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BC 공채 탤런트)]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길용우.jpg|width=100%]]}}} || || '''이름''' ||길용우(吉用祐) || ||<|2> '''출생''' ||[[1955년]] [[12월 17일]] ([age(1955-12-17)]세)[* [[음력]] 1955년 [[11월 4일]].][* [[Daum]]에는 [[1954년]] 생이라고 나온다. 하지만 실제 1955년 생이 정확히 맞다. 보성고 64회 졸업생으로, [[1953년]] 생 [[문성근]](62회)보다 2년 후배, [[1958년]] 생 [[조형기]](67회)보다는 3년 [[선배]]이기 때문이다.] || ||[[서울특별시]] [[종로구]]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신체''' ||174cm, 63kg, [[O형]] || || '''소속사''' ||웰스엔터테인먼트|| || '''학력''' ||[[보성고등학교(서울)|보성고등학교]] {{{-2 (졸업)}}} [br] [[서울예술대학교|서울연극학교]] {{{-2 (연극과 / 전문학사)}}} [br]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 (석사)}}} [br]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 (수료)}}} || || '''데뷔''' ||1977년 [[MBC]] 9기 [[공채]] [[탤런트]] || || '''수상''' ||2011년 MBC 드라마대상 연속극부문 남자 황금연기상 || || '''경력''' ||2013.03 사회복지 공동모금회 홍보대사 || || '''병역''' ||[[대한민국 육군]] [[중위]] 전역 || || '''가족''' ||배우자 김은신, 외동아들 길성진 || || '''종교''' ||[[가톨릭]]([[세례명]]: [[토마스]])[* 천주교 케이블 채널인 CPBC 평화방송이 제작한 김수환 추기경 추모 다큐 드라마에서 김 추기경 역으로 출연하기도 했다.] || || '''링크''' ||[[http://hunusent.co.kr/archives/portfolio-items/길용우?portfolioID=2227|[[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배우]]. 요즘이야 워낙 [[조연]]으로 많이 활동하는 배우라서 잘 부각되지 않는 사실이지만, 사실 [[1980년대]]에는 대스타였다[* 일례로 1989년부터 1991년까지 2년동안 '''[[대우 르망]]'''의 모델로 활동했었다!]. 1981년 데뷔 이래 '[[조선왕조 오백년]]', '간난이' 등 [[MBC]]의 많은 [[드라마#s-3]]들의 [[주연#s-1]]들을 꿰찼다. 1990년 [[서울뚝배기]] 방영 당시 여주인공([[도지원]])을 두고 남주인공([[최수종]])과 경쟁하는 비중 높은 주연이었는데, 그때 그의 나이 36세였다. 이때는 20대 중후반이면 대부분 [[결혼]]하고, 30대 중후반이면 첫째가 초등학교 고학년 학부모던 시절이었는데도 이런 역을 맡았으니 1980년대의 그의 인기를 짐작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래서 젊은 세대에게도 얼굴 [[인지도]]가 높은 편이다. 즉, 이름을 몰라도 얼굴은 잘 알려진 케이스.[* 길용우와 비슷하게 1980년대 스타 출신 중견배우로는 [[내 딸 서영이]]에서 최민석 역으로 열연한 [[홍요섭]]이 있다. 재미있게도 홍요섭 역시 대우 르망의 광고 모델이었다.] 1990년대 말에는 방송 출연이 다소 뜸하였다가 최근 다시 비중 있는 [[조연]] 급으로 많은 배역을 맡고 있다. == 여담 == 또래 배우 [[태민영]]과 많이 닮았는데, 태민영은 유작이 된 [[태조 왕건]]에서는 초반에 신강 역으로 나왔으며,[* 오래 갈 만한 캐릭터였는데, [[간암]]으로 유명을 달리 하였다.][* 또한 용의 눈물에서는 정종 이방과를 연기하기도 했다.] 