-08-18)]세)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 '''국적''' ||[include(틀:국기,국명=대한민국)] || || '''학력''' ||전곡초 - [[보성중학교(서울)|보성중]] - [[청원고등학교(서울)/야구부|동대문상고]] - [[중앙대학교 야구부|중앙대]](중퇴)[* 1990학번, 재학중 2년만에 중퇴] || || '''신체''' ||183cm, 93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1990년/신인드래프트#s-2|1990년 1차 지명]] ([[OB 베어스|OB]]) || || '''소속팀''' ||'''[[OB 베어스|OB]]-[[두산 베어스]]''' '''(1993~1999)''' [br] [[한화 이글스]] (1999~2001) || || '''지도자''' ||[[안산공업고등학교 야구부]] 투수코치 (2007~2008) [br] [[경찰 야구단]] 투수코치 (2009~2011) [br] [[두산 베어스/2군|두산 베어스 2군]] 투수코치 (2012) [br] [[경찰 야구단]] 투수코치 (2016~2017) || || '''프런트''' ||[[두산 베어스]] 전력분석원 (2013~2015) || || '''해설위원''' ||[[대전방송|TJB]] 야구 해설위원 (2008)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 [[KBO 리그|한국프로야구]] [[OB 베어스]]와 [[한화 이글스]]의 우완 정통파 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1989년]] [[서울 청원고등학교 야구부|동대문상고]] 시절 에이스로 활약하면서 팀에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청룡기]] 우승을 안겼다. [[한국프로야구/1990년/신인드래프트|1990년 1차 2순위]]로 지명받은 이후 [[중앙대학교 야구부|중앙대학교]]에 입학했으나, 가정 사정으로 중퇴하였다. === 프로 경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B베어스 김경원.jpg|width=100%]]}}} || || [[파일:OB 베어스 엠블럼.svg|width=35]] '''[[OB 베어스]] 선수시절''' || 1991년 말 중앙대 중퇴 후 지명권을 갖고 있던 [[OB 베어스]]에 입단하려고 했으나, 당시 KBO 규약 상 학교 자퇴생의 경우 자퇴한 시점으로부터 1년 간 프로팀에 입단할 수 없다는 규정으로 인해 1년간 개인훈련을 하며 쉬었고, 1993년 당시 구단 역대 최고대우(계약금 1억원, 연봉 1,200만 원)에 [[OB 베어스]]에 입단했다. 고교 시절부터 특급 투수로 명성을 날렸으며, 중앙대 시절에는 [[박찬호]]보다 먼저 메이저리그 진출을 타진할 정도로 주목받던 선수였다. 1993년 데뷔 시즌 초에는 [[선발 투수]]로 몇 게임에 등판했으나 곧바로 마무리로 전환, 그 해 '''129⅔이닝을 던지면서 9승 3패 23세이브(32세이브포인트) 평균자책점 1.11'''의 성적으로 구원부문 2위에 오르는[* 1위는 그 해 마무리로 전환하며 0.78의 시즌 평균자책점 최고 기록을 세운 [[선동열]]이다.] 대활약을 펼쳤다. 말이 2위지, [[선동열]]도 그렇고 공헌도로 따지면 [[오승환]]은 거뜬히 능가한다.[* 마무리가 규정 이닝을 채웠으니..] 6회 이후 항시 대기하면서 선발진의 뒤를 사실상 홀로 받쳐 주었다.. 김경원의 눈부시지만 눈물겨운 투구로 인해 OB는 오랜시간의 암흑기를 청산하고 3위에 오른다. '''이 해 그가 올린 1.11의 평균자책점은 역대 단일시즌 평균자책점 가운데 [[선동열]]의 0점대 평균자책점 3회(1986,1987,1993년) 다음인 역대 4위의 기록이며, [[선동열]]의 통산 평균자책점(1.20)을 능가하는 유일한 기록이다.'''[* 아마 많은 야구인들이 아는 [[마구마구]]에서 [[엘리트]] 카드를 줘도 인정할 정도이다. 