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강동구의 법정동)] [include(틀:2030서울도시기본계획)] ||<-2> '''[[강동구|{{{#000000,#dddddd 강동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길동}}}'''[br]吉洞 | Gil-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강동구 길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강동구 || || '''행정표준코드''' || 3240152 || || '''관할 법정동''' || 길동 || || '''하위 행정구역''' || 65통 552반 || || '''면적''' || 1.61㎢ || || '''인구''' || 44,713명[* 2023년 8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27,772.05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강동구 갑'''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진선미]] ,,(3선),, || ||<-2> '''서울특별시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종태(1957)|이종태]] ,,(초선),, || ||<-2> '''강동구의원 | 나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남현 ,,(재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서회원 ,,(재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원국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천호대로 1183 || || [[https://www.gangdong.go.kr/web/dongrenew/gil/main|길동 주민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강동구]]의 [[법정동]] 및 [[행정동]]이다. == 역사 == > '''길(吉)'''한 동네, '''길동''' 구한말 때까지는 기리동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는데[* 기리울길이라는 도로명으로 남아있다.] 언젠가부터 산사태도 없는 길한 동네라 하여 길리로 불렸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구천면 길리가 공식 지명으로 등장했다. 1962년까지는 [[경기도]] 광주군(현 [[광주시]]) 구천면 길리였다. 1963년 1월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편입되어 천호출장소 관할에 속하였다. 이때, 행정동 선린동[* 선린동이라는 이름은 1950년대에 최문환 목사가 현재의 길동사거리 인근에 부랑자와 걸인을 모아 마을을 조성하며, 선하게 되라며 선린동이라 이름 붙인데서 비롯된다.]이 법정동 [[둔촌동]]과 길동의 행정을 담당했다. 1970년 행정동 선린동이 법정동 길동과 명칭이 불일치하여 법정동 이름인 길동으로 행정동 이름이 바뀌었다. 1975년 10월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속하였다. 1979년 10월 서울특별시 강동구에 속하였고, 이때 행정동 둔촌동이 길동에서 분리되어 나간다. 1983년에 행정동 길1동과 길2동으로 분동되었다가 2008년 다시 통합되었다. == 주요 시설 == === 기관 === * [[강동세무서]] * [[서울특별시교육청강동도서관]] === 주거 === * 삼익건설 길동삼익파크아파트 - 1982년 9월 입주 1092세대 * 삼익건설 삼익세라믹아파트 - 1992년 11월 입주 83세대 * 우성건설 길동우성1차아파트 - 1989년 8월 입주 162세대 * 우성건설 길동우성2차아파트[* 1974년 11월 18일 준공한 15동짜리 길동시영아파트를 재건축했다.] - 1994년 10월 입주 811세대 * 우림산업 우림길동루미아트 - 2003년 12월 입주 78세대 * 현대아산건설 현대웰하임 - 2012년 4월 입주 176세대 * ~~신동아건설 길동신동아아파트 - 1983년 6월 입주 972세대~~ * [[현대건설]] 길동현대아파트 - 1996년 8월 입주 264세대 * [[GS건설]] 강동[[자이]]아파트 - 2003년 11월 입주 596세대 * [[대림건설]] 이편한세상강동에코포레 - 2020년 4월 입주 366세대 === 학교 === * 서울길동초등학교 - 강동도서관과 길동 복조리 시장 바로 옆에 존재해있다. 건너편에는 우성아파트가 존재한다. 런닝맨 소녀를 찾아라 편에서 김종국이 잘못 찾아간 학교라 카더라. * 서울신명초등학교 - [[서울신명중학교]] 바로 옆에 존재하며, 인근에 길동자연생태공원이 있다. * [[서울신명중학교]] - 서울신명초등학교 바로 옆에 존재하며, 인근에 길동자연생태공원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신명중학교|문서 참고]] == 출신 인물 == * [[손담비]] * [[신유(가수)]] * [[최성민(1995)]] * [[최예나]] * [[황정음]] == 기타 == [[천호동]]과 [[성내동(강동구)|성내동]]에 비해 늦게 개발된 지역으로 [[길동역]]이 위치한다. 유흥업소들과 이자카야풍의 술집들이 역전에 분포되어 있어서 휘황찬란한 분위기다. 역 주변은 강동구 중에서는 다니는 버스 노선이 많은 편이며, 유흥시설이 역 근처에 몰려있고 교육 및 주거지역과는 어느 정도 떨어져있으며, 주거지역과 생활 편의시설이 가까운 편이다. 천동초, 길동초, 신명초중, 강동세무서, 강동우체국, [[한림대학교]] [[강동성심병원]][* 크기에 비해서 수준이 매우 떨어져 사람 잡기로 유명한 병원이다. 또 비판글에 대해서는 포털에 요청해 무조건 블라인드를 먹이고 있다. 작성자 본인조차도 열람조차 못하게 해서 어이가 없게 만든다. 강동구민들의 경우 중앙보훈병원같은 공공병원이나 강동경희대병원같은 우수병원이 있어 잘 안간다.], 길동자연생태공원이 위치하고 있다. [[천호대로]]를 지나 [[하남시]]로 나갈수 있다. [[둔촌동]]처럼 [[재래시장]]이 있으며 (길동복조리시장) 활기가 있어 장보러 나갈 때 구경하는 재미가 있다. 서울 변두리 조그만 동네인데도 시장 크기나 사람 유동량은 서울내에서도 나름 네임드급. 길동역에서 GS자이아파트나 삼익아파트같이 큰 아파트 단지로 가기 전까지는 꽤 어두침침한 거리가 많으나 이상하게도 치안은 좋은 편이다. 가볼만한 곳으로는 길동 복조리 시장과 강동도서관, 길동자연생태공원, 허브천문공원이 있다. 2015년 기준으로 신축 공사가 진행중인 곳도 많고, 지은 지 오래되지 않은 건물이 많기에 깔끔한 편이며 인구 밀도 또한 그리 높지않다. 주변 동에 비해 인구가 적기에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동네이기는 하지만 조용한 분위기를 장점으로 보는 사람도 많다. 동네 곳곳에서 카페를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으며, 개인이 운영하는 카페가 차지하는 비율도 높은 편이다. 평지가 많아 자전거를 타기에 좋은 편이다.[* 자전거를 타기 좋다는 것 뿐이지 골목길 특성 상 언제 차가 튀어나올지 모르기에 자전거를 방심하고 타면 상당히 위험하다.] 원래 단독 주택도 꽤 많은 편이었으나 요즘 빌라로 다 바뀌고 있다. 길 가다 보면 건축공사를 하는 경우가 꽤 많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강동구, version=280)] [[분류:강동구의 법정동]][[분류:강동구의 행정동]]