길용우는 [[복지겸(태조 왕건)|복지겸]]으로 나왔다. 15회에는 둘이 같이 출연한다. [[반짝반짝 빛나는]]의 황남봉 역처럼 망가지는 역보다는 주로 점잖은 중년 신사 역으로 훨씬 더 많이 출연하였다. [[삼국시대]]의 마지막 왕 역을 두 번 연기하였다. 그리하여 [[한국 사극]]에서는 마지막 왕 이미지가 강하다. 1992년 [[KBS 2TV]] [[삼국기]]에서는 [[백제]]의 [[의자왕]]을, 2007년 [[대조영(드라마)|대조영]]에서는 [[고구려]]의 [[보장왕]]을 연기하였다. [[해신(드라마)|해신]]에서도 [[신무왕]]을 맡았던지라 삼국시대의 왕을 전부 연기해본 경력이 있다. 사극 연기를 살려 <[[길용우가 읽는 박태원 삼국지]]> 오디오북 낭독에도 참여했다. [youtube(EmYnVbBv43s)] 1962년생의 전 아나운서였던 방송인 [[강재형]]과 얼굴이 닮았다. [[MBC]]의 [[정치 드라마]] [[공화국 시리즈]]에서 [[김영삼]] 역할도 여러 차례 맡았다.[* 실제 김영삼의 열혈 지지자라는 소문도 있었다.] [[공포의 쿵쿵따]]에서 [[임창정]], [[이상해]] 등과 함께 유명인 세글자 이름으로 자주 언급되곤 했다. 2014년에는 [[사랑만 할래]]에서 [[최동준(사랑만 할래)|최동준]]을 연기하면서 [[악역]]으로 변신에 성공, 악의 카리스마를 제대로 보여주었다. 그러나 바로 다음 작품인 [[딱 너같은 딸]]에서는 [[무능]]한 가장 역할로 다시 연기 변신을 하였다. 2006년부터 [[렛츠런파크 서울|서울경마공원]]에서 마주로 활동 중이다. 2016년 11월 11일, 아들 길성진이 [[현대자동차그룹]] [[정몽구]] 회장의 외손녀인 선아영[* 선두훈 대전선병원 이사장과 정성이 [[이노션]] 고문의 장녀다.]과 [[명동성당]]에서 [[결혼식]]을 올려 많은 재벌가, [[정치인]], [[연예인]]들까지 모인 흔하지 않는 자리가 되었다. 그런데 사실 이런 케이스는 생각보다 꽤나 흔한 일인데, 길용우 본인도 [[이상달]]의 장례식 사회를 맡은 적이 있다. 아마도 정계, 재계와 친분이 꽤나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것도 [[강부자]]와 같이 말이다. == 논란 및 사건 사고 == === 음주운전 === 많이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2003년 겨울에 [[음주운전]]을 한 적이 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5&oid=055&aid=0000013375|기사]]. === 건물 옥상 불법 영업 === 길용우가 매입한 [[이태원동]] 건물에서 2016년 10월, 아들 길성진의 이름으로 된 수제 맥줏집을 건물 옥상에서도 영업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 용산구청 조사로 적발되었다. 당시 '영업장 면적 변경과 변경신고를 하지 않았다'며 시정명령을 내렸다음에도 2017년 5월 2차 점검에서도 여전히 옥상에서 영업을 하고 있는 것을 적발했다. 구청은 식품위생법에 의해 7일의 영업정지 처분을 내리려 했지만 그 대신 616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이에 길성진은 "손님 또는 근처를 지나던 사람들이 일반 대중에 공개된 옥상에 자발적으로 올라가 음식물을 취식한 것이지, 옥상에서 영업한 사실이 없다"며 소송을 냈다. 또 구청의 처분은 재량권을 남용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법원 판결 조사 결과 "당시 건물 옥상에는 테이블과 의자가 비치됐고 조명도 설치됐으며 옥상에 가기 위해선 해당 맥줏집 내부를 통과해야만 한다"며 "단속을 전후해 건물 옥상에서 나오는 음악·이야기 소리로 민원이 여러 차례 제기된 점을 들어 불법 영업을 옥상에서 했다는 증거가 된다라고 짚었다. 