결국 [[http://damookka.blog.me/220641326052|2016년 2월 29일에 엘리트가 추가되었다]].] --여기서 우리는 [[선동열]]의 위대함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그해 기록한 조정 평균자책점(ERA+)은 '''295'''로 역대 프로야구 7위 기록에 해당한다.[* 조정 평균자책점이란 리그평균 평균자책점을 참고하여 해당 선수와 비교해 얼마나 잘했는가를 나타내는 수치다. 리그 평균을 100으로 잡으며 만약 조정 평균자책점이 200이라면 그 투수는 그 해 리그 평균보다 2배나 잘했다는 소리. 김경원이 기록한 295라는 수치는 '''그해 리그 평균 투수들보다 3배 잘했다는 소리.''' 참고로 역대 조정 평균자책점 TOP 1위~6위는 모두 [[선동열]]이 기록하고 있는데 1위는 93년 선동렬이 기록한 ERA+ 419] 다만 1993년은 [[양준혁]], [[이종범]], [[박충식]], [[이대진]], [[이상훈(좌완투수)|이상훈]], [[구대성]] 등의 특급 신인들이 한꺼번에 등장한 해였기에, 그해 신인왕은 타율 .341와 23홈런 90타점을 기록한 [[삼성 라이온즈]]의 [[양준혁]]에게 돌아갔고 김경원은 신인왕 투표에서 [[이종범]]에게도 밀려 3위에 그쳤다. 데뷔 시즌에는 150km에 육박하는 묵직한 강속구로 이닝당 1개 가까운 삼진을 잡아내는 파워 피처였으나 첫 해의 무리한 연투와 함께 1994 시즌 초반에 찾아온 부상으로[* 시즌 시작 직전 홧김에 주먹으로 유리창을 내려치는 바람에 깨진 유리파편에 의해 부상을 입었고, 복귀 후에도 태평양과의 경기 도중 타자 주자와 부딪혀 발목을 다치는 바람에 시즌을 공치고 말았다.] 불운이 드리워졌고, 1995년 6승 15세이브 ERA 2.93, 1997년 3승 24세이브 ERA 1.96을 거두며 마무리 투수로 활동했지만, 다시는 데뷔 시즌의 압도적인 위용을 보여주지 못했다. 결국 1998년 이후부턴 마무리 자리마저 후배인 [[진필중]]에게 넘겨준 뒤 입지가 좁아졌고 1999년 시즌 중 [[전상렬]]과 [[홍원기]]를 상대로 [[한화 이글스]]에 트레이드되었지만 큰 활약 없이 2001년 시즌 후 31세의 이른 나이에 은퇴했다. 비록 전성기는 극도로 짧았으나 1993년 단일 시즌에서 보여준 능력만큼은 역대 구원 투수 가운데서도 손꼽힐 수준이며, 침체에 빠져 있던 OB를 암흑기로부터 구출한 1등 공신으로 기억해야 할 투수. == 지도자 경력 == 은퇴 후 [[안산공업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TJB 해설위원을 거쳐 [[2008년]]부터 [[2011년]]까지 [[경찰 야구단]]의 투수코치를 맡았다. [[이재곤]], [[손승락]] 등이 경찰청을 거쳐 간 투수이다. 잘 던지는 투수들은 병역 면제로 군대를 안 가고 그보다 덜 하는 투수들이 입단하여 북부리그 평균자책점 하위권이라는 아쉬움을 지인에게 나타낸 적이 있다. 2012년 친정팀 [[두산 베어스]]의 코치로 영입되면서 지난 1999년 이후 13년 만에 친정팀으로 복귀했다. 보직은 2군 투수코치. 2012년 한 해동안 2군 투수코치로 있다가, 시즌 후 두산의 전력분석관으로 보직 변경되었다. 2016년부터 다시 [[경찰 야구단]] 투수코치를 맡았다. 이후에는 [[정수근]]이 운영하는 '정수근의 야구놀이터'에서 투수코칭을 하고 있다. 2019년 초에 [[노이즈(가수)|노이즈]] 멤버였던 [[한상일]]이 운영하는 유튜브채널에 출연해, 한상일의 투구를 교정하며 커브까지 가르쳐줬다. == 여담 == * 잘 알려지지 않은 기록으로, KBO 리그 출범 후 최초로 '''공 1개만 던지고 패전투수가 되었다는''' 기록을 갖고 있다. 1996년 5월 3일 [[LG 트윈스]]와의 경기에서 3-3 동점 상황이던 9회 말 등판했으나 LG 선두타자 [[김재현(1975)|김재현]]에게 초구 홈런을 맞고 패전 투수가 되었다. * [[허용투수]] 중 한명이기도 하다. 