결국 2017년 11월, 법원에게 과징금은 정당하며 "구청의 처분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이웃에 대한 피해 방지 등의 공익이 길씨 등이 입게 될 불이익보다 가볍다고 할 수는 없다"며 "구청이 재량권을 남용했다고 볼 수 없다"는 판결을 받았다. == 광고 관련 흑역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J_KP1K4X_hk)]}}} || || '''2013년, 퀀텀에너지 광고''' || [[양자역학]]을 이용해 [[유사과학|내복과 침구를 만든다는]] 주식회사 퀀텀에너지의 TV CF에 메인 모델로 출연한 적이 있다. [[매스 이펙트 3]]에 나오는 방어구의 모델링을 무단 도용하여, 미사일을 등에 업은 채 [[아이언맨]]을 연상하게 하는 비행을 [[CG]]로 묘사하였고, 웃는 얼굴로 [[증기 기관차]]와 정면 충돌을 시도하는 [[이때는 대략 정신이 멍해진다|아스트랄한 전개]]가 일품이다. 증기 기관차를 구 기술로, 본 회사의 제품을 신 기술로 대비를 만들고자 한 취지로 추정된다. == 주요 출연작 == === 드라마/시트콤 === * 2022년 카카오TV [[결혼백서]] - 서종수 * 2020년 SBS [[편의점 샛별이(드라마)|편의점 샛별이]] - 유명기 * 2020년 KBS2 [[위험한 약속]] - [[한광훈(위험한 약속)|한광훈]] * 2018년 MBC [[내사랑 치유기]] - 최재학 * 2016년 SBS [[사랑은 방울방울]] - 한영목 * 2016년 SBS [[내 사위의 여자]] - 박태호 * 2015년 MBC [[딱 너같은 딸]] - [[마정기]] * 2015년 JTBC [[디데이]] - [[디데이/등장인물#대통령|대통령]] * 2014년 SBS [[사랑만 할래]] - [[최동준(사랑만 할래)|최동준]] * 2014년 MBC [[엄마의 정원]] - 서병진 * 2014년 JTBC [[우리가 사랑할 수 있을까]] - 지현 부 * 2013년 JTBC [[무정도시]] - 검찰총장 * 2013년 KBS1 [[지성이면 감천]] - 한용덕 * 2013년 MBC [[금 나와라, 뚝딱!]] - [[정병후]] * 2013년 MBC [[오자룡이 간다]] - [[왕철수]] * 2012년 KBS2 [[넝쿨째 굴러온 당신]] - 방귀남의 양부 * 2012년 SBS [[옥탑방 왕세자]] - 홍만필 좌상대감 * 2011년 SBS [[내일이 오면(SBS)|내일이 오면]] - 윤원섭 * 2011년 KBS2 [[포세이돈(드라마)|포세이돈]] - 오용갑 * 2011년 MBC [[반짝반짝 빛나는(드라마)|반짝반짝 빛나는]] - 황남봉 * 2009년 KBS2 [[천하무적 이평강]] - 우평원 * 2009년 SBS [[천만번 사랑해]] - 고인덕 * 2009년 MBC [[신데렐라맨]] - 서사장 * 2008년 SBS [[행복합니다]] - 박승재 * 2008년 KBS2 [[쾌도 홍길동]] - 홍 판서 * 2007년 MBC [[깍두기(MBC)|깍두기]] - 장상만 * 2007년 MBC [[고맙습니다(드라마)|고맙습니다]] - 민준호 * 2007년 KBS2 [[달자의 봄(드라마)|달자의 봄]] - 강순홍 * 2006년 KBS1 '''[[대조영(드라마)|대조영]]''' - '''[[보장왕(대조영)|보장왕]]''' * 2004년 KBS2 '''[[해신(드라마)|해신]] - [[신무왕]]''' * 2004년 MBC [[영웅시대]] - 임대석(김윤규 전 [[현대그룹|현대아산]] 부회장) * 2003년 SBS [[술의 나라]] - 서태관 * 2002년 SBS [[정(동음이의어)|정]] - 탁 박사 * 2002년 KBS2 [[태양인 이제마]] - 좌명 * 2002년 MBC [[그 햇살이 나에게]] - 최태경 * 2001년 KBS2 [[쿨(드라마)|쿨]] - 강주천 * 2001년 MBC [[네 자매 이야기]] - 김 사장 * 2000년 MBC [[황금시대(드라마)|황금시대]] - 유현승 * 2000년 SBS [[경찰특공대(드라마)|경찰특공대]] - 장대규 * 2000년 MBC [[이브의 모든 것(드라마)|이브의 모든 것]] * 2000년 KBS1 '''[[태조 왕건]] - [[복지겸(태조 왕건)|복지겸]]''' * 2000년 KBS2 [[성난 얼굴로 돌아보라]] - 신성철 * 2000년 MBC [[깁스가족]] - 강두영 * 1999년 MBC [[사랑해 당신을]] - 봉민섭 * 1998년 KBS1 [[은아의 뜰]] - 김명수 * 1998년 MBC [[적과의 동거]] * 1998년 SBS [[홍길동(SBS)|홍길동]] - 병판대감 * 1998년 SBS [[삼김시대(드라마)|삼김시대]] - 김영삼 * 1997년 MBC [[불꽃놀이(1997년 드라마)|불꽃놀이]] - 전무 * 1997년 MBC [[재동이]] - 재동 부 * 1997년 MBC [[세 번째 남자]] * 1997년 MBC [[의가형제]] - 김상우 * 1996년 MBC [[강가에 앉아서 울다]] - 박찬수 * 1996년 MBC [[서울 하늘 아래]] - 이웅호 * 1995년 SBS [[코리아게이트(드라마)|코리아게이트]] - 이경서 박사 * 1995년 MBC [[두 아빠]] * 1995년 MBC [[칠갑산(드라마)|칠갑산]] * 1995년 SBS [[장희빈(SBS)|장희빈]][* [[정선경]]표 장희빈이다.] - [[장희재]] * 1994년 MBC [[짝(MBC)|짝]] - 차지풍 * 1994년 KBS2 [[남자는 외로워]] - 권영태 * 1993년 SBS [[댁의 남편은 어떠십니까]] - 도주섭 * 1993년 MBC [[제3공화국(드라마)|제3공화국]] - 김영삼 * 1993년 KBS1 [[봉이전]] * 1993년 SBS [[우리식구 열다섯]] - 박찬기 * 1992년 SBS [[궁합이 맞습니다]] - 이진욱 * 1992년 KBS1 [[삼국기]] - [[의자왕]] * 1991년 SBS [[은하수를 아시나요]] - 장동엽 * 1991년 MBC [[땅(드라마)|땅]] - 장건식 * 1990년 MBC [[서울뚝배기]] - 박광호 * 1990년 MBC [[반민특위(드라마)|반민특위]] - 노일환 * 1989년 MBC [[제2공화국(드라마)|제2공화국]] - 김영삼 * 1989년 KBS2 [[달빛가족]] - 김준태 * 1989년 MBC [[조선왕조 오백년]]:[[파문(드라마)|파문]] - 박승도 * 1989년 MBC [[초대받지 않은 여행]] - 현상철 * 1988년 KBS2 [[은혜의 땅]] * 1987년 KBS1 [[어머니(드라마)|어머니]] * 1987년 MBC [[최후의 증인(드라마)|최후의 증인]] * 1987년 KBS2 [[사모곡(1987년 드라마)|사모곡]] - 만강 * 1986년 MBC [[풀잎마다 이슬]] - 지용태 * 1985년 MBC [[억새풀]] - 윤인섭 * 1984년 MBC [[조선왕조 오백년]]:[[설중매]] - [[성종(조선)|조선 성종]] * 1984년 MBC [[그리워(드라마)|그리워]] * 1983년 ~ 1984년 MBC [[간난이(MBC)|간난이]] - 무수동 * 1983년 MBC [[다산 정약용(MBC)|다산 정약용]] * 1983년 MBC [[조선왕조 오백년]]:[[뿌리깊은 나무(MBC)|뿌리깊은 나무]] - [[장영실]] * 1983년 MBC [[야망의 25시]] - 김수민 * 1982년 MBC [[고백(1982년 드라마)|고백]] * 1982년 MBC 거부실록: [[백산 안희제]] * 1981년 MBC 여인열전: [[장희빈(MBC)|장희빈]] - 민진후 * 1981년 MBC [[제1공화국(드라마)|제1공화국]] - [[이강석(1937)|이강석]] * 1981년 MBC [[나리집]] === 광고 === * [[롯데삼강]] [[빵빠레#s-2]] * [[대우 르망]] * [[부광약품]] 아락실 * [[일동제약]] [[아로나민]] 골드 * 퀀텀에너지 [[분류:한국 남배우]][[분류:한국의 드라마 배우]][[분류:1955년 출생]][[분류:1977년 데뷔]][[분류:종로구 출신 인물]][[분류:서울예술대학교 출신]][[분류:상명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출신]][[분류:보성고등학교(서울) 출신]][[분류:육군 장교 출신]][[분류:해평 길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