한화 시절이었던 2000년 5월 19일 대전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한밭 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린 [[현대 유니콘스]]와의 경기에서 6회초에 구원 등판해 [[박경완]]에게 4연타석 홈런이라는 대기록을 헌납한 것. * 짧았던 선수 생활에 비해 우승 복은 나름 있던 선수였는데, OB 시절인 [[1995년 한국시리즈]]와 한화 시절인 [[1999년 한국시리즈]] 엔트리에 각각 든 덕에 각자 다른 2개의 팀에서 우승 반지를 모두 껴보고 은퇴했다. * 안산공고 코치 시절이던 2008년, [[박동희(기자)|박동희]] 기자와의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ndrew8373&logNo=120057652986&proxyReferer=http:%2F%2Fwww.google.com%2F|인터뷰]]가 올라오며 근황을 밝혔다. 김경원, 그리고 옛 OB의 팬이라면 한번 읽어 볼 만하다. * 슬하에 딸 1명을 두고 있는데, 아빠인 김경원이 야구선수인 것도 모르고 있었다가 우연히 김경원의 집에 방문한 이웃 주민이 집안에 걸려 있던 김경원의 사진을 보고 싸인을 받아 달라고 부탁한 일화를 밝히며 그제서야 딸아이가 아빠가 한때 유명한 야구선수 출신이었다는 걸 알게 되었다고 하였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2>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탈삼진}}} || ||1993||<|6> [[OB 베어스|{{{#131230 OB 베어스}}}]] || '''48'''[br](3위) || 129⅓ || 9 || 3 || '''23'''[br](3위) || 0 || '''1.11'''[br](2위) || 77 || 57 || '''126'''[br](6위) || ||1994|| 19 || 36⅓ || 1 || 2 || 4 || 0 || 4.95 || 33 || 13 || 22 || ||1995|| '''44'''[br](6위) || 73⅔ || 6 || 3 || '''15'''[br](6위) || 0 || 2.93 || 47 || 40 || 65 || ||1996|| 29 || 47⅓ || 3 || 7 || '''9'''[br](7위) || 0 || 3.42 || 40 || 21 || 42 || ||1997|| 48 || 73⅓ || 3 || 2 || '''24'''[br](6위) || 0 || 1.96 || 49 || 28 || 73 || ||1998|| 34 || 53⅔ || 6 || 6 || '''5'''[br](9위) || 0 || 3.02 || 45 || 20 || 37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사사구}}}''' || '''{{{#ffffff 탈삼진}}}''' || ||1999||<|3> [[한화 이글스]] || 34 || 81⅔ || 3 || 3 || 0 || 0 || 5.62 || 89 || 42 || 38 || ||2000|| 29 || 82⅓ || 4 || 9 || 0 || 1 || 6.34 || 94 || 54 || 39 || ||2001|| 18 || 22⅓ || 1 || 1 || 0 || 5 || 6.45 || 22 || 13 || 16 || ||<-2> 통산(9시즌) || 303 || 600 || 36 || 36 || 80 || 6 || 3.56 || 496 || 288 || 458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김경원, version=49)]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동대문구 출신 인물]][[분류:1971년 출생]][[분류:1993년 데뷔]][[분류:2001년 은퇴]][[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분류:빙그레-한화 이글스/은퇴, 이적]][[분류:청원정보산업고등학교 출신]][[분류:중앙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